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다 이스카리옷 관련 이야기의 신학적 의도 연구 : 네 복음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ological Intention of the Text Related to Judas Iscario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3872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four Gospels describe the betrayal of Judas in common, there has been little in-depth researches of it for about two thousand years of church history. In fact, the Gospels do not speak cleary why Judas betrayed Jesus. They do not reveal Judas...

      Although four Gospels describe the betrayal of Judas in common, there has been little in-depth researches of it for about two thousand years of church history. In fact, the Gospels do not speak cleary why Judas betrayed Jesus. They do not reveal Judas’ mentality or personality and describe his process to betrayal. However, scholars have so far inclined to continue their researches in their own interests by focusing on reconstruction of biblical texts or on an etymology of his last name, “Iscariot.” In these scholarly environments, this discussion about motives of Judas’ betrayal cannot but be driven by imagination and inference to a conclusion inevitably.
      In the early church the existence of Judah hardly understandable in relation to Jesus’ perfection, must be very burdened to authors of the Gospels. So they have attempted to overcome it in various ways and endeavored to re-interpret it theologically. Those theological interpretations having their intentions regarding Judas, could not help representing their perspectives of Judas in the Gospels. In this big picture this thesis focuses on ‘Judas’ perspectives of the Gospel authors who dealt with the being of Judas rather than on the person of Judas. In this direction this thesis aims to discover the theological intentions of the text related to Judas Iscariot.

      In the Synoptic Gospels, common materials are used in the texts related to Judas except the text of his death. Despite different positions of the Judas narrative, the flow of the narrative is the same. However, emphasis were slight different according to the authors’ stress in spite of the same flow of the narrative. But still common intentions in them are found. Those common intentions are followed below.
      First, the authors have approached in the perspective of the fulfillment of biblical prophecy in order to understand Judas’ betrayal having embarrassed to early Christians. Therefore, they have attempted to reveal everything is in God’s providence, showing Judas’ betrayal incidents lie in the divine initiative. Second, the authors have used Judas to give early Christians hope in difficult situations. Early Christian communities where the gospels were written suffered in persecution of Jews. There were occurrence of a lot of traditor in the persecution and a potential risk of renouncing the Christian faith under the enormous pressure of economic difficulties caused by the persecution. To empower the persecuted Christians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the authors have tried to inform that God has leaded everything in his Providence as Jesus has reached to a surprising mystery of Resurrection through his passion and death, as a result of a disciple, Judas’ betrayal. In other words, the authors have wished Christians were able to hope in God’s providence rather than Christians were sorrowful and confused even though Christians were in incomprehensible suffering. Lastly, the author have called for Christians’ perpetual faith and conversions. The authors have tried to present through Judas, who has got along, received teachings, witnessed miracles, and sent empowered by divine authority reserved in Jesus, that anytime Christians might come in the way of betrayal. So to speak the authors have hoped Christians to always examine their faith and strive to live a repentant life. Judas’s miserable end is like an alarm bell toward believers.

      The Gospel according to St. John has dealt comprehensively and effectively with Judas than the Synoptic Gospels. First, John also has demonstrated that Judas’ betrayal incidents lied in the divine initiative like the Synoptic. It gave an impression that Judas’ betrayal has little influenced in the Passion of Christ. Second, having equated Judas with “Jews” who has led to the death of Jesus and has not reached the true faith, he has attempted to reveal that “Jews” who has persecuted Christians(John’s community) went forward not to not Life of Jesus but to darkness(death). At the same time, he has helped his community recognize that his community members were beloved disciples of Jesus as sons of Light. Thus, John has wished the early Christians to overcome the persecution well and have hope. Lastly, John has represented what the way to the eternal life was by describing Judas as a representative of unbelief has chosen Satan and went forward to world of death/darkness. Namely, John has called for the perpetual faith as well as reflection on the faith.

      Living present days we may face difficulties like Judas’ betrayal any time. However, it is not the end of Judas’ betrayal. Because God ultimately has given us the gift of resurrection as using even evil for good with Divine initiative. In this reason we are able to have hope regardless of any trouble. In addition, John has showed we ourselves may fall into the temptation of Satan anytime in the life of faith, describing one of twelve disciples, Judas’ betrayal of Jesus. In consequence, Judas’ incident acts as an warning that we should go forward to the way of Life through a lasting trust in God and continue reflections on our faith.
      The Gospel authors has wished the readers to look back themselves through the Judas narrative. Considering intentions aforementioned together, this thesis is concluded that the authors’ intentions beyond past and present for us as true believers to come closer to God, may have been revealed in the Judas narrativ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네 복음서가 공통적으로 유다의 배신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지만, 정작 2000년의 교회 역사 안에서 그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사실 복음서들은 유다가 왜 예수님을 배신...

      네 복음서가 공통적으로 유다의 배신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지만, 정작 2000년의 교회 역사 안에서 그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사실 복음서들은 유다가 왜 예수님을 배신하였는지에 대하여 명확하게 말하고 있지 않다. 그에 대한 심리나 성격, 그리고 배신에 이르는 과정도 드러내고 있지 않다. 그래서 학자들은 성서 본문을 재구성하거나 유다의 성 즉 이스카리옷에 대한 어원 연구에 집중함으로써 자신의 구미에 맞게 연구를 이어나가곤 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다의 배신 동기에 대한 논의는 결국 불가피하게 상상력과 추론으로 결론을 지을 수밖에 없었다.
      분명 복음서 저자들은 예수님의 완전성 안에서 이해하기 힘든 유다라는 존재가 초기 그리스도교에 있어서 상당히 부담스러웠을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들을 하였고 이를 신학적으로 재해석 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러한 신학적 해석은 그들이 복음서 저술에 있어서 결국 어떤 의도를 반영할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본고의 필자는 유다라는 인물에 집중한 것이 아니라 유다라는 존재를 다룬 복음서 저자들의 관점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그리하여 유다 이스카리옷 관련 이야기의 그 신학적 의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공관복음은 유다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제외한 나머지 이야기들은 공통된 자료를 사용하고 있다. 물론 각 복음서 내에서 유다 이야기가 자리하고 있는 위치는 다르지만 그 흐름은 동일하다. 또한 동일한 자료를 사용했다하더라도 복음서 저자의 주안점에 따라 강조점이 조금씩 상이하였다. 그러나 그 안에 담긴 공통된 의도를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로 저자는 초기 그리스도인들에게 당혹스러움을 안겨주었던 유다의 배신을 이해하기 위하여 성경말씀 곧 예언의 성취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였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유다의 배신 사건들이 신적 주도권 안에 놓여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이 모든 것이 하느님의 섭리임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둘째, 어려운 상황 속에 있던 초기 그리스도인들에게 희망을 주기 위하여 유다를 이용했다는 것이다. 즉 복음서가 쓰여지던 초기 그리스도교 공동체들은 “유다인”들의 박해 속에 있었고 그 가운데 배교하는 자들이 발생하였으며 또한 박해로 인한 여러 어려움 속에서 생활고와 관련된 잠재적 배신의 위험성이 있었다. 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힘이 되기 위하여 저자들은 예수님의 제자였던 유다가 배신하여 예수님이 수난하시고 죽음에 이르셨지만 결국 부활이라는 놀라운 신비에 이른 것처럼 하느님은 당신의 섭리 안에서 이 모든 것을 주도하고 계셨음을 알려주고자 했다. 다시 말해 지금 그들이 이해할 수 없는 어려움을 겪더라도 슬퍼하거나 혼란스러워하기보다 오히려 그들에게 커다란 희망이 되기를 바랐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항구한 믿음과 회개를 요청하고 있다. 예수님과 함께 지내면서 가르침을 받고 기적을 직접 목격하였으며 당신께 유보된 신적 권한을 부여받고 파견되었고 또한 예수님의 몸을 받아 모셨을 지라도 언제든 배신의 길에 들어설 수 있음을 유다를 통해 드러내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유다와 같이 되지 않도록 늘 자신의 신앙을 점검하고 회개의 삶을 살도록 노력하기를 바라는 것이다. 유다의 비참한 말로는 바로 신앙인들을 향한 하나의 경종과도 같다.

      요한복음은 공관복음서보다 더 광범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유다에 대해 다루었다. 우선 요한복음도 공관복음서와 동일하게 유다의 배신 사건이 강력한 신적 주도권 아래에 놓여있음을 보여준다. 마치 유다의 배신이 당신에게 주어진 수난에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과 같은 인상마저 준다. 둘째, 참 믿음으로 이르지 못하고 예수님을 죽음에 이르게 한 “유다인”들을 유다와 동일시함으로써 자신들을 박해하던 “유다인”들이 예수님께서 주시는 생명의 길을 배척하고는 곧 어둠(죽음)으로 나아감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들과 달리 자신들은 빛의 자녀로서 예수님의 사랑받는 제자임을 자각하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요한은 초기 그리스도교인들이 박해 상황을 잘 극복하고 희망을 갖도록 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믿지 않는 이들의 대표격인 유다가 점차 사탄을 선택하여 어둠 곧 죽음의 세계로 들어가는 모습으로 그리면서 영원한 생명에 이르는 길이 무엇인지 나타내고자 하였다. 즉 항구한 믿음과 동시에 자신의 신앙에 대한 성찰을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현대를 살아가면서 우리는 언제나 유다의 배신과 같은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 그러나 유다의 배신이 어둠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께서 신적 주도권을 가지고 악 마저도 선용하시어 결국 우리에게 부활이라는 선물을 마련해 주셨다. 그렇듯이 우리는 어떠한 어려움에도 희망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예수님의 직제자인 유다의 배신을 바라보면서 신앙생활을 하는 우리 자신도 언제든 사탄의 유혹에 넘어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우리는 하느님께 대한 항구한 믿음과 지속적인 성찰로써 생명의 길로 나아갈 수 있다는 하나의 경종과도 같은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1
      • I. 서론 4
      • 1. 문제제기 4
      • 2. 연구동향 6
      • 국문초록 1
      • I. 서론 4
      • 1. 문제제기 4
      • 2. 연구동향 6
      • 3. 연구범위 및 방법 8
      • II. 유다 관련 이야기의 주석 10
      • 1. 공관 복음 10
      • 1.1 열두 사도 명단 (마르 3,13-19; 마태 10,1-4 ; 루카 6,12-16) 10
      • 1.2 유다의 배신 (마르 14,10-11; 마태 26,14-16 ; 루카 22,3-6) 20
      • 1.3 유다의 배신 예고 (마르 14,17-21; 마태 26,20-25 ; 루카 22,21-23) 30
      • 1.4 체포 (마르 14,43-50; 마태 26,47-56 ; 루카 22,47-53) 41
      • 1.5 유다의 죽음 (마태 27,3-10; 사도 1,16-20) 54
      • 2. 요한복음 60
      • 2.1 영원한 생명의 빵 담화(요한 6,60-71) 60
      • 2.2 향유설화 (요한 12,1-8; 마태 26,6-13 ; 마르 14,3-9) 64
      • 2.3 발씻김 예식(요한 13,1-20) 69
      • 2.4 유다의 배신 예고(요한 13,21-30; 마태 26,20-25; 마르 14,17-21; 루카 22,21-23) 74
      • 2.5 제자들을 위한 기도(요한 17,6-19) 80
      • 2.6 체포 (요한 18,1-11; 마태 26,47-56 ; 마르 14,43-50 ; 루카 22,47-53) 83
      • III. 유다 관련 이야기의 특성 87
      • 1. 공관복음 87
      • 1.1 신적 주도권 87
      • 1.1.1 예수님을 넘길 적당한 기회 88
      • 1.1.2 예수님의 자발성 89
      • 1.1.3 예언의 성취 90
      • 1.2 공동체의 우정의 단절 91
      • 1.2.1 열두 제자 가운데 하나 92
      • 1.2.2 사도 93
      • 1.2.3 금전적 거래 95
      • 1.3 회개에 대한 고찰 97
      • 1.3.1 회개의 기회(기다림) 97
      • 1.3.2 회개의 의미 98
      • 1.3.3 죄의 책임 100
      • 2. 요한복음 103
      • 2.1 신적 주도권 103
      • 2.1.1 evgw, eivmi 103
      • 2.1.2 유다의 미미한 역할 105
      • 2.2 요한 공동체 내의 상황 반영 106
      • 2.2.1 “유다인”들과의 갈등관계 상징 109
      • 2.2.2 유다와 “유다인”들의 성격규정 111
      • 2.2.3 내부 배신의 잠재적 가능성 113
      • 2.3 하느님의 사랑과 이에 대한 인간의 노력 115
      • 2.3.1 영적 식별 - 갈등과 선택 115
      • 2.3.2 하느님의 사랑에 대한 능동적 노력 필요 116
      • IV. 유다 관련 이야기의 신학적 의도 120
      • 1. 공관복음 120
      • 2. 요한복음 128
      • V. 결론 132
      • 참고문헌 136
      • Abstract 14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