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 학술지의 논문 검색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한 한국인 관절염의 유병률 현황과 연도별 변화
허남욱 ( Nam Wook Hur ) , 최찬범 ( Chan Bum Choi ),엄완식 ( Wan Sik Uhm ),배상철 ( Sang Cheol Bae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8 p.11-26
한국인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서 항CCP항체와 류마티스인자의 진단정확성에 대한 메타분석연구
이영호 ( Young Ho Lee ) , 우진현 ( Jin Hyun Woo ),최성재 ( Seong Jae Choi ),지종대 ( Jong Dae Ji ),송관규 ( Gwan Gyu Song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8 p.27-38
Etanercept로 치료 중인 강직척추염 환자에서 임상적 효과 및 자기공명영상과 컴퓨터단층촬영술을 이용한 엉치엉덩관절염의 평가
정용근 ( Yong Geun Jeong ) , 이상용 ( Sang Yong Lee ),김현옥 ( Hyun Ok Kim ),김수경 ( Soo Kyoung Kim ),김재희 ( Jae Hee Kim ),류완희 ( Wan Hee Yoo ),이상일 ( Sang Il Lee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8 p.39-47
Churg-Strauss 증후군에 동반된 Wells` Syndrome
김경찬 ( Kyung Chan Kim ) , 정현 ( Hyun Chung ),박준수 ( Joon Soo Park ),박재복 ( Jae Bok Park ),최정윤 ( Jung Yoon Choe ),박성훈 ( Sung Hoon Park ),김지영 ( Ji Young Kim ),김성규 ( Seong Kyu Kim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8 p.48-53
박성훈 ( Sung Hoon Park ) , 김수경 ( Soo Kyung Kim ),성명준 ( Myung Jun Seong ),김성규 ( Seong Kyu Kim ),박재복 ( Jae Bok Park ),최정윤 ( Jung Yoon Choi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8 p.54-57
강은진 ( Eun Jin Kang ) , 최상태 ( Sang Tae Choi ),이상원 ( Sang Won Lee ),정상윤 ( Sang Youn Jung ),손명균 ( Myoung Kyun Son ),이광훈 ( Kwang Hoon Lee ),양우익 ( Woo Ick Yang ),박용범 ( Yong Beom Park ),이수곤 ( Soo Kon Lee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8 p.58-62
두통을 주소로 내원한 베체트병 환자에서 상악동 내 발생한 림프종
홍현종 ( Hyun Jong Hong ) , 이상엽 ( Sang Yeob Lee ),김혜인 ( Hye In Kim ),황진연 ( Jin Yeon Hwang ),조용민 ( Yong Min Jo ),류환철 ( Hwan Cheol Ryu ),이성원 ( Sung Won Lee ),정원태 ( Won Tae Chung ),김대철 ( Dae Cheol Kim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8 p.63-69
부신생물 증후군으로 인한 성인형 스틸병의 임상상을 보인 기관지폐포암
김현진 ( Hyun Jin Kim ) , 곽승기 ( Seung Ki Kwok ),신정하 ( Jung Ha Shin ),조철수 ( Chul Soo Cho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8 p.70-75
김윤정 ( Yun Jung Kim ) , 엄완식 ( Wan Sik Uhm ),김태환 ( Tae Hwan Kim ),이창우 ( Chang Woo Lee ),박찬금 ( Chan Kum Park ),전재범 ( Jae Bum Jun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8 p.76-80
SJR(SCImago Journal Rank)는 스페인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ntificas의 Felix de Moya 교수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모든 인용은 동등하지 않다'는 전제를 기반으로 둔 학술지의 영향력 지수입니다.
구글의 Page Rank 알고리즘의 영향을 받아 전체 인용 네트워크에서 노드에 점수를 매기는 방식으로, 명성이 높은 저널에서의 인용은 고득점으로 평가되어 같은 인용이라도 보다 높게 평가 됩니다. 또한 저널의 주제분야, 질과 명성이 모두 직접 영향을 미치는 평가 지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
Scopus 데이터의 인용정보를 활용하여 산출되며, Scopus에 등재되지 않은 OA 저널평가에도 유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