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능주의 번역학의 이론과 실제 - 텍스트언어학과 문화기호학에 기초한 통합 번역이론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981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크게 보아 (1) 테스트언어학과 기호학에 기반을 둔 <이론>(Theorie), (2) 문학번역을 위한 <응용>(Anwendung) 그리고 (3) 번역비평과 커리큘럼을 다룬 <교육>(Ausbildung)의 세 부...

      본 연구는 크게 보아 (1) 테스트언어학과 기호학에 기반을 둔 <이론>(Theorie), (2) 문학번역을 위한 <응용>(Anwendung) 그리고 (3) 번역비평과 커리큘럼을 다룬 <교육>(Ausbildung)의 세 부문으로 구성된다. <이론> 부문에서는 독일과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의 텍스트언어학과 문화기호학에 기반을 둔 기능주의적 상호문화 번역이론을 연구한다. 특히 구조의미론(Strukturelle Semantik)과 텍스트 화용론(Textpragmatik)을 중심으로 발전한 기능주의 번역이론의 핵심을 개괄하며, 최근의 동향으로서 번역행위를 행위이론에 비추어 행위 조건, 행역자(Aktant), 행위수단, 행위목표의 체계로 조명하는 핀란드 번역학자 맨태리(J. Holz-Mänttäri)의 번역행위이론(Translatorisches Handeln)과 라이스-페르메어(Reiss/Vermeer)의 목적이론(Skopostheorie)의 핵심을 집약한다. 번역학은 진공 속의 학문이 아니다. 따라서 대비언어학, 철학, 기호학, 인지과학 등 인접분야에서 얻은 관찰을 매우 중요한 학제적 성과이다. 구체적으로는 언어의 제반 층위에서 등가(Äquivalenz)의 조율이 필요한 데, 예컨대 유사한 음성학적 효과를 도모하는 음운론적 등가, 어휘의미론(Lexikalische Semantik)과 낱말밭(Wortfeld) 사이의 중첩과 혼재, 통사규칙의 등가, 화행 및 화행구조의 번역 등 텍스트를 구성하는 모든 층위마다 번역등가의 유형과 처리방법을 체계화한다.
      번역이 언어만의 현상이 아닌 총체적인 세미오시스(Semiose)의 문제로 판단되는 순간, 우리는 문화기호학(Kultursemiotik)이 텍스트에 개입된 문화소(Kultureme)의 처리에 결정적이라는 점을 인식한다. 이때 문화기호학과 더불어 심리학자 로쉬(E. Rosch)의 ‘원형의미론’(Prototypen-Semantik)과 ‘장면-틀 이론’(Szene & Frame Semantik)을 고려한다. 문학번역으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언어학과 문학의 관계를 다룬 로만 야콥손(R. Jakobson)의 '언어시학'(Linguistische Poetik)이 결정적이다. 여기에서 텍스트언어학과 기호학 이론이 문학번역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펴보면서 <응용> 부문으로 연계된다. <응용> 부문에서는 문예번역을 위한 언어학적 기호학적 응용을 주제로 문학텍스트를 언어학적으로 규명한다. 나아가 고전주의와 계몽주의 시대에 만개한 번역문학에 대한 ‘기술적 번역연구’(Deskriptive Übersetzungsforschung)와 괴팅엔 대학교 ‘문학번역 특별 프로젝트’(DFG, SFB), ‘다중체계이론’(Polysystem-Theorie, Even-Zohar)의 성과가 중요하다. 헤르만스(Th. Hermans)의 ‘문학조작이론’(Manipulation)에서는 문학작품의 문화적 속성이 텍스트의 어떤 층위에 개입하며 어떤 번역 문제를 유발하는지 진단한다. 문학 장르 중에서 언어학과 가장 밀접한 번역과 산문(Prosa)을 중심으로, 그리고 제각기 문화기호학의 하위분야인 의미론, 통사론과 화용론적 층위에서 ‘운문’(Poesie)과 ‘은유’(Metapher) 및 ‘언어유희’(Sprachspiele)의 특수문제를 다룬다. 언어학이 문학번역에 가장 구체적으로 진단기준을 제공할 수 있는 분야는 다름 아닌 ‘제목’(Titel)의 번역이다. 이때 국내에 널리 소개된 번역문학작품의 제목과 그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기호학적 문제를 살펴본다.
      본 연구의 마지막 장에 해당하는 <교육> 부문에서는 텍스트언어학과 기호학적 시각에서 관찰한 결과를 번역 교과과정과 번역비평의 토대로 제시하고자 한다. ‘번역교수법’ (Übersetzungsdidaktik)과 교안, 평가요소의 제시와 ‘번역비평’(Übersetzungskritik) 모델 그리고 궁극적으로 (문학 또는 문예 전문적인) ‘번역가’(Übersetzer)를 양성하는 전문교육기관을 위한 커리큘럼(Curriculum)을 개발하고, 끝으로 번역학, 텍스트언어학 및 기호학 관련 국내외 주요 학술지, 학술단행본과 총서의 서지를 작성한다. 연구 기간에 걸쳐 국내 연구자료와 함께 우선 독일어와 영어권 자료를 (필요한 정도 내에서 프랑스와 네덜란드의 자료를 포함) 참조하며, 대표적인 독일문학작품의 한국어 번역본과 한국문학작품의 외국어 번역본도 같이 고려하고자 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