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nrelational aggression in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yberbullying among early adolescents. The study which explored family factor and personal psyc...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770246
서울: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5
학위논문(석사) --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 아동·청소년상담학과 , 2015. 2
2015
한국어
362.7 판사항(22)
서울
83 p. : 삽화,표; 26 cm.
지도교수: 장석진
상명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nrelational aggression in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yberbullying among early adolescents. The study which explored family factor and personal psyc...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nrelational aggression in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yberbullying among early adolescents.
The study which explored family factor and personal psychological
factor will provide evidenced information for developing the
cyberbullying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
The study's participants were 601 students selected from 5th
and 6th graders at elementary schools and 1st and 2nd graders at
middle schools in Seoul. The instruments were as follows.
The modified Korean version (Jeon, 2007) of Psychological Control
Scale-Youth Self-Report (PCS-YSR) used by Barber (1996) was
used to evaluate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perceived by youth.
The modified Korean version (Kim, 2012) of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offending used by Hinduja and Pin (2012) was
used to evaluate experience among cyberbullying among early youth.
The modified Korean version (Han, 2008) of Peer Conflict Scale
(PCS) used by Marsee, Kimonis & Frick(2004) was used to evaluate
peer conflic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First,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offending. In addition, relational
aggress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offending.
Secon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directly affected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offending, and the mediation effect on relational
aggression was verified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yberbullying.
In conclusions, this study verified mediating effects of relational
aggression as a individual fac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s a family factor and cyberbullying
among early youth.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초기 청소년의 사이버 불링 간의 관계에서 관계적 공격성의 매개함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사이버 불링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환경 요인과 개인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초기 청소년의 사이버 불링 간의 관계에서 관계적 공격성의 매개함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사이버 불링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환경 요인과 개인 심리적 요인을 확인해 봄으로써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를 통한 초기 청소년의 사이버 불링 예방 및 중재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사이버 불링 경험을 줄이고 청소년의 복잡한 관계적 공격성의 심리적 기제를 살펴 임상현장에서 예방적 상담 개입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서울 소재의 초등학교 5, 6학년 및 중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633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적으로 601부의 설문지를 통계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를 측정하기 위해 Barber(1996)가 개발한 심리적 통제 척도(PCS-YSR)를 전숙영(2007)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고, 초기 청소년의 사이버 불링 피해 및 가해 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Hinduja와 Patchin(2012)이 개발한 측정 도구를 김은영(2012)이 수정 보완한 것을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수준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관계적 공격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영경(2008)이 번안한 Marsee, Kimonis & Frick(2004)의 자기보고형 또래척도(PCS)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관계적 공격성, 사이버 불링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사이버 불링 피해경험 및 가해경험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계적 공격성도 정적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 양육자인 어머니가 자녀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인정하지 못하고 심리적인 통제를 보인다고 청소년이 지각 할수록 청소년들은 사이버 불링 경험 수준이 높으며,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를 많이 경험할수록 또래관계를 조정하고 배척하려는 청소년의 관계적 공격성이 높다는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초기 청소년의 사이버 불링 피해 경험 및 가해경험 간의 관계에서 관계적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사이버 불링 피해경험 및 가해경험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미 하였고,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사이버 불링 피해경험 및 가해경험에 직접,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매개모형이 확인되었다. 즉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사이버 불링 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매개변인인 관계적 공격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사이버 불링 경험에 영향을 미치므로 관계적 공격성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사이버 불링 피해경험 사이를 부분매개 함을 결론 내릴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가정환경요인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초기 청소년의 사이버 불링 경험 간의 관계에서 개인 내적요인인 관계적 공격성이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연구는 사이버 불링에 미치는 영향 및 실태 연구가 대부분 이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 불링 경험에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뿐만 아니라 관계적 공격성의 매개효과 경로를 확인함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의의와 더불어 본 연구 초기 청소년의 관계적 공격성을 낮추고 사이버 불링을 예방할 수 있는 개입 방안과 기초 자료를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