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 학술지의 논문 검색
연구보고 : 천식 환자의 기관지 조직에서 Eotaxin mRNA 발현에 관한 연구
인광호 ( Kwang Ho In ) , 조재연 ( Jae Yun Cho ),강세용 ( Sae Yong Kang ),이상엽 ( Sang Youb Lee ),심재정 ( Jae Jeong Shim ),강경호 ( Kyung Ho Kang ),유세화 ( Se Hwa Yoo ),나영순 ( Young Soon Na ),김한겸 ( Han Gyum Kim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1998 p.697-704
정인경 ( In Kyung Jeong ) , 유지홍 ( Jee Hong Yoo ),이선미 ( Seon Mee Lee ),고관표 ( Kwan Pyo Koh ),한민수 ( Min Soo Han ),강홍모 ( Hong Mo Kang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1998 p.705-713
Rifampicin 내성 결핵균의 검출에 있어서 PCR-line Probe법과 PCR-SSCP법의 비교
김호중 ( Ho Joong Kim ) , 서지영 ( Gee Young Suh ),정만표 ( Man Pyo Chung ),김종원 ( Jong Won Kim ),심태선 ( Tae Sun Shim ),최동철 ( Dong Chull Choi ),권오정 ( O Jung Kwon ),이종헌 ( Chong H. Rhee ),한용철 ( Yong Chol Han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1998 p.714-722
이상갑 ( Sang Gab Lee ) , 김기량 ( Ki Ryang Kim ),임정욱 ( Jeong Ook Eim ),김흥업 ( Heung Up Kim ),이상수 ( Sang Soo Lee ),정이영 ( Lee Young Chung ),김휘종 ( Hwi Jong Kim ),이종덕 ( Jong Deog Lee ),황영실 ( Young Sil Hwang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1998 p.723-735
만성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M-mode 초음파로 측정한 횡격막 운동
임성철 ( Sung Chul Lim ) , 장일권 ( Il Gweon Jang ),박형관 ( Hyeong Kwan Park ),황준화 ( Jun Hwa Hwang ),강유호 ( Yu Ho Kang ),김영철 ( Young Chul Kim ),박경옥 ( Kyung Ok Park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1998 p.736-745
김연재 ( Yeon Jae Kim ) , 박재용 ( Jae Yong Park ),채상철 ( Sang Cheol Chae ),원준희 ( Jun Hee Won ),김정석 ( Jeong Seok Kim ),김창호 ( Chang Ho Kim ),정태훈 ( Tae Hoon Jung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1998 p.746-753
김선영 ( Sun Young Kim ) , 조해정 ( Hae Jeong Cho ),김근화 ( Geun Hwa Kim ),고동석 ( Dong Seok Ko ),서재철 ( Jae Chul Suh ),신경상 ( Kyoung Sang Shin ),정성수 ( Seong Su Jeong ),김주옥 ( Ju Ock Kim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1998 p.754-759
김우진 ( Woo Jin Kim ) , 임재준 ( Jae Joon Yim ),이재호 ( Jae Ho Lee ),유철규 ( Chul Gyu Yoo ),정희순 ( Hee Soon Chung ),한성구 ( Sung Koo Han ),정준기 ( June Key Chung ),심영수 ( Young Soo Shim ),김영환 ( Young Whan Kim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1998 p.760-765
SJR(SCImago Journal Rank)는 스페인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ntificas의 Felix de Moya 교수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모든 인용은 동등하지 않다'는 전제를 기반으로 둔 학술지의 영향력 지수입니다.
구글의 Page Rank 알고리즘의 영향을 받아 전체 인용 네트워크에서 노드에 점수를 매기는 방식으로, 명성이 높은 저널에서의 인용은 고득점으로 평가되어 같은 인용이라도 보다 높게 평가 됩니다. 또한 저널의 주제분야, 질과 명성이 모두 직접 영향을 미치는 평가 지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
Scopus 데이터의 인용정보를 활용하여 산출되며, Scopus에 등재되지 않은 OA 저널평가에도 유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