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朱子의 工夫論 硏究 = (A) study on Chu Hsi's theory of Kung-fu (工夫)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78445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目次
      • I. 序論 = 1
      • 1. 주자학에서 工夫의 개념과 工夫論의 의의 = 1
      • 2. 동양교육사상사에서 주자 공부론의 위치와 성격 = 4
      • 3. 현대 교육(학)의 과제와 주자 공부론 연구의 의미 = 9
      • 目次
      • I. 序論 = 1
      • 1. 주자학에서 工夫의 개념과 工夫論의 의의 = 1
      • 2. 동양교육사상사에서 주자 공부론의 위치와 성격 = 4
      • 3. 현대 교육(학)의 과제와 주자 공부론 연구의 의미 = 9
      • 4. 선행 연구의 검토 = 11
      • 5. 연구의 내용(범위) = 15
      • 6.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 16
      • II. 朱子 以前 新儒學 工夫論의 흐름과 과제 = 18
      • 1. 唐·宋 변혁기의 성격과 교육사적 문제 = 18
      • 1) 과거제도 및 학교제도의 정비와 지식인의 대두 = 18
      • 2) 인성교육론자들의 개혁구상과 과제 = 20
      • 2. 唐·北宋代 신유학 공부론의 태동과 전개 = 24
      • 1) 韓愈와 李 = 24
      • 2) 周敦(廉溪) = 27
      • 3) 張載(橫渠) = 31
      • 4) 程顥(明道) = 37
      • 5) 程(伊川) = 43
      • 6) 二程이후 공부론의 전개 양상과 주자의 과제 = 53
      • 3. 요약 = 56
      • III. 朱子 工夫論의 構造와 工夫의 主體·目的論 = 59
      • 1. 주자 공부론의 구조와 성격 = 59
      • 1) 주자 공부론에서 『大學』의 지위 = 59
      • 2) 『大學』‘三綱領 八條目’의 주자 해석과 공부론의 구조 = 62
      • 3) 工夫論에 있어서의 理氣心性論의 의미 = 66
      • 2. 유기체적 우주 이해와 인간의 본성 = 69
      • 1) 유기체적 우주 이해와 理氣 = 69
      • 2) 만물에 내재한 生命原理(生理)로서의 性 = 75
      • 3) 氣質之性과 인간의 본성 = 79
      • 4) 氣質變化와 공부의 가능성 = 86
      • 3. 공부의 주체 : 心 = 89
      • 1) 공부 주체로서의 心의 성격과 理氣 = 89
      • 2) 공부 주체로서의 心의 知覺 기능 = 93
      • 3) 공부 주체로서의 心의 主宰 기능 = 97
      • 4. 공부의 목적 : 心과 理의 一體化 = 102
      • 1) 心과 理의 一體化와 明明德·新民의 공부이상 = 102
      • 2) 明明德으로서의 仁(義禮智)의 본성 실현 = 105
      • 5. 요약 = 112
      • IV. 朱子 工夫方法의 形成過程 = 115
      • 1. 공부방법 관점 전개의 기본 성격 = 115
      • 2. 延平修學時節의 단계 : 未發氣象體認·分殊上의 融釋 = 118
      • 3. 中和舊說의 단계 : 已發察識存養·格物致知 = 124
      • 1) 本領 工夫에 대한 관심과 工夫의 두 領域 = 124
      • 2) 已發察識存養의 本領 工夫 = 126
      • 4. 中和新說의 단계 : 居敬涵養察識·格物致知 = 131
      • 1) 中和舊說의 반성과 공부 주체론(心性論)의 재정비 = 133
      • 2) 未發已發涵養察識의 本領 工夫 = 134
      • 3) 本領 工夫로서의 敬 工夫의 제기와 그 下學化 = 138
      • 4) 工夫의 두 영역 - 敬과 格物致知 = 144
      • 5. 요약 = 147
      • V. 朱子의 工夫方法: 敬·知·行 = 151
      • 1. 『大學』중심의 敬·知·行공부방법의 구조 = 151
      • 2. 本領 工夫로서의 敬 공부 = 154
      • 1) 敬 공부의 의의 : 心의 主宰性과 本心의 유지 = 154
      • 2) 敬 공부의 실천방법론 = 157
      • 3. 知 공부 : 格物致知 = 171
      • 1) 格物致知 공부의 의의 : 心의 理를 밝힘 = 172
      • 2) 格物致知의 개념 = 174
      • 3) 格物致知 공부의 실천방법론 = 184
      • 4) 格物致知 공부와 敬 = 195
      • 5) 讀書法: 格物致知의 한 範例 = 198
      • 4. 行 공부 : 誠意·正心·修身·齊家·治國·平天下 = 215
      • 1) 行 공부의 의의 : 자신(身)과 理의 一體化 = 215
      • 2) 行 공부의 실천방법론 = 219
      • 3) 行 공부와 敬 = 239
      • 5. 知·行(敬)의 상호관계와 그 공부론적 특성 및 의의 = 240
      • 1) 知行(敬)互發·知行(敬)竝進 = 241
      • 2) 知先行(敬)後 = 243
      • 3) 行(敬)重知輕 = 248
      • 4) 주자 知·行(敬) 공부법의 의의 : 陽明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249
      • 6. 주자 공부방법의 일반 특성 = 256
      • 1) 德性과 知性의 조화로운 계발 : 象山과의 공부방법 논쟁 검토를 중심으로 = 257
      • 2) ‘爲己之學’과 ‘下學而上達’의 공부 태도 = 262
      • 7. 요약 = 268
      • VI. 朱子 工夫論과 敎育의 實際 = 273
      • 1. 주자의 교육적 문제의식과 교육체제의 구상 = 273
      • 1) 주자의 교육적 문제의식 : 교육 본연의 회복 = 273
      • 2) ‘小學’과 ‘大學’의 두 단계 교육체제 정립 = 275
      • 2. 小學 단계 교육의 공부론적 의미 = 278
      • 1) 小學 교육의 의의 : 敬의 토대 확립 = 278
      • 2) 小學 교육 결핍의 보완책으로서의 敬 공부 = 283
      • 3. 書院敎育의 공부론적 의미 = 286
      • 1) 科擧 및 官學의 폐해와 書院敎育의 필요성 제기 = 287
      • 2) 주자 書院敎育理念의 공부론적 근거 : ‘白鹿洞書院學規’의 예 = 290
      • 4. 功利 위주의 교육문화에 대한 공부론적 비판 = 294
      • 1) 事功學派 교육관의 문제 = 294
      • 2) 科擧工夫文化의 문제 = 297
      • 5. 요약 = 299
      • VII. 綜合的 論議: 주자 공부론의 특성과 현대 교육적 이해 = 302
      • 1. 삶의 의미와 공부 목적 : ‘사랑’의 삶·사회의 실현 = 303
      • 2. ‘마음’과 공부 : 덕성·이성·감성 교육의 문제와 관련하여 = 309
      • 3. 敬, 앎, 실천이 어우러지는 공부 = 315
      • 1) 敬 공부 : ‘本心’으로 깨어있기 = 315
      • 2) 앎(知) 공부 : 가치이성의 실현 = 318
      • 3) 실천(行) 공부 = 321
      • 4) 일상적 삶 자체로서의 敬, 앎, 실천의 공부 = 323
      • 4. 주자 공부론의 한계 = 325
      • VIII. 要約, 結論및 提言 = 329
      • 1. 要約 = 329
      • 2. 結論 및 提言 = 334
      • 參考文獻 = 337
      • ABSTRACT = 34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