1 교육부, "null",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 및 대학원 2016년 대학정보공시 계획 및 지침서, 2016
2 장수명, "대학교육의 경제학", 한국노동연구원, 노동정책연구, 2(1), 47-79, 2002
3 교육부, "「BK21 플러스 사업」", 기본계획. 교육부, 2013
4 교육부, "「BK21 플러스 사업」", 기본계획. 교육부, 2014
5 권기욱,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대구대학교 출판부, 서울: 학지사, 2001
6 배병렬, "Amos21 구조방정식모델링", 서울: 도서출판 청람, 2014
7 신현석, "한국의 고등교육 개혁정책", 서울: 학지사, 2005
8 김병주, "ACE 사업 평가의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정치학회, 교육정치학연구, 23(1), 1-30, 2016
9 임연기, Youn-Kee Im, "대학설립준칙주의 공과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26(4), 147-167, 2008
10 김병주, "사립대학 재정지원 개선방안",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학술대회 자 료집, 2012(2), 71-96, 2012
11 이병식(Rhee, Byung Shik), 박혜경(Park, Hye Kyeong), 공희정(Gong, Hee Jung), 김혜림(Kim, Hye Rim), 전민경(Jhun, Min Kyung), "한국 대학효과 연구의 최근 동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교육과학연구, 43(4), 191-219, 2012
12 김병주, "BK21 사업 재정지원 정책의 정치학", 한국교육정치학회, 교육정치학연구, 14(1), 29-50, 2007
13 교육부, "BK21 플러스 사업 평가 개선안 발표", 교육부 보도자료, 2014
14 장석환, "문민정부 이후 대학 정원정책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25(4), 389-412, 2007
15 백병부, 황여정, "대졸 청년층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 직업능력개발연구, 11(2), 1-23, 2008
16 성태제, 최정윤, 정진철, 이정미, "한국 대학의 질적 수준 분석 연구(Ⅰ)", 한국 교육개발원, 2007
17 이병식, 나민주, 최정윤, 이정미, "한국 대학의 질적 수준 분석 연구(Ⅱ)", 한국 교육개발원, 2008
18 김무영, 오세희, 서화정, 김민희, "고등교육 재정지원사업 발전방안 연구", 영 남대학교 고등교육정책연구소, 2016
19 조영하, Young Ha Cho, "21세기 대학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고찰",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28(1), 1-30, 2010
20 교육부, "“대학재정지원사업 개편 방향(시안)”", 발표. 교육부 보도자료, 2016
21 교육부, "2015년 대학 구조개혁 평가 기본계획 확정", 교육부 보도자료, 2014
22 김계수, "잠재성장 모델링과 구조방정식 모델분석", 서울: 한나래 아카데미, 2009
23 이만희, 이정규, 이병식, "고등교육기관 체제의 수행지표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 육개발원, 2003
24 교육부, "창조경제를 이끌어 갈 석박사급 창의인재", 연간 1만 5천명 양 성. 교육부 보도자료, 2013
25 박환보, "대졸자 취업에 미치는 개인과 대학의 영향", 2011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동향조사 심포지엄, 242-264, 2011
26 김병주, "대학재정 확보 및 지원방식의 현황과 과제", 동아인문학회, 동아인문학, 32, 323-355, 2015
27 교육부, "2015년도 BK21플러스 사업 운영 관리 계획(안)", 교육부, 2015
28 김민희, 최정빈, 최원호, 서화정, 박원혁, 박수정, 문명현, 김병주, "대학자율역량 강화지원사업(ACE+) 성과 분석",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7
29 강선보,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대학교육 개혁의 이념",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연구, 24, 49-71, 2006
30 김병주, "AHP를 이용한 대학재정지원 포뮬러지표 개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교육재정경제연구, 18(1), 225-245, 2009
31 민철구, "연구소 중심의 대학연구시스템 활성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2
32 김용남, "대학생의 학업중단 요인 분석.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2009
33 배성근, "4차 산업혁명시대 고등교육 경쟁력 제고 방안", 한국교육정치학회 토론자료집, 39-62, 2017
34 송기창, "박근혜정부 고등교육재정정책의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31(3), 255-279, 2013
35 교육부,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ACE) 시행계획(안)", 교육부, 2014
36 박정수, 홍희정, "대학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교육재 정경제연구, 18(1), 59-80, 2009
37 대학저널, "하나은행, SKY 출신 합격 위해 면접점수 조작 파문", 대학저널 신문 2018. 2. 2, 2018
38 서민원, "대학교육 효과성의 개념과 측정:모형 탐색과 적용", 고등교육연구, 6(2), 97-136, 1994
39 이은진, 정인호, "교육역량강화를 위한 교수 직급별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 HRD연구, 7(1), 1-22, 2012
40 김병주, 홍후조, 유현숙, 백성준, 김정희,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고등교육 체제개편 방안",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2011
41 김지하, 이병식, "대학입학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교육성과 차이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교육 과학연구, 41(2), 209-230, 2010
42 김병주, "정부의 재정지원사업을 통한 대학특성화 실태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교육재정경제연구, 19(4), 207-231, 2010
43 김태일, 이경희, "대학순위와 전공의 임금효과: 성별 격차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교육 학연구, 43(3), 167-197, 2007
44 송기창(Song Ki-Chang), "반값등록금정책에 따른 대학재정지원정책 개선방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한국교육정 치학회 토론자료집, 1-37, 2017
45 교육부, "BK21플러스 사업 평가 개선 및 중간평가 추진 계획(안)", 교육부, 2014
46 김병주, "고등교육의 국제경쟁력. 이종재 외(2010). 한국교육 60년", 서울: 학지사, 2010
47 나민주, 정제영, 박주형, 한유경, "제2 단계 bk21 사업성과 및 개선방향에 대한 델파이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34(1), 239-262, 2016
48 강미영, "다차원 분석모형을 적용한 학부교육 선도대학 정책분석",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 연구, 30(1), 35-70, 2017
49 임소현, "사립대학의 재정요인이 학생의 중도탈락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교육재정경제연구, 22(2), 83-113, 2013
50 박준식, "대학부설연구소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대학교육, 제74호", 한국대 학교육협의회, 1995
51 구성우, 김병주, 문명현,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기관 변인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교육재정경제연구, 25(4), 225-250, 2016
52 정제영,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수준 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아시아교육연구, 16(4), 57-76, 2015
53 이태우, "사립대학의 재정여건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성인교육연구, 16(4), 111-133, 2013
54 오호영, "대학서열과 노동시장 성과-지방대생 임금차별을 중심으로", 한국노동경제학회, 노동 경제론집, 30(2), 87-118, 2007
55 김경호, "학부교육선도대학육성사업(ACE)의 효과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 대학교, 2017
56 김훈호, "대학 재정지원 정책과 대학의 재정구조 분석. 박사학위논문", 서울 대학교, 2014
57 김경일, "대학교육역량의 성과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 대학교, 2013
58 오종진, "사립대학의 규모별·지역별 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회계학회, 국제 회계연구, 31, 265-284, 2010
59 김무영, 최손환, "2016년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 수요자 만족도 조사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6
60 배상훈(Bae, Sang Hoon), 홍지인(Hong, Jee In), 라은종(Ra, Eun Jong), "경향점수매칭을 통한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성과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34(3), 181-206, 2016
61 Jorge, B., Philip, G. A., "World-Class worldwide transforming research universities in asia and latin america",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신정철 정지선 김명진 박환보 공역(2007). 세계수준의 연구중심대학을 향한 도전. 서울: 교육과학사, 2007
62 강경석, "대학납입금과 장학금이 대학생의 학업지속에 미치는 효과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교 육행정학연구, 12(2), 1-17, 1994
63 이필남, "사립대학 재정지출 변인과 교육의 질 관계에 대한 탐색적 분석", 韓國敎育財政經濟學會, 교육재정경제연구, 23(2), 235-266, 2014
64 주휘정, "신규 대졸자 임금에 대한 개인 및 대학 효과 분석.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10
65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2017 교육통계 분석자료집: 고등교육 취업통계편", SM 2017-5, 2017
66 김민희, 최손환, 방청록, 류청산, 김병주, "2014년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 지원사업을 위한 사업설계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4
67 이정은, "대학 졸업생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2
68 김훈호, 박환보, "교수의 개인 특성과 대학의 연구 환경이 연구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29(2), 185-210, 2011
69 김한기,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사업성과의 영향요인 연구. 박사학위논 문", 한남대학교, 2015
70 윤홍주, "교육재정의 공평성 분석: 단위학교재정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04
71 변기용, 이수지, "대학효과 이론의 관점에서 본 교환학생 프로그램 참여 경험의 의미",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53(2), 357-387, 2015
72 서민원, "대학교육의 효과성 변인의 탐색(2): 대학교육 과정의 개념화와 측 정", 고등교육연구, 7(1), 211-244, 1995
73 김무영, "대학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사립대학 재정변인 분석. 박사학위논 문", 영남대학교, 2014
74 김호원, 이만기, "대졸자의 괜찮은 일자리에 영향을 미치는 취업준비활동 의 영향 분석", 한국취업진로학회, 취업진로연구, 5(4), 115-138, 2015
75 교육부, "대학 자율성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한 대학 재정지원사업 개편계획 (안)", 교육부 보도자료, 2018
76 박환보, "고등교육 보편화 이후 대졸자의 취업 격차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2012
77 윤수경, "대학교육성과 영향요인 분석: KEEP data(1-7차)를 중심으로. 박 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3
78 김병주, "대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등록금 인상의 필요성. 대학교육, 제141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06
79 김종성, "대학부설연구소의 평가체제에 관한 연구: 국립C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27(3), 33-52, 2016
80 백병부, 유백산, "편입학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4년제 대졸 청년 층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21(3), 99-117, 2011
81 신소영, "대학 교육서비스 만족과 학교이미지 및 교육성과 만족에 대한 관계 분석",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 평생학습사회, 10(2), 1-23, 2014
82 서영주, "대학 충원율의 영향요인 분석: 4년제 일반대학을 중심으로. 석사 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1
83 임현정, "2000~2005년 수리영역 성취도 변화와 학교효과의 종단적 분석. 박 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06
84 서화정, "대졸자의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대학 변인 분석. 박 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2014
85 유병욱, "행정학분야 대학연구소의 역할과 기여: 연세대학교 도시문제연구 소의 사례", 현대사회와 행정, 25(1), 1-26, 2015
86 서만덕, "대학의 교육 및 연구성과에 미치는 대학도서관 영향요인 연구. 박 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015
87 문희원, "서열 위주의 대학선택이 이후 전공-직무 불일치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7
88 정지선, 신정철, 이수정, "대졸청년층의 구직과정 및 취업의 질적 수준 분석: 전공계열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업능력개발연구, 14(3), 53-78, 2011
89 조민수, "대졸자의 노동시장 이행에 관한 실증연구: 성공률, 기간, 임금차 이.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2009
90 박남기, 임수진, "5 31 대학교육 개혁의 영향과 과제: 대학설립 준칙주의와 정원 자율화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교육정치학연구, 22(4), 1-28, 2015
91 박경호, 백일우, "패널자료를 이용한 BK21 사업과 대학의 연구 성과 분석을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의 모색",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26(3), 233-249, 2008
92 이수정, "원용아 이영철 박인철 대학의 사회봉사 기능이 인지도 및 교육성 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열린교육연구, 18(3), 1-26, 2010
93 교육부, "‘잘 가르치는 대학’ 선도모델 창출․확산 지원 2016년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 공고", 교육부 보도자료, 2016
94 박수미, 고장완, "대학의 교육환경과 학생참여, 학습성과의 구조적 관계와 전공계열 간 일반화 가능성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34(4), 187-213, 2016
95 소병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전문대학 중도탈락 원인 분석: 대학경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33(3), 405-426, 2015
96 박영규, "고등교육과 정부의 역할: 대학의 교육, 연구, 재정에 대한 국고보 조금의 역할.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011
97 김미정, "정부 대학재정지원이 대학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학교육역량 강화사업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2013
98 최은옥,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 수행이 대학생의 학습 참여, 대학 몰 입 및 인지적 정의적 역량에 미친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99 우상식, "대학 특성별 등록금 추이와 대학교육역량 관련 지표와의 관계 분석: 4년제 일반대학 등록금의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종단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31(4), 337-366, 2013
100 배상훈, 라은종, 한송이,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ACE)이 대학생의 학습 참여에 미치는 영향: 지원적 대학환경, 교수-학생 상호작용, 고차원 학습, 학습량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35(1), 379-410, 2017
101 이영민, 임정연, "중소기업 대졸 초기 경력자의 자발적 이직의도, 교육-직무 일치도, 일자리 특성의 관계에서 근무환경, 인간관계, 자기개발 가능성의 조절효과: 기업 교육에 대한 시사점", 한국기업교육학회, 기업교육연구, 15(2), 155-181, 2013
102 Burton, R. C., "Places of Inquiry: Research and Advanced Education in Modern Universities.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고 용 박태준 성기선 유시민 윤종혁 이인효 채선희 공역(1999). 연구중심대학 의 형성과 발전", 서울: 문음사,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