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기관변인이 재정지원사업에 따라 대학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of the universities in Korea by government's financial progra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126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institutional factors with financial conditions affect the achievement of the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similar influence when the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is at present. The target data of 185 universities(2013-2015) were collected from the Korea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and JoongAng Ilbo. The Government programs are ACE as educational achievements and BK21+ as research outcomes.
      The study defined the university achievement as the education and research outcome. First, as the analytic model of the education outcome, the educational finance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ere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detail, the educational finance includes educational fee, tuition, restitution rate, scholarship and the fund from the government program,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cludes the full-time faculty rate, the student-faculty ratio, the status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the institution rank. The dependent variables include the employment rate and restitution rate of the institution factors, and the control variables include type, location and scale of the institution. Next, as the analytic model of the research outcome, the educational finance and the research environment were determin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detail, the financial variable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education outcome model, and the research environment variables are the full-time faculty rate, the student-faculty ratio, the amount of lectures of the faculty, the research funds, and the institution personnel. The control variables are type, location and sca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every respect the education fee, restitution rate and the funds received from the government programs are significant educational financial factors affecting the education and research achievement. Considering the educational finance is only the necessary condition not the sufficient condition, the institution should make every endeavor to secure the enough budget. Given the insufficient budget in education compared to other countries, the government needs to expand the scale of the budget in education. Seco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unique individuality of each universit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stitutional factors differed depending on the achievement of the university outcome that the variety of objectives in each of the university’s original blueprint leads to the relevant, flexible and cost-effective execution of the budget. Third, among the universities received the ACE program the scholarship turned out to be the most important education finance to improve the achievement in education. Over the course of the analysis, the study has found that the scholarship has to do with the educational outcome within the institutions that received the ACE program whereas those without the ACE program did not make the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he educational outcome. In this respect, under the insufficient education budget the university should make up the proper environment to enhance the educational outcome, and the amount of the scholarship in the criterion of qualification to receive the ACE program should be reconsidered. Fourth, for the institution without the ACE program to increase the educational outcome, the full-time faculty rate is a top priority. Whereas the institutions with the program take advantage of a variety of activities for developing students’ competence, those without the ACE program cannot help resting upon the availability of the full-time faculty that the strategic alternatives such as modelling the successful ACE programs should be applied. Fifth, among the institutions with BK21+ program the study showed that the graduate students are influential to improve the research outcome. Due to the benefit of scholarship towards the graduate students, they can be committed to conducting the research with the full-time faculty with the higher level of achievement in their job. Lastly, regardless of the BK21+ program, the study has found that the full-time research personnel are considered important in conducting research outcome which has been under little care and support towards the research personnel. Thus the institution may have to seek more about measures to support those personne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institutional factors with financial conditions affect the achievement of the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similar influence when the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is at present. The target data of 185 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institutional factors with financial conditions affect the achievement of the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similar influence when the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is at present. The target data of 185 universities(2013-2015) were collected from the Korea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and JoongAng Ilbo. The Government programs are ACE as educational achievements and BK21+ as research outcomes.
      The study defined the university achievement as the education and research outcome. First, as the analytic model of the education outcome, the educational finance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ere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detail, the educational finance includes educational fee, tuition, restitution rate, scholarship and the fund from the government program,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cludes the full-time faculty rate, the student-faculty ratio, the status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the institution rank. The dependent variables include the employment rate and restitution rate of the institution factors, and the control variables include type, location and scale of the institution. Next, as the analytic model of the research outcome, the educational finance and the research environment were determin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detail, the financial variable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education outcome model, and the research environment variables are the full-time faculty rate, the student-faculty ratio, the amount of lectures of the faculty, the research funds, and the institution personnel. The control variables are type, location and sca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every respect the education fee, restitution rate and the funds received from the government programs are significant educational financial factors affecting the education and research achievement. Considering the educational finance is only the necessary condition not the sufficient condition, the institution should make every endeavor to secure the enough budget. Given the insufficient budget in education compared to other countries, the government needs to expand the scale of the budget in education. Seco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unique individuality of each universit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stitutional factors differed depending on the achievement of the university outcome that the variety of objectives in each of the university’s original blueprint leads to the relevant, flexible and cost-effective execution of the budget. Third, among the universities received the ACE program the scholarship turned out to be the most important education finance to improve the achievement in education. Over the course of the analysis, the study has found that the scholarship has to do with the educational outcome within the institutions that received the ACE program whereas those without the ACE program did not make the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he educational outcome. In this respect, under the insufficient education budget the university should make up the proper environment to enhance the educational outcome, and the amount of the scholarship in the criterion of qualification to receive the ACE program should be reconsidered. Fourth, for the institution without the ACE program to increase the educational outcome, the full-time faculty rate is a top priority. Whereas the institutions with the program take advantage of a variety of activities for developing students’ competence, those without the ACE program cannot help resting upon the availability of the full-time faculty that the strategic alternatives such as modelling the successful ACE programs should be applied. Fifth, among the institutions with BK21+ program the study showed that the graduate students are influential to improve the research outcome. Due to the benefit of scholarship towards the graduate students, they can be committed to conducting the research with the full-time faculty with the higher level of achievement in their job. Lastly, regardless of the BK21+ program, the study has found that the full-time research personnel are considered important in conducting research outcome which has been under little care and support towards the research personnel. Thus the institution may have to seek more about measures to support those personne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재정 및 여건과 관련된 대학기관변인이 교육성과 및 연구성과로 대표되는 대학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재정지원사업에 따라 대학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자료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제공하는 대학정보공시 자료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대학순위 자료는 중앙일보 대학평가 자료를 활용하였다. 대상학교는 4년제 일반대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2013년∼2015년 자료가 공개되어 있는 대학교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최종적으로 선정된 대학교는 185개교이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재정지원사업은 교육성과와 관련된 사업으로 ACE사업을 선정했으며, 연구성과와 관련된 사업은 BK21+ 사업을 선정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성과를 교육성과 및 연구성과로 구분하였다. 그에 따라 교육성과 및 연구성과 분석모형을 각각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교육성과 분석 모형은 독립변인으로 교육재정 및 교육환경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육재정은 교육비, 등록금, 교육비 환원율, 교내장학금, 재정지원사업 수혜 금액을 선정했으며, 교육환경은 전임교원 확보율,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 교사(校舍) 확보율, 대학순위이다. 종속변인은 교육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기관변인으로 취업률과 중도탈락률을 선정했다. 통제변인으로 설립유형, 소재지, 규모로 설정했다. 다음으로 연구성과 분석 모형을 살펴보면, 독립변인으로 교육재정 및 연구환경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육재정변인은 교육성과모형과 동일한 변인인 교육비, 등록금, 교육비 환원율, 교내장학금, 재정지원사업 수혜 금액을 선정했으며, 연구환경변인은 전임교원 확보율, 전임교원 1인당 대학원생 수, 전임교원 1인당 강의 학점,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 연구소 전임인력으로 선정하였다. 종속변인은 연구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변인으로 전임교원 1인당 연구실적을 선정했다. 그리고 통제변인으로 설립유형, 소재지, 규모로 설정했다.
      분석 결과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분석결과에서 교육비와 교육비 환원율, 그리고 재정지원사업 수혜 금액은 교육성과와 연구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교육재정으로 나타났다. 교육재정이 대학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충분조건인 아니더라도 필요조건임을 인식할 때, 대학은 지속적인 재정 확충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대학 자체적인 재정 마련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해외와 비교했을 때 절대적인 교육재정이 부족함을 인식하여 정부에서도 재정지원사업 뿐만 아니라 일반재정지원 규모를 증가시킬 필요성이 있다. 둘째, 대학환경은 대학별 특수성에 맞게 조성되어야 한다. 분석결과, 대학기관변인이 대학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였다. 대학은 대학별로 추구하는 목적 및 인재상이 다양하다. 교육과 연구라는 중요한 대학성과 중에 대학별로 보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성과에 따라 재정지원 활용이 상이할 것이다. 한정된 재정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대학은 각자 대학만의 특수성에 기인한 재정활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셋째, ACE사업 선정 대학은 교내장학금이 교육성과를 높이는 데 중요한 교육재정으로 나타났다. 교내장학금은 ACE사업 선정 대학에서 취업률과 중도탈락률이라는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ACE사업 미선정 대학은 교내장학금이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교내장학금으로 교육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은 우수한 교육적 환경을 먼저 조성해야 함을 알 수 있다. 결국, 부족한 교육재정 상황 하에서 장학금만 지원하는 것은 학생들의 교육적 성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될 수 없고, 대학의 우수한 환경 조성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ACE사업 선정 지표에 있어서 장학금 지급률에 대한 지표는 다시 고려해봐야 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ACE사업 미선정 대학은 전임교원 확보율이 교육성과를 높이는 중요한 교육환경 요소이다. ACE사업 선정 대학은 ACE사업으로 다양한 프로그램 등을 시행하여 대학 차원의 노력을 통해 학생들의 역량을 높이고 있다. 상대적으로 ACE사업 미선정 대학은 학생들의 교육적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에 있어서 전임교원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므로 ACE사업 미선정 대학은 보다 전임교원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원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으며, 또는 ACE사업에서 학생의 교육적 역량을 강화시킨 주요한 프로그램들을 벤치마킹하여 대학의 상황에 맞게 적용해야한다. 다섯째, BK21+사업 선정 대학은 대학원생이 연구성과를 높이는 중요한 인적 요소로 나타났다. BK21+사업은 대학의 우수한 연구환경이 조성된 토대에서 대학원생들에게 학업에만 전념할 수 있는 장학금 또한 지원된다. 그러므로 대학원생은 연구에 매진할 수 있게 되며 전임교원과의 협업으로 연구성과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게 된다. 여섯째, BK21+사업 선정 및 미선정 대학 모두 연구소 전임인력은 연구성과를 높이는 데 중요한 인적 요소이다. 그 동안 대학 내 연구소 전임인력에 대한 지원과 관심은 많이 부족한 상황이었다. 대학은 대학 내에서 확보된 유능한 연구소 전임인력을 활용한다면, 대학 자체적인 인력만으로도 연구성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대학은 그 동안 등한시했던 연구소 전임인력에 대한 지원으로 연구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교육재정 및 여건과 관련된 대학기관변인이 교육성과 및 연구성과로 대표되는 대학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재정지원사업에 따라 대학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차...

      본 연구는 교육재정 및 여건과 관련된 대학기관변인이 교육성과 및 연구성과로 대표되는 대학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재정지원사업에 따라 대학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자료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제공하는 대학정보공시 자료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대학순위 자료는 중앙일보 대학평가 자료를 활용하였다. 대상학교는 4년제 일반대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2013년∼2015년 자료가 공개되어 있는 대학교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최종적으로 선정된 대학교는 185개교이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재정지원사업은 교육성과와 관련된 사업으로 ACE사업을 선정했으며, 연구성과와 관련된 사업은 BK21+ 사업을 선정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성과를 교육성과 및 연구성과로 구분하였다. 그에 따라 교육성과 및 연구성과 분석모형을 각각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교육성과 분석 모형은 독립변인으로 교육재정 및 교육환경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육재정은 교육비, 등록금, 교육비 환원율, 교내장학금, 재정지원사업 수혜 금액을 선정했으며, 교육환경은 전임교원 확보율,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 교사(校舍) 확보율, 대학순위이다. 종속변인은 교육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기관변인으로 취업률과 중도탈락률을 선정했다. 통제변인으로 설립유형, 소재지, 규모로 설정했다. 다음으로 연구성과 분석 모형을 살펴보면, 독립변인으로 교육재정 및 연구환경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육재정변인은 교육성과모형과 동일한 변인인 교육비, 등록금, 교육비 환원율, 교내장학금, 재정지원사업 수혜 금액을 선정했으며, 연구환경변인은 전임교원 확보율, 전임교원 1인당 대학원생 수, 전임교원 1인당 강의 학점,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 연구소 전임인력으로 선정하였다. 종속변인은 연구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변인으로 전임교원 1인당 연구실적을 선정했다. 그리고 통제변인으로 설립유형, 소재지, 규모로 설정했다.
      분석 결과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분석결과에서 교육비와 교육비 환원율, 그리고 재정지원사업 수혜 금액은 교육성과와 연구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교육재정으로 나타났다. 교육재정이 대학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충분조건인 아니더라도 필요조건임을 인식할 때, 대학은 지속적인 재정 확충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대학 자체적인 재정 마련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해외와 비교했을 때 절대적인 교육재정이 부족함을 인식하여 정부에서도 재정지원사업 뿐만 아니라 일반재정지원 규모를 증가시킬 필요성이 있다. 둘째, 대학환경은 대학별 특수성에 맞게 조성되어야 한다. 분석결과, 대학기관변인이 대학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였다. 대학은 대학별로 추구하는 목적 및 인재상이 다양하다. 교육과 연구라는 중요한 대학성과 중에 대학별로 보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성과에 따라 재정지원 활용이 상이할 것이다. 한정된 재정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대학은 각자 대학만의 특수성에 기인한 재정활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셋째, ACE사업 선정 대학은 교내장학금이 교육성과를 높이는 데 중요한 교육재정으로 나타났다. 교내장학금은 ACE사업 선정 대학에서 취업률과 중도탈락률이라는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ACE사업 미선정 대학은 교내장학금이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교내장학금으로 교육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은 우수한 교육적 환경을 먼저 조성해야 함을 알 수 있다. 결국, 부족한 교육재정 상황 하에서 장학금만 지원하는 것은 학생들의 교육적 성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될 수 없고, 대학의 우수한 환경 조성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ACE사업 선정 지표에 있어서 장학금 지급률에 대한 지표는 다시 고려해봐야 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ACE사업 미선정 대학은 전임교원 확보율이 교육성과를 높이는 중요한 교육환경 요소이다. ACE사업 선정 대학은 ACE사업으로 다양한 프로그램 등을 시행하여 대학 차원의 노력을 통해 학생들의 역량을 높이고 있다. 상대적으로 ACE사업 미선정 대학은 학생들의 교육적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에 있어서 전임교원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므로 ACE사업 미선정 대학은 보다 전임교원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원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으며, 또는 ACE사업에서 학생의 교육적 역량을 강화시킨 주요한 프로그램들을 벤치마킹하여 대학의 상황에 맞게 적용해야한다. 다섯째, BK21+사업 선정 대학은 대학원생이 연구성과를 높이는 중요한 인적 요소로 나타났다. BK21+사업은 대학의 우수한 연구환경이 조성된 토대에서 대학원생들에게 학업에만 전념할 수 있는 장학금 또한 지원된다. 그러므로 대학원생은 연구에 매진할 수 있게 되며 전임교원과의 협업으로 연구성과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게 된다. 여섯째, BK21+사업 선정 및 미선정 대학 모두 연구소 전임인력은 연구성과를 높이는 데 중요한 인적 요소이다. 그 동안 대학 내 연구소 전임인력에 대한 지원과 관심은 많이 부족한 상황이었다. 대학은 대학 내에서 확보된 유능한 연구소 전임인력을 활용한다면, 대학 자체적인 인력만으로도 연구성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대학은 그 동안 등한시했던 연구소 전임인력에 대한 지원으로 연구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2. 연구 문제 7
      • 3. 용어의 정의 8
      • Ⅱ. 이론적 배경 10
      • Ⅰ. 서론 1
      •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2. 연구 문제 7
      • 3. 용어의 정의 8
      • Ⅱ. 이론적 배경 10
      • 1. 대학성과의 개념 10
      • 2. 대학성과 측정 모형 16
      • 3. 재정지원사업 현황 23
      • 4. 대학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기관변인 분석 39
      • Ⅲ. 연구 방법 47
      • 1. 연구 대상 47
      • 2. 대학기관변인 선정 48
      • 3. 연구 모형 56
      • 4. 변인 정의 57
      • 5. 변인의 정규성 검정 63
      • 6. 분석 방법 및 분석 절차 65
      • Ⅳ. 연구 결과 66
      • 1. 변인의 변화양상 66
      • 2. 대학기관변인이 대학성과에 미치는 영향 76
      • 3. 대학기관변인이 재정지원사업에 따라 대학성과에 미치는 영향 83
      • Ⅴ. 논의 99
      • 1. 변인의 변화양상 99
      • 2. 대학기관변인이 대학성과에 미치는 영향 103
      • 3. 대학기관변인이 재정지원사업에 따라 대학성과에 미치는 영향 110
      • Ⅵ. 요약 및 결론 119
      • 1. 요약 119
      • 2. 결론 121
      • 참고문헌 125
      • Abstract 13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교육부, "null",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 및 대학원 2016년 대학정보공시 계획 및 지침서, 2016

      2 장수명, "대학교육의 경제학", 한국노동연구원, 노동정책연구, 2(1), 47-79, 2002

      3 교육부, "「BK21 플러스 사업」", 기본계획. 교육부, 2013

      4 교육부, "「BK21 플러스 사업」", 기본계획. 교육부, 2014

      5 권기욱,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대구대학교 출판부, 서울: 학지사, 2001

      6 배병렬, "Amos21 구조방정식모델링", 서울: 도서출판 청람, 2014

      7 신현석, "한국의 고등교육 개혁정책", 서울: 학지사, 2005

      8 김병주, "ACE 사업 평가의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정치학회, 교육정치학연구, 23(1), 1-30, 2016

      9 임연기, Youn-Kee Im, "대학설립준칙주의 공과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26(4), 147-167, 2008

      10 김병주, "사립대학 재정지원 개선방안",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학술대회 자 료집, 2012(2), 71-96, 2012

      1 교육부, "null",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 및 대학원 2016년 대학정보공시 계획 및 지침서, 2016

      2 장수명, "대학교육의 경제학", 한국노동연구원, 노동정책연구, 2(1), 47-79, 2002

      3 교육부, "「BK21 플러스 사업」", 기본계획. 교육부, 2013

      4 교육부, "「BK21 플러스 사업」", 기본계획. 교육부, 2014

      5 권기욱,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대구대학교 출판부, 서울: 학지사, 2001

      6 배병렬, "Amos21 구조방정식모델링", 서울: 도서출판 청람, 2014

      7 신현석, "한국의 고등교육 개혁정책", 서울: 학지사, 2005

      8 김병주, "ACE 사업 평가의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정치학회, 교육정치학연구, 23(1), 1-30, 2016

      9 임연기, Youn-Kee Im, "대학설립준칙주의 공과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26(4), 147-167, 2008

      10 김병주, "사립대학 재정지원 개선방안",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학술대회 자 료집, 2012(2), 71-96, 2012

      11 이병식(Rhee, Byung Shik), 박혜경(Park, Hye Kyeong), 공희정(Gong, Hee Jung), 김혜림(Kim, Hye Rim), 전민경(Jhun, Min Kyung), "한국 대학효과 연구의 최근 동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교육과학연구, 43(4), 191-219, 2012

      12 김병주, "BK21 사업 재정지원 정책의 정치학", 한국교육정치학회, 교육정치학연구, 14(1), 29-50, 2007

      13 교육부, "BK21 플러스 사업 평가 개선안 발표", 교육부 보도자료, 2014

      14 장석환, "문민정부 이후 대학 정원정책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25(4), 389-412, 2007

      15 백병부, 황여정, "대졸 청년층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 직업능력개발연구, 11(2), 1-23, 2008

      16 성태제, 최정윤, 정진철, 이정미, "한국 대학의 질적 수준 분석 연구(Ⅰ)", 한국 교육개발원, 2007

      17 이병식, 나민주, 최정윤, 이정미, "한국 대학의 질적 수준 분석 연구(Ⅱ)", 한국 교육개발원, 2008

      18 김무영, 오세희, 서화정, 김민희, "고등교육 재정지원사업 발전방안 연구", 영 남대학교 고등교육정책연구소, 2016

      19 조영하, Young Ha Cho, "21세기 대학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고찰",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28(1), 1-30, 2010

      20 교육부, "“대학재정지원사업 개편 방향(시안)”", 발표. 교육부 보도자료, 2016

      21 교육부, "2015년 대학 구조개혁 평가 기본계획 확정", 교육부 보도자료, 2014

      22 김계수, "잠재성장 모델링과 구조방정식 모델분석", 서울: 한나래 아카데미, 2009

      23 이만희, 이정규, 이병식, "고등교육기관 체제의 수행지표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 육개발원, 2003

      24 교육부, "창조경제를 이끌어 갈 석박사급 창의인재", 연간 1만 5천명 양 성. 교육부 보도자료, 2013

      25 박환보, "대졸자 취업에 미치는 개인과 대학의 영향", 2011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동향조사 심포지엄, 242-264, 2011

      26 김병주, "대학재정 확보 및 지원방식의 현황과 과제", 동아인문학회, 동아인문학, 32, 323-355, 2015

      27 교육부, "2015년도 BK21플러스 사업 운영 관리 계획(안)", 교육부, 2015

      28 김민희, 최정빈, 최원호, 서화정, 박원혁, 박수정, 문명현, 김병주, "대학자율역량 강화지원사업(ACE+) 성과 분석",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7

      29 강선보,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대학교육 개혁의 이념",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연구, 24, 49-71, 2006

      30 김병주, "AHP를 이용한 대학재정지원 포뮬러지표 개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교육재정경제연구, 18(1), 225-245, 2009

      31 민철구, "연구소 중심의 대학연구시스템 활성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2

      32 김용남, "대학생의 학업중단 요인 분석.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2009

      33 배성근, "4차 산업혁명시대 고등교육 경쟁력 제고 방안", 한국교육정치학회 토론자료집, 39-62, 2017

      34 송기창, "박근혜정부 고등교육재정정책의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31(3), 255-279, 2013

      35 교육부,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ACE) 시행계획(안)", 교육부, 2014

      36 박정수, 홍희정, "대학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교육재 정경제연구, 18(1), 59-80, 2009

      37 대학저널, "하나은행, SKY 출신 합격 위해 면접점수 조작 파문", 대학저널 신문 2018. 2. 2, 2018

      38 서민원, "대학교육 효과성의 개념과 측정:모형 탐색과 적용", 고등교육연구, 6(2), 97-136, 1994

      39 이은진, 정인호, "교육역량강화를 위한 교수 직급별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 HRD연구, 7(1), 1-22, 2012

      40 김병주, 홍후조, 유현숙, 백성준, 김정희,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고등교육 체제개편 방안",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2011

      41 김지하, 이병식, "대학입학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교육성과 차이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교육 과학연구, 41(2), 209-230, 2010

      42 김병주, "정부의 재정지원사업을 통한 대학특성화 실태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교육재정경제연구, 19(4), 207-231, 2010

      43 김태일, 이경희, "대학순위와 전공의 임금효과: 성별 격차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교육 학연구, 43(3), 167-197, 2007

      44 송기창(Song Ki-Chang), "반값등록금정책에 따른 대학재정지원정책 개선방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한국교육정 치학회 토론자료집, 1-37, 2017

      45 교육부, "BK21플러스 사업 평가 개선 및 중간평가 추진 계획(안)", 교육부, 2014

      46 김병주, "고등교육의 국제경쟁력. 이종재 외(2010). 한국교육 60년", 서울: 학지사, 2010

      47 나민주, 정제영, 박주형, 한유경, "제2 단계 bk21 사업성과 및 개선방향에 대한 델파이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34(1), 239-262, 2016

      48 강미영, "다차원 분석모형을 적용한 학부교육 선도대학 정책분석",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 연구, 30(1), 35-70, 2017

      49 임소현, "사립대학의 재정요인이 학생의 중도탈락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교육재정경제연구, 22(2), 83-113, 2013

      50 박준식, "대학부설연구소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대학교육, 제74호", 한국대 학교육협의회, 1995

      51 구성우, 김병주, 문명현,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기관 변인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교육재정경제연구, 25(4), 225-250, 2016

      52 정제영,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수준 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아시아교육연구, 16(4), 57-76, 2015

      53 이태우, "사립대학의 재정여건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성인교육연구, 16(4), 111-133, 2013

      54 오호영, "대학서열과 노동시장 성과-지방대생 임금차별을 중심으로", 한국노동경제학회, 노동 경제론집, 30(2), 87-118, 2007

      55 김경호, "학부교육선도대학육성사업(ACE)의 효과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 대학교, 2017

      56 김훈호, "대학 재정지원 정책과 대학의 재정구조 분석. 박사학위논문", 서울 대학교, 2014

      57 김경일, "대학교육역량의 성과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 대학교, 2013

      58 오종진, "사립대학의 규모별·지역별 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회계학회, 국제 회계연구, 31, 265-284, 2010

      59 김무영, 최손환, "2016년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 수요자 만족도 조사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6

      60 배상훈(Bae, Sang Hoon), 홍지인(Hong, Jee In), 라은종(Ra, Eun Jong), "경향점수매칭을 통한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성과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34(3), 181-206, 2016

      61 Jorge, B., Philip, G. A., "World-Class worldwide transforming research universities in asia and latin america",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신정철 정지선 김명진 박환보 공역(2007). 세계수준의 연구중심대학을 향한 도전. 서울: 교육과학사, 2007

      62 강경석, "대학납입금과 장학금이 대학생의 학업지속에 미치는 효과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교 육행정학연구, 12(2), 1-17, 1994

      63 이필남, "사립대학 재정지출 변인과 교육의 질 관계에 대한 탐색적 분석", 韓國敎育財政經濟學會, 교육재정경제연구, 23(2), 235-266, 2014

      64 주휘정, "신규 대졸자 임금에 대한 개인 및 대학 효과 분석.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10

      65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2017 교육통계 분석자료집: 고등교육 취업통계편", SM 2017-5, 2017

      66 김민희, 최손환, 방청록, 류청산, 김병주, "2014년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 지원사업을 위한 사업설계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4

      67 이정은, "대학 졸업생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2

      68 김훈호, 박환보, "교수의 개인 특성과 대학의 연구 환경이 연구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29(2), 185-210, 2011

      69 김한기,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사업성과의 영향요인 연구. 박사학위논 문", 한남대학교, 2015

      70 윤홍주, "교육재정의 공평성 분석: 단위학교재정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04

      71 변기용, 이수지, "대학효과 이론의 관점에서 본 교환학생 프로그램 참여 경험의 의미",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53(2), 357-387, 2015

      72 서민원, "대학교육의 효과성 변인의 탐색(2): 대학교육 과정의 개념화와 측 정", 고등교육연구, 7(1), 211-244, 1995

      73 김무영, "대학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사립대학 재정변인 분석. 박사학위논 문", 영남대학교, 2014

      74 김호원, 이만기, "대졸자의 괜찮은 일자리에 영향을 미치는 취업준비활동 의 영향 분석", 한국취업진로학회, 취업진로연구, 5(4), 115-138, 2015

      75 교육부, "대학 자율성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한 대학 재정지원사업 개편계획 (안)", 교육부 보도자료, 2018

      76 박환보, "고등교육 보편화 이후 대졸자의 취업 격차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2012

      77 윤수경, "대학교육성과 영향요인 분석: KEEP data(1-7차)를 중심으로. 박 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3

      78 김병주, "대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등록금 인상의 필요성. 대학교육, 제141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06

      79 김종성, "대학부설연구소의 평가체제에 관한 연구: 국립C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27(3), 33-52, 2016

      80 백병부, 유백산, "편입학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4년제 대졸 청년 층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21(3), 99-117, 2011

      81 신소영, "대학 교육서비스 만족과 학교이미지 및 교육성과 만족에 대한 관계 분석",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 평생학습사회, 10(2), 1-23, 2014

      82 서영주, "대학 충원율의 영향요인 분석: 4년제 일반대학을 중심으로. 석사 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1

      83 임현정, "2000~2005년 수리영역 성취도 변화와 학교효과의 종단적 분석. 박 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06

      84 서화정, "대졸자의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대학 변인 분석. 박 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2014

      85 유병욱, "행정학분야 대학연구소의 역할과 기여: 연세대학교 도시문제연구 소의 사례", 현대사회와 행정, 25(1), 1-26, 2015

      86 서만덕, "대학의 교육 및 연구성과에 미치는 대학도서관 영향요인 연구. 박 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015

      87 문희원, "서열 위주의 대학선택이 이후 전공-직무 불일치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7

      88 정지선, 신정철, 이수정, "대졸청년층의 구직과정 및 취업의 질적 수준 분석: 전공계열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업능력개발연구, 14(3), 53-78, 2011

      89 조민수, "대졸자의 노동시장 이행에 관한 실증연구: 성공률, 기간, 임금차 이.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2009

      90 박남기, 임수진, "5 31 대학교육 개혁의 영향과 과제: 대학설립 준칙주의와 정원 자율화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교육정치학연구, 22(4), 1-28, 2015

      91 박경호, 백일우, "패널자료를 이용한 BK21 사업과 대학의 연구 성과 분석을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의 모색",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26(3), 233-249, 2008

      92 이수정, "원용아 이영철 박인철 대학의 사회봉사 기능이 인지도 및 교육성 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열린교육연구, 18(3), 1-26, 2010

      93 교육부, "‘잘 가르치는 대학’ 선도모델 창출․확산 지원 2016년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 공고", 교육부 보도자료, 2016

      94 박수미, 고장완, "대학의 교육환경과 학생참여, 학습성과의 구조적 관계와 전공계열 간 일반화 가능성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34(4), 187-213, 2016

      95 소병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전문대학 중도탈락 원인 분석: 대학경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33(3), 405-426, 2015

      96 박영규, "고등교육과 정부의 역할: 대학의 교육, 연구, 재정에 대한 국고보 조금의 역할.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011

      97 김미정, "정부 대학재정지원이 대학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학교육역량 강화사업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2013

      98 최은옥,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 수행이 대학생의 학습 참여, 대학 몰 입 및 인지적 정의적 역량에 미친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99 우상식, "대학 특성별 등록금 추이와 대학교육역량 관련 지표와의 관계 분석: 4년제 일반대학 등록금의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종단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31(4), 337-366, 2013

      100 배상훈, 라은종, 한송이,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ACE)이 대학생의 학습 참여에 미치는 영향: 지원적 대학환경, 교수-학생 상호작용, 고차원 학습, 학습량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35(1), 379-410, 2017

      101 이영민, 임정연, "중소기업 대졸 초기 경력자의 자발적 이직의도, 교육-직무 일치도, 일자리 특성의 관계에서 근무환경, 인간관계, 자기개발 가능성의 조절효과: 기업 교육에 대한 시사점", 한국기업교육학회, 기업교육연구, 15(2), 155-181, 2013

      102 Burton, R. C., "Places of Inquiry: Research and Advanced Education in Modern Universities.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고 용 박태준 성기선 유시민 윤종혁 이인효 채선희 공역(1999). 연구중심대학 의 형성과 발전", 서울: 문음사,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