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희망적 사고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7550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아동학과 , 2020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31.232 판사항(6)

      • DDC

        305.23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79장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신나나
        권말부록: 질문지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부모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희망적 사고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남녀 고등학생 명(남학생 160명, 여학생 163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고등학생의 부모애착 측정을 위해 Armsden과 Greenberg(1987)의 부모 및 또래 애착 척도(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PPA])의 개정본인 IPPA-R을 국내에서 옥정(1998)이 수정 및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희망적 사고는 Snyder(2002)의 희망적 사고 모델에 근거하여 김택호(2004)가 청소년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수정 및 번안한 희망 척도(hope scale)를 사용하였다. 심리적 안녕감은 Ryff(1989)의 심리적 안녕감 척도(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를 김명소, 김혜원과 차경호(2001)가 한국판으로 번안하고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통한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뒤, AMOS 23.0 프로그램으로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설정하여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이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부모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살펴보면, 부애착은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모애착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와 안정된 애착을 형성할수록 청소년들은 높은 심리적 안녕감을 경험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부모애착이 희망적 사고를 통하여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인 경로와 관련하여, 부애착과 모애착 모두 희망적 사고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인 경로가 유의하였다. 즉, 부모와 안정된 애착을 형성하고 있을수록 청소년들의 희망적 사고가 높았으며, 희망적 사고를 높게 지각할수록 심리적 안녕감도 높았다. 이러한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애착이 희망적 사고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경로를 살펴봄으로써, 부애착과 모애착이 청소년의 희망적 사고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경로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시기를 겪는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고 유지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 및 교육의 개발과 시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부모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희망적 사고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남녀 고등학생 명(남학생 160명, 여학생 16...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부모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희망적 사고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남녀 고등학생 명(남학생 160명, 여학생 163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고등학생의 부모애착 측정을 위해 Armsden과 Greenberg(1987)의 부모 및 또래 애착 척도(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PPA])의 개정본인 IPPA-R을 국내에서 옥정(1998)이 수정 및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희망적 사고는 Snyder(2002)의 희망적 사고 모델에 근거하여 김택호(2004)가 청소년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수정 및 번안한 희망 척도(hope scale)를 사용하였다. 심리적 안녕감은 Ryff(1989)의 심리적 안녕감 척도(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를 김명소, 김혜원과 차경호(2001)가 한국판으로 번안하고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통한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뒤, AMOS 23.0 프로그램으로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설정하여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이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부모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살펴보면, 부애착은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모애착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와 안정된 애착을 형성할수록 청소년들은 높은 심리적 안녕감을 경험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부모애착이 희망적 사고를 통하여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인 경로와 관련하여, 부애착과 모애착 모두 희망적 사고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인 경로가 유의하였다. 즉, 부모와 안정된 애착을 형성하고 있을수록 청소년들의 희망적 사고가 높았으며, 희망적 사고를 높게 지각할수록 심리적 안녕감도 높았다. 이러한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애착이 희망적 사고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경로를 살펴봄으로써, 부애착과 모애착이 청소년의 희망적 사고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경로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시기를 겪는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고 유지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 및 교육의 개발과 시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rect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father and mother)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hopeful thinking on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 being. A total of 323 1st,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completed the questionnaire that included measures of parental attachment, hopeful thinking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AMOS 23.0 statistics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ttachment to mothers had a direct effects on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 being. Students who had higher levels of mother attachment tended to have higher psychological well being. In contrast, attachment to fathe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 being.
      Second, attachment to parents had indirect effects on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 being. Students who had higher levels of attachment to parent had higher levels of hopeful thinking, and they perceived more psychological well being.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father attachment and mother attachment on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 being through hopeful thinking. Finding from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the base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hopeful thinking programs and counseling programs to help increas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rect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father and mother)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hopeful thinking on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 being. A total of 323 1st,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p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rect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father and mother)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hopeful thinking on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 being. A total of 323 1st,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completed the questionnaire that included measures of parental attachment, hopeful thinking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AMOS 23.0 statistics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ttachment to mothers had a direct effects on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 being. Students who had higher levels of mother attachment tended to have higher psychological well being. In contrast, attachment to fathe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 being.
      Second, attachment to parents had indirect effects on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 being. Students who had higher levels of attachment to parent had higher levels of hopeful thinking, and they perceived more psychological well being.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father attachment and mother attachment on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 being through hopeful thinking. Finding from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the base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hopeful thinking programs and counseling programs to help increas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Ⅱ. 이론적 배경 7
      • A. 심리적 안녕감 7
      • B. 부모에 대한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 9
      • C. 청소년의 부모애착, 희망적 사고 및 심리적 안녕감 11
      • Ⅰ. 서론 1
      • Ⅱ. 이론적 배경 7
      • A. 심리적 안녕감 7
      • B. 부모에 대한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 9
      • C. 청소년의 부모애착, 희망적 사고 및 심리적 안녕감 11
      • Ⅲ. 연구문제 및 용어 정의 22
      • A.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22
      • B. 용어정의 23
      • Ⅳ. 연구방법 25
      • A. 연구대상 25
      • B. 조사도구 25
      • C. 조사절차 28
      • D. 자료분석 29
      • Ⅴ. 연구결과 30
      • A. 변인 간 상관관계 30
      • B. 측정모형 분석 33
      • C. 구조모형 분석 36
      • Ⅵ. 논의 및 결론 40
      • 참고문헌 46
      • 부록. 질문지 66
      • ABSTRACT 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