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약시장은 2016년 기준으로 186억 달러로 연평균 성장률 3%(`12∼`16)과 함께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산업이다. 국내 제약기업은 내수시장 위주의 전략에서 벗어나 해외 시장 개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911208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 2018. 8
2018
한국어
서울
Effects of Korean pharmaceutical export supporting program's service quality on export performance of Korean pharmaceutical companies
57 p. : 삽화, 표 ; 30 cm
지도교수: 이상원
참고문헌 : p. 53-55
I804:11040-00000014173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내 제약시장은 2016년 기준으로 186억 달러로 연평균 성장률 3%(`12∼`16)과 함께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산업이다. 국내 제약기업은 내수시장 위주의 전략에서 벗어나 해외 시장 개척...
국내 제약시장은 2016년 기준으로 186억 달러로 연평균 성장률 3%(`12∼`16)과 함께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산업이다. 국내 제약기업은 내수시장 위주의 전략에서 벗어나 해외 시장 개척을 본격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국 정부에서도 국내 제약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제약산업 육성·지원 5개년 종합계획”을 수립하였다. 종합계획에 따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등 유관기관에서는 국내 제약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수출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수출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의 서비스 품질과 국내 기업의 특성이 지원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활용도, 그리고 기업의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수출지원서비스의 개선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제1차 제약산업 육성·지원 5개년 종합계획이 종료되고 새로운 종합계획이 수립이 된 이 시점에서 유관기관 중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제공하는 수출지원서비스의 서비스품질, 만족도, 활용도에 대해 파악한 후 기업의 수출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제공한 수출지원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국내 제약 기업들을 대상으로 이메일과 직접방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출지원서비스의 서비스품질, 서비스 만족도, 활용도, 기업 수출 성과를 측정하였다. 수출지원서비스의 서비스품질은 서브퀄 모형(SERVQUAL)의 3개 차원(체계성, 신뢰성, 공감성)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서비스품질, 서비스 만족도, 활용도, 기업 수출 성과는 리커드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연구 모형은 PLS 구조방정식으로 PLS(Partial Least Square) 분석 방법을 통해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서비스 품질의 3개의 차원 중 체계성과 신뢰성이 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서비스 만족도는 국내 제약기업의 해당 서비스 활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의 만족도와 활용도는 국내 제약기업의 최근 수출성과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향후 수출성과에 대한 기대치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