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禮記』의 효제사상을 祭義篇을 중심으로 연구함으로써 효제의 보편성에 대해 살펴보고, 그 속에서 현대사회의 갈등적 요소들을 孝悌로 비롯되는 儒家의 사상에서 철학적 지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539567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유학과 , 2014. 8
2014
한국어
서울
113 ; 26 cm
지도교수: 이기동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禮記』의 효제사상을 祭義篇을 중심으로 연구함으로써 효제의 보편성에 대해 살펴보고, 그 속에서 현대사회의 갈등적 요소들을 孝悌로 비롯되는 儒家의 사상에서 철학적 지혜...
본 논문은 『禮記』의 효제사상을 祭義篇을 중심으로 연구함으로써 효제의 보편성에 대해 살펴보고, 그 속에서 현대사회의 갈등적 요소들을 孝悌로 비롯되는 儒家의 사상에서 철학적 지혜를 발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禮記』중「祭義」편을 중심 텍스트로 유가의 효제사상이 어떻게 이해되어 왔으며, 현재 우리에게 주는 가르침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본고를 통해 논의된 사항은 다음과 같이 요약 정리할 수 있다.
제1장 서론 부분에서는 이 연구가 기존의『예기』연구와는 다른 사상적 측면에서「제의」편을 관통하는 핵심인 효제에 초점을 두고 유가의 사상을 읽고자 했음을 밝혔다. 이어 본론 부분의 제2장에서는『예기』 이해에 필수적인 註釋書를 쓴 중국의 경학자를 먼저 살펴보았다. 한나라 정현은 今古文 통합적 입장에서, 당나라 공영달은 官주도적 입장에서 경학을 집성한다. 이후 朱子學의 영향을 받은 진호의 『集說』이 채택된다. 이 영향 하에 권근에 의한 禮學 집약이라는 맥락으로 이어지는 문헌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본고에서 주로 다룬 祭義篇의 연원과 구성 및 문헌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孝悌사상의 개념적 접근으로 효제의 개념과 祭義와 효제, 春禘秋嘗과 효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구체적으로 周 文王과 孔子의 祭를 통해서 본 성인들의 실천적 모습과 宰我問鬼에 대한 내용, 曾子와 樂正子春의 孝實踐 등 구체적 사례를 통해 효제사상을 살펴보았다. 제5장은 『禮記』의 祭義篇에 응축된 孝悌사상의 공효와 현대적 의미의 맥락을 살펴보았다.
儒家의 경전들은 상호연관성을 가지고 맥을 함께 한다. 여기『禮記』의 제의편만 가지고 보더라고 모두 유학의 道를 온전히 체험한 위대한 聖人들의 언행과 실천을 기록한 문장으로 서로 일치되는 구조이다. 유가 경전은 이러한 상호연관성을 기반으로 공자 이후 漢․唐을 거쳐 宋代에 이르러 철학적인 이론을 종합함으로 유가사상을 더욱 공고히 한다. 이러한 유가사상은 특히 조선 오백년 동안 우리의 정신적 내면의 바탕을 이루며 깊숙이 자리 잡게 되었고 현재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본고는「제의」편의 핵심을 孝悌로 파악하고 면밀히 고찰해 보았다. 이 한 편은 孝悌에 대한 이치를 밝히므로 효제를 기반으로 한 인간의 길에 대한 유가 사상의 지향점을 밝혔다. 따라서 지금의 우리에게 아직도 孝悌가 왜 인간답게 살아가는 중요한 단서인지 典據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