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이르는 경로 탐색 :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비난의 순차적 매개효과 =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Self-Critic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012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self-critic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By testing the pathways from narcissism to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treating college students with social anxiety.
      For this investigation, a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graduate students;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Covert Narcissism Scale (CNS),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SIAS), Internalized Shame Scale (ISS), and self-criticism scale (Depressive Experiences Questionnaire; DEQ). The data from a total of 234 respondents was used for the following analyses.
      Fir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rimary variables. Second, the research model 1 and model 2 were tested by the Hayes’ procedures (2012) to verif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self-critic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In addition, a bootstrapping procedure was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 Third, the final model (the research model 1) was analyzed again through the aforementioned procedures after controlling for two sub-factors of covert narcissism (grandiose/exhibitionistic and vulnerable/hypersensitive) due to its presumed high correlations with both internalized shame and self-criticism.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vert narcissism, social interaction anxiety, internalized shame, self-criticism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covert narcissism affects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on of internalized shame and self-criticism. Third, the research model 1 was significant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two sub-factors of covert narcissism.
      The results indicate that covert narcissism has an effect 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rough internalized shame as an emotion variable and self-criticism as a cognitive variable, sequentially. This result suggests that covert narcissism is an important factor to treat social anxiety, and it merits considering counseling interventions that primarily focus on an emotional risk factor (e.g., shame) before treating a cognitive factor such as self-criticism of college students with social interaction anxiety.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self-critic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By testing the pathways from narcissism to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is stu...

      This study examined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self-critic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By testing the pathways from narcissism to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treating college students with social anxiety.
      For this investigation, a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graduate students;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Covert Narcissism Scale (CNS),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SIAS), Internalized Shame Scale (ISS), and self-criticism scale (Depressive Experiences Questionnaire; DEQ). The data from a total of 234 respondents was used for the following analyses.
      Fir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rimary variables. Second, the research model 1 and model 2 were tested by the Hayes’ procedures (2012) to verif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self-critic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In addition, a bootstrapping procedure was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 Third, the final model (the research model 1) was analyzed again through the aforementioned procedures after controlling for two sub-factors of covert narcissism (grandiose/exhibitionistic and vulnerable/hypersensitive) due to its presumed high correlations with both internalized shame and self-criticism.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vert narcissism, social interaction anxiety, internalized shame, self-criticism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covert narcissism affects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on of internalized shame and self-criticism. Third, the research model 1 was significant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two sub-factors of covert narcissism.
      The results indicate that covert narcissism has an effect 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rough internalized shame as an emotion variable and self-criticism as a cognitive variable, sequentially. This result suggests that covert narcissism is an important factor to treat social anxiety, and it merits considering counseling interventions that primarily focus on an emotional risk factor (e.g., shame) before treating a cognitive factor such as self-criticism of college students with social interaction anx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정서적 요인인 내면화된 수치심과 인지적 요인인 자기 비난이 어떠한 순서로 매개하는지 경험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회불안의 발생 경로를 밝힘으로써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지닌 대학생들의 사회불안 치료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내현적 자기애 척도,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자기 비난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총 234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치심과 자기 비난 중 어떤 변인이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선행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모형을 설정하여 Hayes(2012)의 절차에 따라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내현적 자기애의 주요 하위요인인 거대자기 환상/인정욕구와 과민/취약성을 제거한 후에도 순차모형이 유의한지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로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 비난, 사회불안은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 비난이 내면화된 수치심을 선행하는 경로보다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기 비난을 선행하는 경로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요인인 거대자기 환상/인정욕구와 과민/취약성을 통제한 후에도 내현적 자기애가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 비난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이르는 모형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내현적 자기애가 정서적 변인인 내면화된 수치심을 먼저 경험한 후 인지적 변인인 자기 비난을 하여 사회불안에 이른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사회불안을 호소하는 대학생들에게 상담 개입을 계획할 때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파악하고, 수치심에 초점을 둔 정서적 개입이 우선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정서적 요인인 내면화된 수치심과 인지적 요인인 자기 비난이 어떠한 순서로 매개하는지 경험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정서적 요인인 내면화된 수치심과 인지적 요인인 자기 비난이 어떠한 순서로 매개하는지 경험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회불안의 발생 경로를 밝힘으로써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지닌 대학생들의 사회불안 치료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내현적 자기애 척도,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자기 비난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총 234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치심과 자기 비난 중 어떤 변인이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선행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모형을 설정하여 Hayes(2012)의 절차에 따라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내현적 자기애의 주요 하위요인인 거대자기 환상/인정욕구와 과민/취약성을 제거한 후에도 순차모형이 유의한지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로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 비난, 사회불안은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 비난이 내면화된 수치심을 선행하는 경로보다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기 비난을 선행하는 경로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요인인 거대자기 환상/인정욕구와 과민/취약성을 통제한 후에도 내현적 자기애가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 비난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이르는 모형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내현적 자기애가 정서적 변인인 내면화된 수치심을 먼저 경험한 후 인지적 변인인 자기 비난을 하여 사회불안에 이른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사회불안을 호소하는 대학생들에게 상담 개입을 계획할 때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파악하고, 수치심에 초점을 둔 정서적 개입이 우선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