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경제발전 정신으로서의 홍익인간이념의 고찰 = A Study on the Hongikingan(弘益人閒) Idea (Humanitarian Ideal) for Economic Develop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278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홍익인간이념은 대한민국의 건국이념·정치이념·교육이념·윤리이념으로 세상에 지식·인정·의사 (意思)·정보(情報)·일자리·물자 등이 물처럼 넘쳐흐르게 하는 것이고, 막힘이 없는 원활한 소통을 의미한다. 인간(人閒)은 사람 개개인뿐만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이(閒)의 공동체를 지칭하여 인류만이 아닌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의 조화를 기조로 한다. 인간에게 지식과 정보 및 재물을 불려서 넘쳐나 도록 풍요롭게 한다는 것은 경제성장과 부(富)의 축적에 기여한 각자의 몫에 따라 고르게 배분되는 상 생하는 공동체를 의미한다. 그러나 모두가 똑같이 나누는 평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살아있는 동안 잘 다스려 인도하라는 것으로서 보편적인 자유, 정의, 평화의 방향으로 동화시키는 것을 뜻한다. 홍익인간정신을 경제발전의 필수조건인 발전정신으로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① 홍익인간은 인류의 발 전과 복지에 헌신하는 로드맵이 있는 전략가이며 전문가가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② 시장경제의 도덕 적 기초인 자연적 자유와 정의가 바로 서야 한다. ③ 국민 각자의 다양성을 살려 그들만의 분야에서 각 자의 방법으로 사회에 공헌하도록 한다. ④ 개개인의 창의성은 치열한 경쟁과 혁신 속에서 기회를 만들 어 내는 것이므로 정신과 지식 면에서 내실 있는 교육훈련을 지속적으로 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정 신자본의 형성에 더 많은 비중을 두는 교과과정의 변화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홍익인간이념은 대한민국의 건국이념·정치이념·교육이념·윤리이념으로 세상에 지식·인정·의사 (意思)·정보(情報)·일자리·물자 등이 물처럼 넘쳐흐르게 하는 것이고, 막힘이 없는 원�...

      홍익인간이념은 대한민국의 건국이념·정치이념·교육이념·윤리이념으로 세상에 지식·인정·의사 (意思)·정보(情報)·일자리·물자 등이 물처럼 넘쳐흐르게 하는 것이고, 막힘이 없는 원활한 소통을 의미한다. 인간(人閒)은 사람 개개인뿐만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이(閒)의 공동체를 지칭하여 인류만이 아닌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의 조화를 기조로 한다. 인간에게 지식과 정보 및 재물을 불려서 넘쳐나 도록 풍요롭게 한다는 것은 경제성장과 부(富)의 축적에 기여한 각자의 몫에 따라 고르게 배분되는 상 생하는 공동체를 의미한다. 그러나 모두가 똑같이 나누는 평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살아있는 동안 잘 다스려 인도하라는 것으로서 보편적인 자유, 정의, 평화의 방향으로 동화시키는 것을 뜻한다. 홍익인간정신을 경제발전의 필수조건인 발전정신으로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① 홍익인간은 인류의 발 전과 복지에 헌신하는 로드맵이 있는 전략가이며 전문가가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② 시장경제의 도덕 적 기초인 자연적 자유와 정의가 바로 서야 한다. ③ 국민 각자의 다양성을 살려 그들만의 분야에서 각 자의 방법으로 사회에 공헌하도록 한다. ④ 개개인의 창의성은 치열한 경쟁과 혁신 속에서 기회를 만들 어 내는 것이므로 정신과 지식 면에서 내실 있는 교육훈련을 지속적으로 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정 신자본의 형성에 더 많은 비중을 두는 교과과정의 변화가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초록
      • Ⅰ. 서론
      • Ⅱ. 새로운 발전 틀에 맞는 한국적 이념의 필요성
      • Ⅲ. 홍익인간 이념
      • Ⅳ. 홍익부등식으로 나타낸 홍익인간상
      • 한글초록
      • Ⅰ. 서론
      • Ⅱ. 새로운 발전 틀에 맞는 한국적 이념의 필요성
      • Ⅲ. 홍익인간 이념
      • Ⅳ. 홍익부등식으로 나타낸 홍익인간상
      • Ⅴ. 요약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환국본기"

      2 조성학, "홍익인간(弘益人閒)과 사해동포(四海同胞)"

      3 강정모, "한국형 공생발전과 정신자본: 홍익인간사상" 한국제도∙경제학회 6 (6): 249-283, 2012

      4 막스 웨버,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풀빛 2006

      5 이맥, "태백일사"

      6 조윤제, "창조경제와 사회문화"

      7 좌승희, "진화를 넘어 차별화로 : 복잡계 경제의 단순한 발전원리" 지평 2008

      8 "신시본기"

      9 "소도경전본훈"

      10 "삼한관경본기"

      1 "환국본기"

      2 조성학, "홍익인간(弘益人閒)과 사해동포(四海同胞)"

      3 강정모, "한국형 공생발전과 정신자본: 홍익인간사상" 한국제도∙경제학회 6 (6): 249-283, 2012

      4 막스 웨버,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풀빛 2006

      5 이맥, "태백일사"

      6 조윤제, "창조경제와 사회문화"

      7 좌승희, "진화를 넘어 차별화로 : 복잡계 경제의 단순한 발전원리" 지평 2008

      8 "신시본기"

      9 "소도경전본훈"

      10 "삼한관경본기"

      11 윤석철, "삶의 정도" 위즈덤하우스 2010

      12 "동아국어대사전" 동아출판사 1983

      13 아담 스미스, "도덕감정론" 비봉출판사 2009

      14 최은수, "넥스트 패러다임" 이미디어그룹 2012

      15 북애노인, "규원사화"

      16 북애노인, "규원사화"

      17 장오현, "국부론이 던지는 메시지" 한국제도 경제학회 7 (7): 2013

      18 박세일, "공동체자유주의 이념과 정책" 나남 219-278, 2008

      19 계연수, "桓檀古記(환단고기)" 상생출판 2012

      20 안경전, "桓檀古記" 상생출판 2012

      21 이가원, "東亞漢韓大辭典" 동아출판사 1987

      22 Maslow, A,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Harper & Row 1968

      23 Beinkocker, E. D., "The Origin of Wealth"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6

      24 Maslow, A, "The Farther Reaches of Human Nature" The Viking Press 1971

      25 Rodrik, D., "Political Economy and Development Policy" 36 (36): 329-336, 1992

      26 Maslow, A, "Motivation and Personality" Harper Collins Publishers 197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4-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제도경제학회 -> 한국제도∙경제학회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6 0.817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