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혁신을 위해 도입된 제도가 공직사회에 수용·활용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찾기 위해, 지난 20여 년간의 대표적인 정부혁신 시도였던 성과관리제도를 대상으로 공무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057822
2018
-
학술저널
49-61(1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정부혁신을 위해 도입된 제도가 공직사회에 수용·활용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찾기 위해, 지난 20여 년간의 대표적인 정부혁신 시도였던 성과관리제도를 대상으로 공무원�...
정부혁신을 위해 도입된 제도가 공직사회에 수용·활용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찾기 위해, 지난 20여 년간의 대표적인 정부혁신 시도였던 성과관리제도를 대상으로 공무원의 수용성을 분석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2000년부터 2018년 학술지에 게재된 총 17편의 관련 논문의 연구결과를 취합·정리한 결과,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난 것은 리더의 관심, 조직문화와 제도의 정합성, 제도설계의 적절성·공정성, 제도운영의 소통·이해·보상 체계 마련 등이었다. 이러한 결과가 정부혁신 제도의 수용에 주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determinants influencing civil servants’ acceptance of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r government innovation. As a result of literature review regarding the Korean civil servants’ acceptance of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
This study explores determinants influencing civil servants’ acceptance of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r government innovation. As a result of literature review regarding the Korean civil servants’ acceptance of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rom 2000 to 2018, the key factors are as follows: leadership, rational organizational culture, seamless communications, and suitable incentives system.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ome meaningful policy implications.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성권, "지방정부의 BSC 성과와 영향요인에 관한 인식분석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5 (15): 185-205, 2011
2 박해육, "지방자치단체의 성과관리 효과성 요인 분석:지방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11 (11): 183-204, 2011
3 현승현, "지방자치단체 성과관리 정보시스템에 대한 공무원의 수용성 분석: TAM(Technology Acceptance Model) 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9 (19): 113-138, 2016
4 최정우, "지방자치단체 성과관리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7 (47): 285-308, 2013
5 강황선, "조직성과평가결과에 관한 공무원의 수용성 제고방안 - 성과평가 체제의 제도적 요인을 중심으로 -" 한국정부학회 16 (16): 789-812, 2004
6 이석환, "조직성과지표를 중심으로 한 의사소통 장애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성과관리시스템 운영 및 집행과정에서의 함의" 한국지방자치학회 23 (23): 97-124, 2011
7 오영민, "정부의 성과관리 역량요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앙정부 부처 공무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9 (29): 253-274, 2017
8 이석환, "성과평가제도의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평가체계요인과 내부동기요인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0 (20): 269-291, 2010
9 금재덕, "성과관리체계의 부정적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중앙정부 각 부처 공무원의 인식도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0 (20): 347-377, 2009
10 이윤경, "성과관리제도 및 인적자원관리제도에 대한 만족이 정부조직성과 및 공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직학회 12 (12): 27-63, 2016
1 강성권, "지방정부의 BSC 성과와 영향요인에 관한 인식분석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5 (15): 185-205, 2011
2 박해육, "지방자치단체의 성과관리 효과성 요인 분석:지방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11 (11): 183-204, 2011
3 현승현, "지방자치단체 성과관리 정보시스템에 대한 공무원의 수용성 분석: TAM(Technology Acceptance Model) 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9 (19): 113-138, 2016
4 최정우, "지방자치단체 성과관리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7 (47): 285-308, 2013
5 강황선, "조직성과평가결과에 관한 공무원의 수용성 제고방안 - 성과평가 체제의 제도적 요인을 중심으로 -" 한국정부학회 16 (16): 789-812, 2004
6 이석환, "조직성과지표를 중심으로 한 의사소통 장애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성과관리시스템 운영 및 집행과정에서의 함의" 한국지방자치학회 23 (23): 97-124, 2011
7 오영민, "정부의 성과관리 역량요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앙정부 부처 공무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9 (29): 253-274, 2017
8 이석환, "성과평가제도의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평가체계요인과 내부동기요인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0 (20): 269-291, 2010
9 금재덕, "성과관리체계의 부정적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중앙정부 각 부처 공무원의 인식도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0 (20): 347-377, 2009
10 이윤경, "성과관리제도 및 인적자원관리제도에 대한 만족이 정부조직성과 및 공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직학회 12 (12): 27-63, 2016
11 최성락, "성과관리에 대한 만족도가 제도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행정학회 24 (24): 55-75, 2013
12 남승하, "성과관리시스템의 정착 정도에 따른 유용성과 대응태도의 영향요인 비교연구: 경기도와 국토해양부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10 (10): 111-133, 2010
13 남승하, "성과관리시스템의 인지된 유용성과 대응태도의 영향요인: 경기도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9 (9): 137-159, 2009
14 강영철, "공공조직 구성원의 성과평가결과 활용에 대한 인식과 영향요인 분석: 조직특성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2 (12): 245-273, 2008
15 이정철, "공공조직 구성원의 성과관리 수용성에 관한 연구: 중앙행정기관을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 13 (13): 33-69, 2017
16 남창우, "공공부문의 BSC수용성 및 조직성과의 영향요인 분석: 조직구성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2 (42): 165-190, 2008
17 최순영, "개방형 임용제도의 성과인식 및 만족도의 영향요인" 서울행정학회 24 (24): 1-27, 2013
한국 국가 재난관리 추진조직의 IT 활용 실태분석: 재난관리 업무 담당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Montjoy & O’Toole의 조직내적 집행이론의 적용: 보건복지부의 아동 관련 사업을 중심으로
정부에 대한 신뢰의 사회적 결정요인: 국민-정부간 소통의 조절효과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