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의 온라인 기부문화와 집단지성에 대한 문화기술지 연구 : 피에르 레비(Pierre Lévy)의 ‘집단지성’ 논의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2137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n) ethnographic study of the social media users’ online donation culture and collective intelligence : focusing on Pierre Lévy's 'Collective Intelligence'

      • 형태사항

        iv, 90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강진숙
        참고문헌수록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피에르 레비가 제시한 사이버 공간의 집단지성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온라인 기부와 집단지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오늘날 소셜미디어가 온라인 기부문화의 확산을 위한 도구로 주목받고 있다는 점에서 집단지성의 가능성과 그 함의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기부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을 그룹별로 선정하여 인터넷 문화기술지 방법을 토대로 참여관찰과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레비는 사이버 공간에서 집단지성의 발현 조건으로 주체형성, 지성의 구성, 실질적 역량의 동원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은 온라인 기부 커뮤니티와 플랫폼에 따라 각기 다른 참여 동기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주체의 형성 과정을 재현하였다. 둘째,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은 자율적인 참여와 지성의 다양화를 통해 자율적 집단을 구성하였고,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하며 다수의 지속적인 참여를 끌어냄으로서 온라인 기부를 통한 집단지성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이 과정에서 레비가 우려한 전체주의적 프로젝트로의 변모가 나타났으나, 일부 이용자들이 이에 대한 문제의식을 인식하고 있으므로 자정작용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기부를 통해 형성된 집단지성이 일부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에 의해 실질적인 역량으로 발현되었다. 이들은 자신만의 방법으로 지속적 또는 단발적으로 각자의 역량을 발휘하는 모습을 드러냈다.
      이에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온라인 기부가 집단지성으로 실현될 가능성을 파악하였고, 이와 더불어 한계점을 제시함에 따라 향후 온라인 기부의 활성화에 대한 방향과 대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피에르 레비가 제시한 사이버 공간의 집단지성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온라인 기부와 집단지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오늘날 소셜미디어가 온라인 기부문화의 확산을 위한 도구...

      본 연구는 피에르 레비가 제시한 사이버 공간의 집단지성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온라인 기부와 집단지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오늘날 소셜미디어가 온라인 기부문화의 확산을 위한 도구로 주목받고 있다는 점에서 집단지성의 가능성과 그 함의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기부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을 그룹별로 선정하여 인터넷 문화기술지 방법을 토대로 참여관찰과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레비는 사이버 공간에서 집단지성의 발현 조건으로 주체형성, 지성의 구성, 실질적 역량의 동원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은 온라인 기부 커뮤니티와 플랫폼에 따라 각기 다른 참여 동기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주체의 형성 과정을 재현하였다. 둘째,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은 자율적인 참여와 지성의 다양화를 통해 자율적 집단을 구성하였고,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하며 다수의 지속적인 참여를 끌어냄으로서 온라인 기부를 통한 집단지성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이 과정에서 레비가 우려한 전체주의적 프로젝트로의 변모가 나타났으나, 일부 이용자들이 이에 대한 문제의식을 인식하고 있으므로 자정작용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기부를 통해 형성된 집단지성이 일부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에 의해 실질적인 역량으로 발현되었다. 이들은 자신만의 방법으로 지속적 또는 단발적으로 각자의 역량을 발휘하는 모습을 드러냈다.
      이에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온라인 기부가 집단지성으로 실현될 가능성을 파악하였고, 이와 더불어 한계점을 제시함에 따라 향후 온라인 기부의 활성화에 대한 방향과 대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losely relationship between online donation and collective intelligence based on Pierre Lévy’s ‘Collective Intelligence’ in cyberspace.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implications in regard to today’s social media that attracts attention as a tool for the spread of the online donation culture. Based on internet ethnography, select social media groups and implement th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focus group interview, those who have participated in online donations.
      Lévy suggested revelation condition terms of collective intelligence in cyber place that formation of subject, constitution of intelligence, the mobilization of substantial capacity. The summary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f all, social media users suggested motivation according to the online donation community and platform, it reproduce the formation of various subject. Secondly, social media users organized voluntary groups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and diversify intelligence, guide to real-time interaction and continuos involvement, suggest meaning of online donation through collective intelligence. By this process, totalitarian project transition which Lévy was concerned, but some users awareness of this problems and it could be self-purification. Last of all, collective intelligence by online donation, revealed substantive capability by groups of social users. They continually or temporally, exposed their respective ability.
      In this study, comprehending the possibility of collective intelligence by using social media online donation. In addition, suggest an alternative and direction of the future online donation by present limitation.
      번역하기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losely relationship between online donation and collective intelligence based on Pierre Lévy’s ‘Collective Intelligence’ in cyberspace.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impl...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losely relationship between online donation and collective intelligence based on Pierre Lévy’s ‘Collective Intelligence’ in cyberspace.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implications in regard to today’s social media that attracts attention as a tool for the spread of the online donation culture. Based on internet ethnography, select social media groups and implement th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focus group interview, those who have participated in online donations.
      Lévy suggested revelation condition terms of collective intelligence in cyber place that formation of subject, constitution of intelligence, the mobilization of substantial capacity. The summary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f all, social media users suggested motivation according to the online donation community and platform, it reproduce the formation of various subject. Secondly, social media users organized voluntary groups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and diversify intelligence, guide to real-time interaction and continuos involvement, suggest meaning of online donation through collective intelligence. By this process, totalitarian project transition which Lévy was concerned, but some users awareness of this problems and it could be self-purification. Last of all, collective intelligence by online donation, revealed substantive capability by groups of social users. They continually or temporally, exposed their respective ability.
      In this study, comprehending the possibility of collective intelligence by using social media online donation. In addition, suggest an alternative and direction of the future online donation by present limit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문제제기 1
      • 제2절 연구목적 3
      • 제3절 논문의 구성 5
      • 제2장 집단지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 7
      • 제1장 서론 1
      • 제1절 문제제기 1
      • 제2절 연구목적 3
      • 제3절 논문의 구성 5
      • 제2장 집단지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 7
      • 제1절 피에르 레비의 집단지성 7
      • 1. 집단지성에 대한 사유 7
      • 2. 사회적 유대의 기술과 분자 정치 11
      • 3. 인류학적 공간으로서 사이버 공간 13
      • 1) 지식 공간으로의 전이 13
      • 2) 가상화와 사이버 공간 15
      • 제2절 사이버 공간과 집단지성에 대한 쟁점적 논의 17
      • 1. 사이버 공간의 주체에 대한 접근 17
      • 2. 사이버 공간의 집단지성 형성 20
      • 제3장 온라인 기부문화와 집단지성의 관계에 대한 논의 24
      • 제1절 소셜미디어상의 기부문화 24
      • 1. 소셜미디어와 기부에 대한 논의 24
      • 2. 온라인 기부에 대한 선행연구의 고찰 28
      • 제2절 온라인 기부를 통한 집단지성의 실천 30
      • 1. 소셜미디어를 통한 온라인 기부문화 30
      • 2. 소셜미디어 커뮤니티의 기부문화와 집단지성 33
      • 제4장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37
      • 제1절 연구문제 37
      • 제2절 연구방법 38
      • 1. 문화기술지의 개념과 유형 38
      • 2. 연구참여자 선정과 자료수집방법 41
      • 3. 자료분석방법 및 신뢰성 검증절차 45
      • 제5장 연구결과 46
      • 제1절 온라인 기부의 참여 동기와 형태 46
      • 1. 커뮤니티에 따른 참여 동기 46
      • 2. 온라인 기부 플랫폼에 따른 참여 형태 50
      • 제2절 온라인 기부와 집단지성의 가능성 54
      • 1. 자율적 참여와 지성의 다양화 54
      • 2. 지속적인 참여를 위한 상호작용 59
      • 제3절 온라인 기부를 통한 집단지성의 실제적 역량 63
      • 1. 실제적 역량의 발현과 의미 63
      • 2. 온라인 기부를 통한 집단지성의 한계 66
      • 제6장 결론 및 제안 71
      •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논의 71
      • 제2절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74
      • 참고 문헌 76
      • 부록Ⅰ 연구 소개서 83
      • 부록Ⅱ 연구 참여 동의서 84
      • 부록Ⅲ 초점집단인터뷰 질문지 85
      • 국문 초록 87
      • ABSTRACT 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