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부·모의 의도적 통제 및 양육행동과 학령기 아동의 의도적 통제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1910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아동학과 , 2015. 8. 졸업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00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x, 111 p. : 삽화.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희선
        참고문헌: p. 71-89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ffortful control (EC) has been known as a key construct of self-regulation (Eisenberg & Spinrad, 2004). EC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empathy, academic competence,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morality in children (Valiente, Eisenberg, Fabes, et al., 2004).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parents' own EC and parenting behavior influenced children's EC and subsequently their school adjustment in a sample of Korean children (ages 10-11 yrs., N=389). More specifically, using data from both mothers and fathers, we examin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mothers' and fathers' EC and parenting behavior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EC and its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Results revealed that parents' EC, especially mother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ositive parenting behavior, which in turn predicted high levels of children's EC and positive school adjustment. And fathers' parenting was influenced by mothers' parenting more than by their own EC. Therefore, mothers' EC which modulates their emotions and inhibits their negative behaviors is an important factor to enhance fa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subsequently influence children's adjustment. It wa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rough intervention program design to foster EC of children and parents, especially mothers.
      번역하기

      Effortful control (EC) has been known as a key construct of self-regulation (Eisenberg & Spinrad, 2004). EC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empathy, academic competence,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morali...

      Effortful control (EC) has been known as a key construct of self-regulation (Eisenberg & Spinrad, 2004). EC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empathy, academic competence,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morality in children (Valiente, Eisenberg, Fabes, et al., 2004).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parents' own EC and parenting behavior influenced children's EC and subsequently their school adjustment in a sample of Korean children (ages 10-11 yrs., N=389). More specifically, using data from both mothers and fathers, we examin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mothers' and fathers' EC and parenting behavior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EC and its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Results revealed that parents' EC, especially mother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ositive parenting behavior, which in turn predicted high levels of children's EC and positive school adjustment. And fathers' parenting was influenced by mothers' parenting more than by their own EC. Therefore, mothers' EC which modulates their emotions and inhibits their negative behaviors is an important factor to enhance fa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subsequently influence children's adjustment. It wa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rough intervention program design to foster EC of children and parents, especially moth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서조절능력 발달의 핵심이라고 알려진 의도적 통제에 초점을 두어 학령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의도적 통제의 역할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우선, 아동의 의도적 통제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모라는 환경체계 중, 의도적 통제의 기질적인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모의 의도적 통제를 포함하여 세대 간의 전이를 고려하였다. 또한, 의도적 통제능력이 환경에 의한 경험에 의해서 더욱 성숙된다는 사회화 특성을 고려하여 부모의 양육행동을 함께 조사하였다. 아동의 의도적 통제 능력은 사회성, 대인관계, 공감능력, 학업적 유능성 등과 관련이 높기에(Valient et al., 2004)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중요한 발달과업인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아동의 의도적 통제능력의 영향력을 강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부·모 각각의 의도적 통제 및 양육행동이 아동의 기질적·행동적 의도적 통제의 매개를 통해서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의 경로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러한 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구조모형을 개발하고, 아동의 성에 따라 구조모형에서 경로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해 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수도권 소재의 초등학교의 4학년 아동 389명(Mage = 10.4, SD = 3.8)이고, 그들의 아버지, 어머니, 교사가 연구자료 수집에 함께 참여하였다. 연구 자료는 아버지와 어머니가 각각 자신, 아동, 혹은 배우자에 대한 보고를, 아동은 실험과제에 참여를, 교사는 아동에 대한 보고를 함으로써 다양한 정보자와 조사방법을 통해서 수집되었다. 부·모의 의도적 통제는 Derryberry와 Rothbart(1997)의 Adult Temperament Questionnaire(ATQ) 척도로, 부·모의 양육행동은 이선희(2012)의 양육행동 척도로, 아동의 기질적 의도적 통제는 Rothbart 등(2010)이 개발한 Temperament in Middle Childhood Questionnaire(TMCQ) 척도로 부모가 보고하였다. 또한, 아동의 행동적 의도적 통제는 Eisenberg 등(2000)이 개발한 퍼즐박스 과제에 아동이 직접 참여하여 측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은 Stright 등(2007)이 NICHD연구에서 사회적 기술, 교사-아동관계, 또래지위, 학업적 유능성 등으로 구성하여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여 교사가 보고하였다. 자료 분석은 PASW 18.0과 AMOS 18.0을 이용한 기초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의도적 통제가 양육행동과 아동의 기질적·행동적 의도적 통제를 통해서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적인 모형을 개발하였는데 어머니의 의도적 통제 및 양육행동이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의미있게 나왔다. 어머니의 의도적 통제는 자신의 양육행동을 통해서 아동의 기질적·행동적 의도적 통제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쳐서 아동에게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아버지의 의도적 통제가 아동의 기질적, 행동적 의도적 통제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지 아버지의 양육행동은 어머니의 영향을 받아 아동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동의 기질적 통제와 행동적 의도적 통제에 대한 영향력은 다소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아동의 행동적 의도적 통제는 어머니의 의도적 통제와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의한 부(-)적인 영향을 받았다. 또한, 높은 수준의 기질적·행동적 의도적 통제는 모두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경로의 상대적인 크기를 조사한 결과, 아버지보다는 어머니가, 부·모의 의도적 통제보다는 양육행동이 아동의 의도적 통제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컸고, 아동의 기질적 의도적 통제가 행동적인 의도적 통제보다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의도적 통제가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기질적·행동적 의도적 통제를 매개로 학교생활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는 아동의 성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개발된 구조모형은 남아와 여아 모두에게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학령기 아동이 학교생활적응을 잘하기 위해서는 남녀 상관없이 아동의 의도적 통제 능력이 중요하고, 아동이 높은 의도적 통제 능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아버지보다도 어머니가 스스로 자신을 조절하는 높은 수준의 의도적 통제를 가지고 양육을 긍정적으로 하는 것이 가정 내에서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아버지 스스로의 의도적 통제능력보다는 어머니가 자신을 잘 조절하여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함으로써 아버지를 긍정적으로 유도하는 가정 내의 분위기가 아동의 의도적 통제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기 아동의 기질적 의도적 통제와 행동적 의도적 통제에 대한 부모의 영향력은 다소 다른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대상아동의 연령적 특성으로 기질적 의도적 통제와 행동적 의도적 통제 성숙의 안정성이 다른지, 국내에서 처음 시도된 퍼즐상자 실험과제가 문화적 차이로 그 타당성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에 대해 숙고해 볼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아버지와 어머니를 구분하여 조사하여 아동에 대한 각각의 독특한 영향력의 경로를 예측할 수 있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학령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방법으로 아동의 통제능력을 향상시켜 조절력을 길러주는 프로그램 개발이나 부모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정서조절능력 발달의 핵심이라고 알려진 의도적 통제에 초점을 두어 학령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의도적 통제의 역할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우선, 아동의 의도...

      본 연구는 정서조절능력 발달의 핵심이라고 알려진 의도적 통제에 초점을 두어 학령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의도적 통제의 역할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우선, 아동의 의도적 통제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모라는 환경체계 중, 의도적 통제의 기질적인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모의 의도적 통제를 포함하여 세대 간의 전이를 고려하였다. 또한, 의도적 통제능력이 환경에 의한 경험에 의해서 더욱 성숙된다는 사회화 특성을 고려하여 부모의 양육행동을 함께 조사하였다. 아동의 의도적 통제 능력은 사회성, 대인관계, 공감능력, 학업적 유능성 등과 관련이 높기에(Valient et al., 2004)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중요한 발달과업인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아동의 의도적 통제능력의 영향력을 강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부·모 각각의 의도적 통제 및 양육행동이 아동의 기질적·행동적 의도적 통제의 매개를 통해서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의 경로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러한 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구조모형을 개발하고, 아동의 성에 따라 구조모형에서 경로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해 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수도권 소재의 초등학교의 4학년 아동 389명(Mage = 10.4, SD = 3.8)이고, 그들의 아버지, 어머니, 교사가 연구자료 수집에 함께 참여하였다. 연구 자료는 아버지와 어머니가 각각 자신, 아동, 혹은 배우자에 대한 보고를, 아동은 실험과제에 참여를, 교사는 아동에 대한 보고를 함으로써 다양한 정보자와 조사방법을 통해서 수집되었다. 부·모의 의도적 통제는 Derryberry와 Rothbart(1997)의 Adult Temperament Questionnaire(ATQ) 척도로, 부·모의 양육행동은 이선희(2012)의 양육행동 척도로, 아동의 기질적 의도적 통제는 Rothbart 등(2010)이 개발한 Temperament in Middle Childhood Questionnaire(TMCQ) 척도로 부모가 보고하였다. 또한, 아동의 행동적 의도적 통제는 Eisenberg 등(2000)이 개발한 퍼즐박스 과제에 아동이 직접 참여하여 측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은 Stright 등(2007)이 NICHD연구에서 사회적 기술, 교사-아동관계, 또래지위, 학업적 유능성 등으로 구성하여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여 교사가 보고하였다. 자료 분석은 PASW 18.0과 AMOS 18.0을 이용한 기초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의도적 통제가 양육행동과 아동의 기질적·행동적 의도적 통제를 통해서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적인 모형을 개발하였는데 어머니의 의도적 통제 및 양육행동이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의미있게 나왔다. 어머니의 의도적 통제는 자신의 양육행동을 통해서 아동의 기질적·행동적 의도적 통제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쳐서 아동에게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아버지의 의도적 통제가 아동의 기질적, 행동적 의도적 통제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지 아버지의 양육행동은 어머니의 영향을 받아 아동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동의 기질적 통제와 행동적 의도적 통제에 대한 영향력은 다소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아동의 행동적 의도적 통제는 어머니의 의도적 통제와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의한 부(-)적인 영향을 받았다. 또한, 높은 수준의 기질적·행동적 의도적 통제는 모두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경로의 상대적인 크기를 조사한 결과, 아버지보다는 어머니가, 부·모의 의도적 통제보다는 양육행동이 아동의 의도적 통제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컸고, 아동의 기질적 의도적 통제가 행동적인 의도적 통제보다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의도적 통제가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기질적·행동적 의도적 통제를 매개로 학교생활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는 아동의 성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개발된 구조모형은 남아와 여아 모두에게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학령기 아동이 학교생활적응을 잘하기 위해서는 남녀 상관없이 아동의 의도적 통제 능력이 중요하고, 아동이 높은 의도적 통제 능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아버지보다도 어머니가 스스로 자신을 조절하는 높은 수준의 의도적 통제를 가지고 양육을 긍정적으로 하는 것이 가정 내에서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아버지 스스로의 의도적 통제능력보다는 어머니가 자신을 잘 조절하여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함으로써 아버지를 긍정적으로 유도하는 가정 내의 분위기가 아동의 의도적 통제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기 아동의 기질적 의도적 통제와 행동적 의도적 통제에 대한 부모의 영향력은 다소 다른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대상아동의 연령적 특성으로 기질적 의도적 통제와 행동적 의도적 통제 성숙의 안정성이 다른지, 국내에서 처음 시도된 퍼즐상자 실험과제가 문화적 차이로 그 타당성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에 대해 숙고해 볼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아버지와 어머니를 구분하여 조사하여 아동에 대한 각각의 독특한 영향력의 경로를 예측할 수 있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학령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방법으로 아동의 통제능력을 향상시켜 조절력을 길러주는 프로그램 개발이나 부모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Ⅱ. 이론적 배경 7
      • A. 학교생활적응의 정의 및 구성요소 7
      • B. 의도적 통제의 개념 및 구성요소 9
      • C. 아동의 의도적 통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부·모의 의도적 통제 및 양육 행동 13
      • Ⅰ. 서 론 1
      • Ⅱ. 이론적 배경 7
      • A. 학교생활적응의 정의 및 구성요소 7
      • B. 의도적 통제의 개념 및 구성요소 9
      • C. 아동의 의도적 통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부·모의 의도적 통제 및 양육 행동 13
      • D.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6
      • 1. 아동의 의도적 통제와 학교생활적응 16
      • 2. 부모의 양육행동과 학교생활적응 18
      • 3. 부모의 의도적 통제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부모양육행동과 아동의 의도적 통제의 매개효과 20
      • Ⅲ.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23
      • A. 연구문제 23
      • B. 용어의 조작적 정의 26
      • 1. 의도적 통제 26
      • 가. 아동의 의도적 통제 26
      • 나. 부모의 의도적 통제 27
      • 2. 부모의 양육행동 27
      • 3.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28
      • Ⅳ. 연구방법 29
      • A. 연구대상 29
      • B. 측정도구 31
      • 1. 부·모의 의도적 통제 31
      • 2. 부모의 양육행동 32
      • 3. 아동의 의도적 통제 34
      • 가. 기질적 의도적 통제: 질문지 조사(TMCQ 부모보고용) 34
      • 나. 행동적 의도적 통제(지속성): 퍼즐상자 과제(puzzle box task) 36
      • 4. 학교생활적응 37
      • C. 조사절차 39
      • D. 자료분석 40
      • Ⅴ. 연구결과 43
      • A. 이론 모형의 구조적 관계 검증 43
      • 1. 측정모형의 타당성 검증 43
      • 2. 잠재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48
      • 3. 이론모형의 구조모형 분석 50
      • B. 연구모형 검증에서의 성차 분석 58
      • Ⅵ. 논의 60
      • 참 고 문 헌 71
      • 부 록 90
      • ABSTRACT 11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 아카데미, 2012

      2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오해와 편견", 한나래 아카데미, 2014

      3 이학식, 임지훈,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7.0", 현문사, 2008

      4 김계수, "NEW AMOS 16.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 2007

      5 정대현, 지성애, "초등 일학년용 학교적응척도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27(1), 1-15, 2006

      6 송태민, "「보건복지연구를 위한 구조방정식모형」", 한나래아카데미, 한나래, 2012

      7 이선희, "학령기 자녀의 부모용 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12

      8 이경아, 이정윤, "초등학생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개인 및 가족요인",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2), 261-276, 2004

      9 배윤진, 임지영, "의도적 통제(Effortful Control) 관련 논문의 연구 동향", 한국생활과학회, 한국생활과학회지, 20(1), 1-14, 2011

      10 김광수, "청소년의 분노수준, 분노대처방식과 학교생활적응", 교육심리연구, 17(3), 393-410, 2003

      1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 아카데미, 2012

      2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오해와 편견", 한나래 아카데미, 2014

      3 이학식, 임지훈,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7.0", 현문사, 2008

      4 김계수, "NEW AMOS 16.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 2007

      5 정대현, 지성애, "초등 일학년용 학교적응척도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27(1), 1-15, 2006

      6 송태민, "「보건복지연구를 위한 구조방정식모형」", 한나래아카데미, 한나래, 2012

      7 이선희, "학령기 자녀의 부모용 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12

      8 이경아, 이정윤, "초등학생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개인 및 가족요인",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2), 261-276, 2004

      9 배윤진, 임지영, "의도적 통제(Effortful Control) 관련 논문의 연구 동향", 한국생활과학회, 한국생활과학회지, 20(1), 1-14, 2011

      10 김광수, "청소년의 분노수준, 분노대처방식과 학교생활적응", 교육심리연구, 17(3), 393-410, 2003

      11 이은경, 임연진, "남녀 초등학생의 정서조절 능력과 학교생활적응간의관계", 한국 생활과학회지, 19(2), 285-294, 2010

      12 임수진 ( Su Jin Lim ), 안진홍 ( Jin Hing Ahn ), "아동의 어머니 애착과 학교적응에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9(2), 331-345, 2012

      13 박성연, 강지흔, "남.여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6(1), 1-14, 2005

      14 강경석, 장영숙, 김희정, "유아의 연령 및 성별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24(4), 41-53, 2003

      15 도현심, 김민정, 김주연, "신나나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외로움:또래관계의 질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3(1), 111-131, 2012

      16 이희영, 최태진,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발달에 있어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애착의 역할", 초등교육연구, 20(1), 23-41, 2007

      17 임정화, 전종설, "부 모의 양육태도 및 의사소통이 남 여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19(8), 169-190, 2012

      18 김혜금,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어머니-자녀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50(6), 65-75, 2012

      19 김재희, 김민정, 김정은, 도현심, "부모에 대한 애착이 학령기 아동의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공감능력의 매개적 역할",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34(3), 129-150, 2013

      20 이지희 ( Jee Hee Lee ), 문혁준(Hyuk Jun Moon), "아동의 정서성, 정서조절 능력 및 어머니 양육행동이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29(4), 1-14, 2008

      21 배윤진, Lim, Ji Young, Bae, Yun Jin, 임지영, "부모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의도적 통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34(1), 161-173, 2013

      22 이하늘 ( Ha Neul Lee ), 이숙 ( Sook Lee ),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적 지지와 정서조절능력 및 자기효능감의 경로분석",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50(2),65-74, 2012

      23 곽금주, 김수정, "초기 학교적응과 어머니 양육 간 관계에 대한 아동 기질의 조절효과: 부정적 반응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4(2),155-171, 2011

      24 이유진, 정은정, "학령전기 아동의 의도적 통제의 매개효과: 모의 양육태도와 학령전기 아동의 심리적 적응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32(1), 231-249, 2013

      25 문영경, 이영,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 의도적 통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50(1), 103-119, 2012

      26 배윤진, 임지영,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인지적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영 향 요인: 부모와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애정적 양육행동을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33(3), 1-22, 2012

      27 정소희, "부부갈등, 부모양육행동, 자아통제력이 청소년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분석 : 비행친구와 학교부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73회복지학, 59(1), 145-170,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