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6세기 士族層의 고향 인식과 거주지 선택 전략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경상도 선산 지역을 중심으로 15~16세기 지식인들의 고향 인식과 거주지 선택 전략을 살펴본 본 연구에서 확인한 사실들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15,16세기 지식인들은 率壻制의 영향 아래...

      경상도 선산 지역을 중심으로 15~16세기 지식인들의 고향 인식과 거주지 선택 전략을 살펴본 본 연구에서 확인한 사실들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15,16세기 지식인들은 率壻制의 영향 아래 처가를 최종 고향으로 삼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렇지만 고향 선택 과정에서 정형화된 패턴이 존재한 것은 아니었다. 드물기는 하지만 외가나 친가를 고향으로 삼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생애를 갈무리하고 후손들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게 될 터전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전략이 필요했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은 경제적 요인과 사상적 요인이었다.
      경제적 요인과 관련해서는 당시 사회가 농업경제에 기반 한 전형적인 농촌사회였다는 점에서 농업생산성이 가장 중요했다. 15~16세기는 수전농업기술이 급진전되고 그에 따라 농업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던 시기였기 때문에, 수리시설의 설치가 용이한 수전지대가 지식인들의 거주지로 특히 선호되었다. 이 시기 지식인들이 읍치 유역으로부터 외곽지역으로, 그리고 한전지대로부터 수전지대로 이동한 것은 이러한 경제적 상황과 관련이 깊었다. 이 과정에서 역사적 추세를 따르지 못한 읍치 유역이나 한전지대들은 지식인들이 더 이상 거주하지 않는 낙후지대로 남겨졌다.
      사상적 요인과 관련해서는 성리학적 삶을 실천하고자 노력하는 지식인들의 증가가 가장 중요한 변수로 작용했다. 성리학은 宗法에 기초한 가족제도를 바탕으로 성립된 정치사상이었기 때문에, 성리학에 대한 이해의 심화와 실천 의지의 강화는 필연적으로 솔서혼, 처가살이, 복합혈연가족 등 전통적인 사회관행들과 충돌할 수밖에 없었다. 이 과정에서 전통적인 친족질서들은 점차 시집살이, 남계친 중심의 單系 가족, 宗子에 의한 가계 상속과 같은 유교적 친족제도, 곧 종법제도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그런데 지식인들의 읍치 외곽 수전지대로의 이동과 성리학적 지식인들의 증대는 거의 동시대에 진행되고 있던 사회적 현상이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조선사회에서 수전농업이 급진전한 시기는 15세기였다. 그에 따라 지식인들의 외곽 수전지대로의 이동 또한 15세기 후반 무렵 대체로 완료되었다. 성리학적 지식인들이 사회세력화 해 간 시기가 바로 이 무렵이었다. 이들은 16세기 이후 4차례의 士禍를 겪으면서 16세기 중반 이후 기성의 정치세력[훈구세력]을 대체하는 대안적 정치세력[사림세력]으로 떠올랐다. 그런데 이 시기는 同宗의 입양을 통한 남계친 중심의 가계 상속, 族譜 편찬과 같은 宗族 활동의 단초가 마련되어 가던 시기이기도 했다.
      이상과 같은 사회경제적, 정치사상적 변화가 급속하게 전개된 16세기 중,후반에 이르러 지식인들의 고향 인식도 크게 변해 갔다. 현달한 조상을 정점으로 한 남계친 후손들이 결집하는 종족 촌락이 그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 것이다. 고향이라 하면 으레 종족 촌락 혹은 종족 촌락이 소재한 지역을 의미하는 ‘조선후기적’ 고향관이 출현하게 된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제 처향이나 외향은 잠시 머물렀다가 떠나가는 타향의 지위로 물러설 수밖에 없었다. 16세기 중,후반은 새로운 사회세력으로 부상한 사족층이 보수화해 가는 시점이기도 했다. 강력한 족세를 기반으로 마을의 주도권을 장악하는 데 성공한 특정 종족 집단들이 그렇지 않은 異姓 집단들을 밀어내면서 마을의 배타적인 지위를 확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ocal elites in Choseon dynasty during 15th-16th century intented to select wife's hometown as their last settlements where they would have lived in whole lives and inherited their estate and properties to their descendants under the traditional socia...

      Local elites in Choseon dynasty during 15th-16th century intented to select wife's hometown as their last settlements where they would have lived in whole lives and inherited their estate and properties to their descendants under the traditional social customs such as 'son-in-law living with wife's family in father-in-law house'. But some elites decided to their mother's hometown or father's hometown as their last settlements, it was very rarely though. They could comparatively freely choose various areas as settle fields at that time.
      Therefore elites had to use very intensive strategies to acquire their living bases as far as possible in order that descendants could settle down successfully and their descendants were flourished in that place. The critical factors to acquire good hometown are economic and ideological. In economic preposition, agricultural productivit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e elites especially favored the rice paddy fields where irrigation system such as the dammed pool for irrigation(川防) could be easily established in their residence, because it was the 15th - 16th centuries that technology of rice agriculture splendidly improved and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was very plentiful. The elites' migration from downtown to vicinity, and from dryfield to ricefield was very strongly intervened with these economic situations.
      In ideological preposition, the increase of elites who adhered to behavior in neo-confucian thoughts(性理學)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Neo-confucianism was the very political thoughts based on a patrilineal family system(宗法) originated from ancient China. So the deeper elites got understand neo-confucianism, conflicts between new neo-confucianism social customs and old traditional social practices were severer. Through this passionate dispute, the family operating system was gradually replaced from 'son-in-law living with wife's family in father-in-law house' to 'daughter-in-law living in husband's house', from various compound family by marriage to unilinear lineage centered by patrilineal family, and from inheritance by equal distribution to inheritance by legal eldest son etc.
      It was occurred simultaneously when the elites migrated to rice producible vicinity and they gained social power as local political group. It was the late 15th - mid 16th century. After it passed one or two generations, the recognition of elite's hometown was started to change even rapidly. Now it was patrilineal village a great ancestor borne and raised up that the neo-confucianism oriented elites really wanted to live in. The patrilineal family system showed up its feature in long Korean history at last. Hereafter, wife's hometown and mother's hometown was merely fixed one place that a person used to visit in a short tim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