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어머니의 아동기 애착 및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어머니의 아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886187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학위논문(박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아동학과 , 2018. 8. 졸업
2018
한국어
600
서울
The Effects of Maternal Childhood Attachment and Paternal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Maternal Parenting Efficacy on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with Infants
vi, 92 p. : 삽화.
지도교수: 도현심
참고문헌: p. 60-79
I804:11048-00000015081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어머니의 아동기 애착 및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어머니의 아동...
본 연구는 어머니의 아동기 애착 및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어머니의 아동기 애착 및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양육효능감을 통한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참가자는 전국의 6-15개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로 자기보고식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어머니의 아동기 애착은 Hazan과 Shaver(1992)의 성인애착 척도(Adult Attachment Scale)를 Jeon(1994)이 번안하고 곽소현(2006)이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여,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Nugent(1991)의 아버지의 양육참여 척도(The Father Caretaking Inventory [FCI])를 김상하(1998)가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척도는Gibaud-Wallston과 Wandersman(1978)의 양육효능감 척도(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PSOC])를 김민정(2008)이 수정·번안한 것이며,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는 Bornstein(1989)의 양육방식 척도(The Parental Style Questionnaire [PSQ])를 이형민 외(2008)가 수정·번안한 척도와, Pederson 등(1990)이 개발한 어머니 행동(Maternal Behavior Q-set [MBQ])척도를 김은실(2013)이 수정·번안한 어머니의 민감성 척도를 축약한 것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측정도구의 신뢰도(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직접 경로와 간접 경로로 구분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접 경로와 관련하여, 어머니의 아동기 애착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의 아동기 애착이 안정적이고,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많을수록, 어머니들은 민감한 양육, 가르치는/물질적 자극 양육 및 일관된 제한설정을 많이 나타내었다. 둘째, 간접 경로와 관련하여, 어머니의 아동기 애착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통해 어머니의 민감한 양육, 가르치는/물질적 자극 양육 및 일관된 제한설정 양육행동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의 아동기 애착이 안정적이고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많을수록,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높았으며, 이는 높은 수준의 민감한 양육, 가르치는/물질적 자극 양육 및 일관된 제한설정으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민감하고 긍정적 양육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해 어머니의 아동기 애착 및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의 중요성을 밝혔으며, 특히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아버지의 양육참여의 상대적 영향력을 강조하였다. 다시 말하면,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높은 양육효능감과 아버지 양육참여를 통한 정서적 지지는 어머니의 민감하고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촉진시키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영아기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ternal childhood attachment and paternal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maternal parenting efficacy on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with infants. It explored direct effects of maternal...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ternal childhood attachment and paternal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maternal parenting efficacy on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with infants. It explored direct effects of maternal childhood attachment and paternal involvement on parenting behavior,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 total of 310 participants, mothers of 6- to 15-month-old infant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items related to maternal childhood attachment, paternal involvement,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ternal childhood attachment and paternal involvement had direct effects 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When maternal childhood attachment was secure, and/or paternal involvement was high, sensitive parenting, didactic/material stimulation parenting and consistent limit setting increased. Second, maternal childhood attachment and paternal involvement had indirect effects on parenting behavior through maternal parenting efficacy. Mothers with secure childhood attachment, and/or with high paternal involvement had high parenting efficacy, which led to sensitive parenting, didactic/material stimulation parenting and consistent limit setting increased.
This study reveals the importance of maternal childhood attachment and paternal involvement, and maternal parenting efficacy in increasing mother’s sensitive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It emphasizes the relative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nd paternal involvement on parenting behavior. Therefore, high levels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nd emotional supports derived from paternal involvement are likely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encouraging sensitive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offer the foundation in designing parenting education programs for parents with infants in order to enhance maternal parenting efficacy.
목차 (Table of Contents)
1 성태제, "타당도와 신뢰도",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2
2 김계수, "AMOS 18.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 2011
3 우종필, "구조방정식 모델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아카데미, 2015
4 문혁준, "자녀양육의 최근 연구 동향 및 과제", 2005년도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005
5 김상하, "아버지의 영아 양육참여와 관련변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 청구논문, 1998
6 서소정, "양육효능감: 자녀양육행동 매개 모델",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 42(4), 11-27, 2004
7 이주연, "영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부모놀이치료학회, 한국부모놀이치료학회지, 1, 2010
8 한유미, "어머니의 사회성, 양육효능감 기각과 귀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5), 51-59, 2003
9 박수경, 권정윤, 정미라, "「영유아 관련 뇌 기반 연구에 대한 고찰」",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 연구, 31(2), 213-237, 2011
10 구미향, "영아기 애착관계 변인과 모성행동 특성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00
1 성태제, "타당도와 신뢰도",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2
2 김계수, "AMOS 18.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 2011
3 우종필, "구조방정식 모델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아카데미, 2015
4 문혁준, "자녀양육의 최근 연구 동향 및 과제", 2005년도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005
5 김상하, "아버지의 영아 양육참여와 관련변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 청구논문, 1998
6 서소정, "양육효능감: 자녀양육행동 매개 모델",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 42(4), 11-27, 2004
7 이주연, "영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부모놀이치료학회, 한국부모놀이치료학회지, 1, 2010
8 한유미, "어머니의 사회성, 양육효능감 기각과 귀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5), 51-59, 2003
9 박수경, 권정윤, 정미라, "「영유아 관련 뇌 기반 연구에 대한 고찰」",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 연구, 31(2), 213-237, 2011
10 구미향, "영아기 애착관계 변인과 모성행동 특성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00
11 윤지원, 조헌하, "미취학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행동 구조모형", 한국아동간호학회, 한국아동 간호학회지, 17(2), 111-119, 2011
12 이혜승, "부모의 아동기 애착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아동연구소, 숙명여자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0
13 이윤진, "아버지 양육지원 실태와 양육지원 역량 증진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7
14 김광웅, 이인수,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유아의 사회 정서적 능력", 한국아동학회, 아동학 회지, 9(2), 65-75, 1998
15 우희정, "가족환경과 아동의 자기-효능감 간의 인과모형 탐색", 전남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983
16 최형성, "양육효능감의 매개 역할: 양육행동의 인과관계 모형",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26(6), 351-365, 2005
17 한미향, "부부의 자아분화와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방안과의 관계", 서강대학 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2000
18 이정순,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 연구, 23(3), 6-20, 2003
19 김희진, "자녀 양육에 대한 한국과 미국 어머니들의 신념 비교 연구", 한국유 아교육학회지, 15, 5-23, 2005
20 박혜영, 전민영, "발달장애아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효능 감", 대한작업치료학회,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9(3), 23-33, 2011
21 이형민 ( Hyung Min Lee ), 서소정 ( So Jung Seo ), 박성연 ( Sung Yun Park ), "어머니의 양육유형 및 민감성이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 46(2), 97-111, 2008
22 김광웅, 정혜승, "어머니 자신의 부모 애착 및 양육행동과 자녀 애착과의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 놀이치료 연구, 4(1), 95-105, 2001
23 최옥자, "어머니의 아동기 부모애착이 자녀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한성 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4 김정주, 김용미, "아버지 역할수행, 결혼 만족도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간 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50, 113-137, 2007
25 송혜란, "어머니의 대상관계와 자녀양육행동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2(4), 373-389, 2014
26 황성온, 황지온, "영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태도 간의 인과적 종단 관계 분석",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36(4), 163-176, 2015
27 강현철, "구조방정식모형에서 적합도지수의 해석과 모형적합 전략에 대한 논의", 한국자료분석학회,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2), 653-668, 2013
28 최형성, "남녀아 어머니 양육효능감의 매개적 역할: 양육행동의 인 과관계 모형", 한국인간발달학회, 인간발달연구, 12(4), 121-137, 2005
29 전주혜, "유아기 부모의 원가족 경험이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 향",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9
30 김복선,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 향",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1
31 문혁준(Hyuk Jun Moon), 황영미 ( Young Mi Hwang ), "또래수용도와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 44(2), 83-91, 2006
32 정현희, 최경순,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아동의 성역할, 정서반응,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16(1): 33-47, 2005
33 박성연, 하유미, "어머니의 성인애착,부정정서 및 정서조절양식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발달학회,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12
34 이경하,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이 영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9
35 금지헌, 김동심, "취업모의 직무만족도,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 배우자 양 육참여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52(2), 141- 150, 2014
36 홍정아, "영아의 성별, 월령 및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효능감과 영아발달과 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0
37 김선애, 한유진, "아버지의 양육수행,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지식이 부 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55-64, 2009
38 김은실, "자폐성 장애 아동의 애착 증진을 위한 모-민감성 증진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한국정서 행동장애아교육학회, 29(2), 249-276, 2013
39 신숙재, 정문자,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 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19(1), 27-42, 1998
40 권미경,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영향요인-어머니의 취업여부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2), 19-41, 2011
41 이형민, "어머니와 영아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어머니의 민감성과 영아의 반응성의 차이", 인지발달중재학회, 인지발달중재학회지, 1(1), 89~102, 2010
42 도현심 ( Hyun Sim Doh ) , 김현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25(6), 279-298, 2004
43 문영희, "어머니의 원가족 건강성과 자아분화가 자녀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 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3
44 박수연, "영아와 부모의 특성 및 육아유형과 영아발달 간의 관계 :월령단계별 및 종단적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13
45 박성연, 안지영,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 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40(1), 53-68, 2002
46 이현, 한호순,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부부대화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어머니의 언어유형",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9(1), 133-147, 2005
47 이정신 ( Jeong Shin Yi ), 최영희 ( Young Hee Choi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3(1), 19-32, 2010
48 원명선,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도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9 최형성,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및 스트레스와 아동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02
50 정윤주,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아동기 애착경험, 성격특성, 자녀양육 스트레스와 양육행동”",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46(3), 73-85, 2008
51 홍윤정, 최효식, 연은모, 권수진,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자녀 가치,양육지식,양육스트레스 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육아정책연구소, 육아정책연구, 7(2), 21-45, 2013
52 문혁준, 이충량,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 및 어머니의 양육효능 감과 유아의 또래놀이 행동의 관계", 생활과학연구논집, 31(1), 66-91, 2011
53 김지영, 민하영,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삶의 만족도가 애 정적-거부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1), 137-155, 2010
54 손재익(Son Jae-ik),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유아특수교육연구, 10(3), 89~109, 2010
55 이서영 ( Seo Young Lee ), 김숙령 ( Sook Ryong Kim ), "영아의 의사소통 능력이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 양육참여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한국유아교원교육학회, 19(4), 91-108, 2015
56 곽소현, "어머니의 아동기 애착, 정서, 양육행동과 아동의 문제행동의 경로모형 분석 : 문제군과 일반군을 대상으로", 성균관대학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6), 95-116, 2006
57 정옥분, 최형성,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대한 인과관계 모형 :아동의 기 질,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및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인간발달연구, 12(1): 51-67, 2005
58 윤유정,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 효능감, 아버지 양육참여도 의 관계 및 가족복지지원의 조절효과", 경운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학위 청구논문. 경운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6
59 김은지 ( Eunji Kim ), 전귀연 ( Gweeyeon Jeon ), "맞벌이 부모 간 아버지 양육참여의 지각차이가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자기효능감과 우울의 매개효과",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 54(5), 487-498, 2016
60 김종훈, 양소영, 성지현,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원이 후속 출 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매개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4(1), 87- 102, 2013
61 서석원 ( Seok Weon Seo ), 이대균 ( Dae Kyun Lee ),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및 심리적 특성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한국영유아교원교 육학회, 18(2), 135-158, 2014
62 김수정, "원가족 부모와의 관계 및 현 배우자와의 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지 각 및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과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2), 73-88, 2016
63 김민정, "공격적 유아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과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08
64 전효정, "어머니 - 유아 애착의 세대 간 전이의 메커니즘: 어머니의 내적실행 모델과 자녀양육 행동이 유아의 애착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 구, 8(3), 159-174, 2003
65 최은영, 손영빈, "맞벌이부부의 가정과 직장 간 역할갈등이 결혼만족도 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개인특성 및 가족과 직장지원의 조절효 과 중심", 한국가족관계학회, 한국가족관계학회, 14(3), 29-60, 2009
66 박경자, 정영선, 박미현, "첫째아의 사회 , 정서적 문제행동에 동생의 출생이 미치는 영향: 아버지의 양육참여,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긍정적인 양육태 도의 경로", 생애학회지, 7(1), 1-15,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