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세계 최초의 저작권법은 1709년 영국에서 제정된 「앤여왕법」(The Statute of Anne)이라고 일컬어진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에서 저작물에 대한 법적 보호가 시작된 것은 1908년 8월 12...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004951
서계원 (동국대학교)
2011
-
Copyright ; Patronage ; System of printing privileges ; the Statute of Anne ; Commercial publishing industry ; Exclusive right ; Non-monopoly ; Free competition ; Transmission of knowledge ; Banggak (Commercial) publications ; 저작권 ; 후견인제도 ; 인쇄특권 ; 앤여왕법 ; 상업적인 출판산업 ; 독점적 권리 ; 비독점 ; 자유경쟁 ; 지식의 전달 ; 방각본
KCI등재
학술저널
83-112(30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일반적으로 세계 최초의 저작권법은 1709년 영국에서 제정된 「앤여왕법」(The Statute of Anne)이라고 일컬어진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에서 저작물에 대한 법적 보호가 시작된 것은 1908년 8월 12...
일반적으로 세계 최초의 저작권법은 1709년 영국에서 제정된 「앤여왕법」(The Statute of Anne)이라고 일컬어진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에서 저작물에 대한 법적 보호가 시작된 것은 1908년 8월 12일 「한국에서의 발명, 의장, 상표 및 저작권에 관한 미일조약」에서부터라고 한다. 중국의 경우 1910년 청나라 정부가 「대청저작권률」(大淸著作權律)을 공표하였고, 이 법이 중국 근대사상 최초의 저작권법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와 같이 서양식 법제가 일방적으로 계수되면서 기타의 법제도와 마찬가지로 저작권법 역시 면면이 이어져 오던 전통적인 흐름이 단절되었으므로,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동아시아 국가에서는 저작권 제도가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고 해석하고 있다. 그러나 서양식 법제도의 계수과정을 거쳤다고 하더라도 겉으로 드러난 외형상의 차이에만 초점을 맞추어 입법의 단절에 함몰되어 있기보다는 오히려 문제의식을 갖고 적극적인 법제사적인 연구를 통하여 저작권의 자생적 기원을 검토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저작권 발전의 일반적 과정과 제반요소, 중국과 우리나라의 출판문화, 저작권의 자생적 기원에 관한 제도적 검토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비교사적 관점에서 중국의 저작권 제도에 관한 실질적인 사항들을 검토하였고 최종적으로 우리나라의 근대적 저작권에 대한 의의와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서달주, "한국저작권법" 박문각 2007
2 변태섭, "한국사통론" 삼영사 1986
3 백운관, "한국 출판문화 변천사 : 도서유통의 성립과 발전" 타래 1992
4 안춘근, "출판개론" 을유문화사 1970
5 이두영, "중국 저작권법의 특징과 입법 준비과정" 대한출판문화협회 1990
6 변광석, "조선후기 시전상인연구" 혜안 2001
7 이재정, "조선출판주식회사" 안티쿠스 2008
8 한동명, "조선초 서적출판정책에 관한 일고" 경희대학교 사학회 14 : 1987
9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순종실록(純宗實錄) 원년(元年, 1908年) 8月 13日"
10 이영구, "조선시대의 인구변동과 경제발전" 경북대학교 1996
1 서달주, "한국저작권법" 박문각 2007
2 변태섭, "한국사통론" 삼영사 1986
3 백운관, "한국 출판문화 변천사 : 도서유통의 성립과 발전" 타래 1992
4 안춘근, "출판개론" 을유문화사 1970
5 이두영, "중국 저작권법의 특징과 입법 준비과정" 대한출판문화협회 1990
6 변광석, "조선후기 시전상인연구" 혜안 2001
7 이재정, "조선출판주식회사" 안티쿠스 2008
8 한동명, "조선초 서적출판정책에 관한 일고" 경희대학교 사학회 14 : 1987
9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순종실록(純宗實錄) 원년(元年, 1908年) 8月 13日"
10 이영구, "조선시대의 인구변동과 경제발전" 경북대학교 1996
11 설석교, "조선시대 유교목판 제작 배경과 그 의미" 한국국학진흥원 6 : 2005
12 부길만, "조선시대 방각본 출판 연구" 서울출판미디어 2003
13 한승헌, "저작권의 법제와 실무" 삼지사 1988
14 법무부, "저작권보호의 국제적 동향" 107 : 1988
15 허희성, "저작권법개설" 범우사 34-35, 1982
16 오승종, "저작권법" 박영사 2008
17 방정배, "자주적 말길 이론" 나남 1988
18 신승운, "유교사회의 출판문화"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39 : 2001
19 조동일, "소설의 사회사비교론2" 지식산업사 2001
20 Watt, "소설의 발생" 열린책들 1988
21 정명기, "세책본소설의 유통양상-동양문고 소장 세책본소설에 나타난 세책장부를 중심으로" 한국고소설학회 (16) : 3-100, 2003
22 노경희, "명말 강남의 출판문화" 소명출판 2007
23 부길만, "동아시아 출판문화사 연구I" 오름 2009
24 "대전회통(大典會通) 권지이(卷之二) 호전(戶典) 잡령(雜令)"
25 황적인, "著作物과 出版權" 한국문예학술저작권협회 1990
26 文盛哉, "明末 희곡의 출판과 유통― 江南지역의 독서시장을 중심으로 ―" 한국중국어문학회 41 : 146-164, 2004
27 황지영, "明代 수험서의 상업적 발달과정과 ‘知識’의 확산" 한국중국학회 (58) : 251-275, 2008
28 박경희, "明代 出版文化와 文學" 중국어문학회 18 (18): 253-270, 2005
29 Engelsing, Rolf, "文盲と讀書の社會史" KIC思索社 1985
30 Zhang Xiu-ming, "Zhongguo yinshua shi (China’s Printing History)" Shanghai renmin chubanshe 1989
31 Kai-wing Chow, "Writing for Success: Printing, Examinations, and Intellectual Change in Late Ming China" 17 (17): 1996
32 Ke Shao, "What May Validate Intellectual Property in a Traditional Chinese Mind? Examining the U.S.-China IP Disputes through a Historical Inquiry" (1) : 2006
33 Carla Hesse, "The Rise of Intellectual Property,700 BC to AD 2000-An Idea in the Balance" Routledge 2006
34 Peng-Sheng Chion, "The New Associations of Merchants and Artisans in Suzhou, 1700-1900" National Taiwan U. Press 1990
35 Adrian John, "The Nature of the Book" Chicago Press 1998
36 Francis A. Burkle-Young, "The Art of The Footnote-The Intelligent Student’s Guide to The Art and Science of Annotating Texts"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96
37 Chun-shu chang, "Shelley Hsueh-lun Chang, Crisis and Transformation in 17th century China: society, culture and modernity in Li yu' world"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2
38 Gary G. Hamilton, "Regional Associations and the Chinese Society: A Comparative Perspective" 21 : 346-, 1979
39 Lucille Chia, "Printing for Profit: The Commercial Publisher of Jianyang, Fujian (11th–17th Centuries)" Harvard University Press 2002
40 Susan Cherniack, "Book Culture and Textual Transmission in Sung China" 54 (54): 1994
41 Elizabeth Armstrong, "Before Copyright: The French Book-privilege System 1498-1526"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42 Ke Shao(Yin-zhi Shao), "Alien to Copyright?: A Reconsideration of the Chinese Historical Episodes of Copyright”, Intellectual Property Quarterly" (4) : 2005
43 Tang Guanhong, "A Comparative Study of Copyright and the public interest in the United Kingdom and China" 1 (1): 2004
우리나라 저작권법 제54조의 정당성 : “저작권법상 권리변동 등록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반론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8-1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저작권위원회 -> 한국저작권위원회영문명 : Copyright Commission -> Korea Copyright Commission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5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54 | 0.632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