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일터에서 불행감을 가지고 있고, 그로 인해 수행감소, 높은 이직률이 나타나고 있다. 직원의 불행감 해소는 조직입장에서 핵심인재의 유지 및 인재의 선발 교육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407415
서울 : 성균관대학교, 2014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인재개발학과 , 2014. 2
2014
한국어
"영성리더십" ; "일터영성" ; "영성지원 프로그램" ; "이직의도" ; "직무열의"
155.4 판사항(22)
서울
Effects of spiritual leadership behavior on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sion through follower's workplace spirituality
vi, 84 p. : 삽화 ; 30 cm
지도교수: 서용원
부록 수록
참고문헌: p. 67-7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일터에서 불행감을 가지고 있고, 그로 인해 수행감소, 높은 이직률이 나타나고 있다. 직원의 불행감 해소는 조직입장에서 핵심인재의 유지 및 인재의 선발 교육에...
최근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일터에서 불행감을 가지고 있고, 그로 인해 수행감소, 높은 이직률이 나타나고 있다. 직원의 불행감 해소는 조직입장에서 핵심인재의 유지 및 인재의 선발 교육에 따른 비용절감을 위해 중요하다. 따라서, 조직은 직원의 불행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임금, 복리후생과 같은 외적 보상을 강화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외적 보상은 쉽게 적응되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직원의 내적 가치 체계에 영향을 주는 방법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내적 가치 체계로 일의 의미와 인간관계에 초점을 두고, 행복감에도 영향을 주는 일터영성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직원의 일터영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리더의 영향과 조직 측면, 개인의 심리적 측면을 분석하였다. 리더의 영향으로는 최근 대두되었으나 국내에서는 거의 연구가 되지 않은 영성리더십을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조직 측면에서는 조직 구성원의 영성을 촉진하기위하여 조직이 제공하는 영성지원 프로그램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개인의 심리적 측면으로는 지각된 조직지원을 분석하였다.
연구 1에서는 부하의 일터영성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해 영성 리더십에 대한 개념을 재정의하고, 5개 하위 차원으로 구성개념을 확대하였다. 첫 번째 차원은 부하들에게 조직의 비전과 일의 가치, 의미를 잘 설명하는 리더의 행동인 ‘영성 리더십 소명’이고, 두 번째 차원은 부하들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어려움을 공유하며, 그들의 가치를 존중해 주는 ‘영성 리더십 공감’이다. 세 번째 차원은 팀워크와 단결을 중요시하며, 조직에 대해 긍정적으로 이야기하는 ‘영성 리더십 공동체’이고, 네 번째 차원은 일에서 즐거움과 환희를 강조하고, 윤리적이며 도덕적인 기준을 강조하는 ‘영성 리더십 초월’이며, 다섯 번째 차원은 솔선수범하여 스스로를 되돌아보고, 말과 행동을 통해 진실성을 드러내는 ‘영성 리더십 내면’이다. 각 요인의 신뢰도와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척도가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연구2에서는 일터영성에 대한 선행변인에 대해 최초로 검증하였다. 국내외에서 일터영성에 대한 선행변인 연구는 전무한 실정인데, 리더가 영성 리더십을 행하면 부하의 일터영성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밝혔고, 조직 차원에서는 조직이 영성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면 부하의 일터영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개인이 조직에 대해 지각된 조직지원이 높을수록, 부하의 일터영성이 높아진다는 사실도 밝혔다. 또한, 조직의 영성지원 프로그램과 부하의 지각된 조직지원은 영성리더십과 부하의 일터영성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도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조직에서 영성지원 프로그램을 많이 제공할수록, 영성리더십이 부하의 일터영성에 미치는 영향은 강하게 나타났으며, 부하의 지각된 조직지원이 높을수록, 영성리더십이 부하의 일터영성에 미치는 영향은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리더의 영성 리더십 행동은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를 부하의 일터영성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Fry의 연구에서는 영성 리더십이 부하의 소명의식과 공동체 의식을 높여 직무수행과 조직몰입을 높인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성 리더십이 부하의 소명의식과 공동체 의식 뿐 아니라 내면의식, 초월의식, 공감의식을 포함하는 일터영성을 높여 궁극적으로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부하의 일터영성이 높아지면 직무열의 또한 높아지며, 반대로 그들의 이직 의도는 낮아짐을 확인함으로써, 조직이 복리 후생과 같은 외적 보상 이외에도 부하의 일터영성을 촉진함으로써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happiness in the workplace is the key of Happiness of somebody, most of employees have unhappiness in the workplace. So they have low performance and high turnover intension. To relieve of employees’ unhappiness is very important for organ...
Although happiness in the workplace is the key of Happiness of somebody, most of employees have unhappiness in the workplace. So they have low performance and high turnover intension.
To relieve of employees’ unhappiness is very important for organization to keep key person and to cost down of selection. So, organization provides reinforcements such as high wages, welfare to keep key person and to cost down of selection. But these reinforcement has limits to get used to easily. So, this research analyzes Workplace Spirituality focusing job’s meaning, relationship of people.
For workplace spirituality facilitation, this research analyzes leader, organization and individual’s affects. As leader’s affect this research verified spiritual leadership because of spiritual leadership is not studied in this area. As organizational affect this research verified spirituality support programs providing organization to facilitate individual spirituality. As personal affect this research verifie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Research 1 redefines comprehensive concept of spiritual leadership and develop a new scale that can contribute to succeeding researches in this area. The new scale constructs five sub factors such as spiritual leadership calling, spiritual leadership empathy, spiritual leadership membership, spiritual leadership transcendence, spiritual leadership inner life. And research 1 verified the validity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y using previously developed Spiritual Leaser Scale.
Research 2 has verified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First, verified antecedents of workplace spirituality such as spiritual leadership, spirituality support program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Next, revealed if organization provides many spirituality support programs, spiritual leadership’s effect over workplace spirituality is high and if employees perceive high organizational support, spiritual leadership’s effect over workplace spirituality is high.
Thirdly, verification of how workplace spirituality is mediating between spiritual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sion, engagement.
Fourthly, verified spiritual leadership has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engagement, turnover intension. So, this research revealed organization facilitate employee’s workplace spirituality is very important.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