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육복지정책 대상 학생의 학교 적응력과 관련된 변인들을 고찰하고, 학생의 학교 적응력과 변인들 간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518110
청원군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학위논문(박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교육행정전공 , 2011. 8
2011
한국어
371.2 판사항(22)
충청북도
ⅶ, 111 p. : 삽도 ; 26 cm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김명수
참고문헌 : p.92-10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복지정책 대상 학생의 학교 적응력과 관련된 변인들을 고찰하고, 학생의 학교 적응력과 변인들 간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본 연구는 교육복지정책 대상 학생의 학교 적응력과 관련된 변인들을 고찰하고, 학생의 학교 적응력과 변인들 간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의 지원이 학생의 학교 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가족의 친밀감이 학생의 학교 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학교의 도움이 학생의 학교 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학교 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 탐색을 통해 교육복지정책 대상 학생들의 학교 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고찰하고 변인들 간의 관계를 가설적 구조모형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변인간의 영향력 정도와 가설 모형의 검증을 위해 서울특별시교육청 관내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대상 초등학교 11개교 4∼6학년 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분석 대상은 395명이었고 모델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의 지원이 교육복지정책 대상 학생의 학교 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학교 적응력과 .26의 직접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학교의 도움 변인을 매개 변인으로 해서는 .157의 간접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본 연구의 대상이 초등학교 고학년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학생들이 가정환경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또래 및 지역사회의 영향력이 미치기 시작하는 성장 발달 단계라는 점을 감안하였을 때 이는 지역사회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의미있는 결과라고 여겨진다.
둘째, 가족의 친밀감이 대상 학생의 학교 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학교 적응력 변인과는 .30의 직접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학교의 도움 변인을 매개로해서는 .212의 간접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교육복지정책 대상 학생들이 저소득의 가정의 자녀들임을 고려할 때 가족의 친밀감이 학생의 학교 적응력에 매우 중요하며, 가정환경에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주기위해 학교의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학교의 도움이 대상 학생의 학교 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학교 적응력 변인과는 .51의 높은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어 교육복지정책 대상 학생의 학교 적응력 변인 중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학교의 도움 변인은 지역사회의 지원 변인 및 가족의 친밀감 변인이 학교 적응력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면서 유의미한 간접 효과까지 보여주고 있다. 이는 학교 안에서 도움의 역할을 담당하는 교원과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역할이 중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넷째, 학교 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가 어떤지를 살펴보면, 대상 학생의 학교 적응력에 미치는 내생변인들의 직접 효과만을 고려한다면 학교의 도움 변인 0.509, 가족의 친밀감 변인 0.301, 지역사회의 지원 변인 0.260 순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학교의 도움 변인의 매개 효과를 고려한 후 교육복지정책 대상 학생의 학교 적응력에 미치는 내생변인들의 총 효과를 살펴보면 가족의 친밀감 변인 0.513, 학교의 도움 변인 0.509, 지역사회의 지원 변인 0.417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원 변인과 지역사회교육전문가 변인으로 구성된 학교의 도움이 학생의 학교 적응력 전반에 걸쳐 매우 특별한 의미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최종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χ2=30.201, df=21, p=.088로 .05 이상의 값을 보이고 있으며 기타 적합도 지수 역시 GFI=.984, AGFI=.996, RMR=.007, NFI=.986으로 나타났다. 또한 RMSEA의 경우 .033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다양한 모델의 적합도 지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최종모형은 여러 가지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교육복지정책 대상 학생의 학교 적응력에는 지역사회의 지원, 가족의 친밀감, 학교의 도움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교육복지정책 대상 학생의 학교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지원과 가족의 친밀감이 대상 학생의 학교 적응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학교의 도움이 절실하다. 특히 가족의 친밀감은 학교의 도움을 매개 변인으로 하여 학교 적응력에 미치는 총 효과가 변인들 중 가장 높음을 볼 때, 이는 교육복지정책을 효과적으로 실행하여 학생의 학교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지원과 더불어 대상 학생 가족의 친밀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여기에는 교육복지정책의 주도적인 시행 기관으로서 학교의 주도적인 활동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 도출된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 모형을 통해 교육복지정책 대상 학생의 학교 적응력 향상을 위해서는 학교-가정-지역사회가 연계된 교육복지 네트워크 중심의 교육복지정책 시행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Franklin, Jordan, "Family Practice", 1999
2 정원식, "인간과 교육", 培英社, 1970
3 Huston, "ChildreninPoverty", Children in Poverty, 1991
4 성태제, "현대교육평가", 학지사, 2007
5 최일섭, "지역사회복지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6 최옥채, "지역사회실천론", 2001
7 허병기, "페어 소사이어티", 2011
8 김용학, "사회 연결망 분석", 博英社, 사회연결망분석, 2003
9 Adams, Henry E., "Psychology of adjustment", Ronald Press Co, Psychology of adjustment, 1972
10 Castells, Manuel,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Blackwell Publishers, 2000
1 Franklin, Jordan, "Family Practice", 1999
2 정원식, "인간과 교육", 培英社, 1970
3 Huston, "ChildreninPoverty", Children in Poverty, 1991
4 성태제, "현대교육평가", 학지사, 2007
5 최일섭, "지역사회복지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6 최옥채, "지역사회실천론", 2001
7 허병기, "페어 소사이어티", 2011
8 김용학, "사회 연결망 분석", 博英社, 사회연결망분석, 2003
9 Adams, Henry E., "Psychology of adjustment", Ronald Press Co, Psychology of adjustment, 1972
10 Castells, Manuel,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Blackwell Publishers, 2000
11 오택섭, "사회과학 데이터 분석법", 나남, 2003
12 김계수,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데이타솔루션,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2001
13 尹正一, "21세기사회의 교육복지정책", 서울大學校 師範大學 敎育學科, 21세기사회의 교육복지정책, 1990
14 차유림, "아동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교 적응에 관한 연구, 2000
15 김계현, "서울대학생의 학업성취과정", 1995
16 김명수, "학교경영의 자율성과 책무성", 2003
17 성민선, "학교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9
18 김계수, "(Amos 18.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아카데미, (AMOS 18.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2010
19 박현선,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빈곤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 1998
20 김대일, 유경준, "소득분배 국제비교와 빈곤 연구", 2003
21 Seed, Philip, "Introducing network analysis in social work", J. Kingsley, 1990
22 유은수, "참여정부 교육복지정책의 평가연구", 2008
23 이군성, "사회복지 정보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2005
24 심재호, "지역복지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한국사회복지행정학, 2000
25 대통령자문 교육개혁위원회,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 1996
26 김명숙,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부적응과의 관계", 淑明女子大學校, 석사학위논문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1995
27 임정아, "청소년기 가족건강성과 학교 적응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2006
28 안영복, "적응 및 부적응 행동의 특성과 관계 변인", 1984
29 이종춘(Jong Choon Lee), "지역사회복지의 실천과제에 관한 일연구", 사회복지개발연구원, "사회복지개발연구, 1996
30 McAlpine, Avison, "Gender differences insymptomsofdepression among adolescents", 1992
31 이미숙, "지역사회의 네트워크 활성화요인에 관한 연구", 2006
32 Kagan, "United we stand: Collaboration in childcare and early education", 1991
33 이경은, "가족자원봉사경험과 가족의 건강성에 관한 연구", 韓國社會福祉學會, "한국사회복지학, 2003
34 신명호, "사회계층간 자녀의 학업성취도 격차와 양육문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35 남영자, "가족건강성이 청소년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2008
36 김영미, "중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 중학생의 학교 생활적응과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 2006
37 유명재, "사회복지서비스 조직간 네트워크 활동에 관한 연구", 2009
38 진미화, "아동의 부모에 대한 애착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주교육대학교대학원, 2007
39 진혜경, "학교 내의 복지 전문 인력과 교사의 협력 관계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카톨릭대학교대학원, 2005
40 정규석(Jung Kyusuk), "사회적 관계요인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2004
41 최경원, 최경원,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42 권유경, 정소희, "지역사회SES, 부모양육태도, 아동의 학교적응과 공격성", "지역사회SES, 2010
43 성선진,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관련요인의 인과적 관계 분석",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대학원, 2010
44 전화연, "청소년의 가정환경변인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2006
45 Scanlan, Tushman, "Characteristics and external orientations of boundary spanning individuals", 1981
46 장경문, "정상 비행청소년의 내외통제성과 자아개면에 관한 연구", 1984
47 최인이, "사회복지사들의 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8
48 남영옥(Nam Young-Ok), "이혼가정 자녀와 양부모가정 자녀의 학교적응 비교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연구, 2010
49 김희정, "저소득층 가정 청소년의 학교 적응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 2003
50 김자옥, "서울시 소재 사회복지관들간의 네트워크 활동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2000
51 이은선, "지역사회교육전문가와 교사의 역할 갈등 요인에 관한 연구", 2010
52 김연정, "현실요법 집단상담이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53 S.R, Hoy, Sweetl, "Designing better schools: The meaning and measure of enabling school structures", 2001
54 이혜경,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부적응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대학원, 2009
55 홍현미라, "지역사회 네트워크. 2001 사회복지시설?기관 실무자 교육교재", 2001
56 Gable, McGregor, Elliot, "Achievement goals, study strategies, and exam performance: A mediational analysis", "Achievement goals, 1999
57 정은아, "사회복지기관 간 네트워크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과 태도", 2003
58 김지혜, "청소년 학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지지체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1998
59 최경미,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전문성이 네트워크 활동에 미치는 영향", 2010
60 이기호, "초등학교 학생들이 지각한 담임교사 특성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학교 학생들이 지각한 담임교사 특성과 학교 적응과의 관계, 1999
61 오성우, "학교사회복지 서비스 이용이 중학생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2007
62 양금실, "아동의 가정환경변인과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2010
63 박지영, "한국 청소년의 사회복지의식과 청소년복지실태에 관한 실증적 연구", 2008
64 Bowen, Woolley, Richman, "School failure: An ecological-interactional-developmental perspective. In M. W. Fraser(Ed.)", 2004
65 Dubow, Ulman, "Assessing social support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rvey of children's social support", 1989
66 우수명, 우수명, "지역사회복지 관련 조직간 네트워크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숭실대학교, 2008
67 Blythe, "Social support networks: In health care and health promotion. In Wittaker and Garbarino(eds.)", 1983
68 김연희, 박경자,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및 귀인 성향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및 귀인성향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관계, 2001
69 안인영,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가족건강성, 학교생활적응과 우울과의 상관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2005
70 김욱기, 김욱기, "프로야구 구단-소비자의 CSR활동 적합성 구조모형 및 IPA 매트릭스 분석", 경희대학교, 2011
71 이현주, "사회복지조직 구성원의 조직간 관계: 장애인 복지 관련 조직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8
72 유윤덕,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자기효능감이 학습동기에미치는 영향",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자기효능감이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2010
73 박진성, "가정과 지역사회를 연계한 유아교육기관의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덕성여자대학교대학원, 2009
74 하명선, 하명선,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대학원, 2006
75 김미란, "초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 특성 및 학습지워 가정환경과 학업성취의 관계", 2005
76 김혜경,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대학원, 1999
77 김영종, "사회복지조직들의 지역사회 자원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 韓國社會福祉學會, "한국사회복지학, 1994
78 한영숙(Han Young-Suk), "아동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 및 부모의 양육태도와 행동문제간의 관계 연구", 한남대학교, 2006
79 문은식,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관련되는 사회·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관련되는 사회?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2002
80 정묘순, "한부모 가정과 양부모가정 청소년의 자아분화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비교",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1
81 강석진, "가족응집성 및 가족적응성, 정서지능, 친밀감이 수도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가족응집성 및 가족적응성, 2008
82 심혜숙, 변은주,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가족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2010
83 김준기 ( Jun Ki Kim ), 이민호 ( Min Ho Lee ), "한국의 네트워크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관의 네트워크와 조직 효과성",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06
84 Holanhan, Moos, Valentiner, "Parental support,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n intergrative model with late adolescents", "Parental support, 1995
85 어은주, "한국 도시 가족의 건강성 및 관련 변인 연구 : 자녀 교육적 가족의 주부를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86 배은영,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2007
87 김인숙, 우국희, "사회적 관계망 개입의 유형과 장애요인 연구-지역사회복지관 재가복지센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사회적 관계망 개입의 유형과 장애요인 연구: 지역사회복지관 재가복지센터를 중심으로, 2000
88 신지현, "저소득 가정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자아존중감 및 자기 통제력과 환경변인의 중재효과", 2008
89 Hahn, "The use of referrals to community resources by school social workers in The Chicago Public Schools. Doctoral dissertation", 1994
90 김순규,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발달모형 - 보호요인의 부가, 매개, 조절효과 모형을 중심으로", "빈곤청소년의 학교 적응 유연성 발달모형 -보호요인의 부가, 2006
91 Song, Tracy, Biegel, "Barriers to social network interventions with persons with severe and persistent mental illness: A survey of mental health case managers", 1995
92 박혜정, "초등학교 일반가정 아동과 결손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비교 연구 : 화순군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2000
93 Ladd, Coleman, Kochenderfer, "Classroom peer acceptance, friendship, and victimization: Distinc, relationship systems that contribute uniquely to children's school adjustment?", "Classroom peer acceptance,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