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isten to the stories about students’ experience about participating in the School Sports Club, “Early bird School Sports Club” and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in depth. The Early bird School Sports C...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003490
서울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체육 및 여가교육전공 , 2016.2
2016
한국어
서울
vi, 130 p. : 삽화 ; 26 cm
지도교수: 이철원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isten to the stories about students’ experience about participating in the School Sports Club, “Early bird School Sports Club” and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in depth. The Early bird School Sports 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isten to the stories about students’ experience about participating in the School Sports Club, “Early bird School Sports Club” and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in depth. The Early bird School Sports Club has been conducted in G Global High School in the period zero as a result of 9 o’clock go to school system. For this purpose, research task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PE teachers’ practical process, to examine what the students has experienced while practicing the leisure activity, “Early bird School Sports Club". Second, to examine how the leisure activity, “Early bird School Sports Club” has influenced on the school life based on the experience and behavior change of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that activity.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for 9 months from March 2015 to November 2015, will propose the researcher’s own experiences as a single case by describing them in the form of an autoethnography. The researcher has managed the leisure activity, “Early bird School Sports Club.”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data undergoing a self-recall, a self-reflection, a self-observation, a participant observation, a in-depth interview and an open survey. In the process of research, a long-term and repetitive observation, triangulation, member check and peer debriefing were used in order to ensure the veracity of a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bird School Sports Club" leisure activity provides students with a various opportunity of experience as a serious leisure activity. Second, “Early bird School Sports Club" leads students to a happy school life improving their physical health, influencing positively on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promoting their communal spirit.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9시 등교제 시행으로 0교시에 G국제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Early bird 학교스포츠클럽”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경험 이야기를 듣고 경험의 의미를 심층적...
본 연구의 목적은 9시 등교제 시행으로 0교시에 G국제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Early bird 학교스포츠클럽”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경험 이야기를 듣고 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Early bird 학교스포츠클럽” 여가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무엇을 경험하는지를 G국제고등학교 체육 교사들의 실천과정을 통해서 알아본다. 둘째, “Early bird 학교스포츠클럽”이 학생들의 진지한 여가활동으로서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학생들의 경험과 변화를 통해 알아본다.
본 연구는 2015년 3월부터 11월까지 9개월간 “Early bird 학교스포츠클럽” 여가활동을 운영했던 연구자 자신의 경험을 자문화기술지로 기술하여 하나의 사례로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자기회상, 자기성찰, 자기관찰, 참여관찰, 심층면담,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질적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장기적이면서 집중적인 관찰, 트라이앵귤레이션, 구성원 간 검토, 동료 간 협의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Early bird 학교스포츠클럽” 여가활동은 학생들의 진지한 여가활동으로서 다양한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둘째, “Early bird 학교스포츠클럽” 여가활동은 학생들의 건강 체력을 증진하고 사회성과 공동체 의식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쳐 즐거운 학교생활로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