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조선시대 유배가사의 흐름과 경향성 -특히 후기 유배가사의 특징적 면모에 주목하여-
최현재 ( Hyun Jai Choi ) 한국시가학회 2012 p.63-93
일상적 경험의 형상화가 지니는 시가사적 의미 -신계영의 <월선헌십육경가>를 중심으로-
허왕욱 ( Wang Wook Heu ) 한국시가학회 2012 p.95-125
병와(甁窩) 이형상(李衡祥)의 악부관(樂府觀)을 통해 본 『지령록(芝嶺錄)』 제육책(第六冊)의 체재와 의미
김진희 ( Jin Hee Kim ) 한국시가학회 2012 p.127-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