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대학생의 보조공학서비스 지원을 위한 실태 및 요구조사 =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need of University Student with Disabilities to support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94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uggest the improved policies relating to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that is supported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urvey data was gathered by way of individual interview and questionnaires of 52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were using the assistive devices.
      The major results from this research was as followings: 1) most of the subjects have a multiple problems of college living which is solved or helpful by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2) subjects used assistive devices more than 1.7 items per person and were satisfied with using devices, whereas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high cost and service delivery system. 3)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of support center for student with disabilities was focused on specific type of disabilities and assistive devices, so subjects expressed lower degree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several ways in order to improv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were suggested included set a assistive technology specialist at the center and organization of the pool of assistive devi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uggest the improved policies relating to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that is supported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urvey data was gathered by way of individual interview and questionnaires of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uggest the improved policies relating to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that is supported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urvey data was gathered by way of individual interview and questionnaires of 52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were using the assistive devices.
      The major results from this research was as followings: 1) most of the subjects have a multiple problems of college living which is solved or helpful by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2) subjects used assistive devices more than 1.7 items per person and were satisfied with using devices, whereas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high cost and service delivery system. 3)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of support center for student with disabilities was focused on specific type of disabilities and assistive devices, so subjects expressed lower degree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several ways in order to improv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were suggested included set a assistive technology specialist at the center and organization of the pool of assistive devi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보조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장애대학생 52명을 대상으로 학교생활의 어려움을 알아보고 보조공학적 해결 방안을 모색하며, 보조기기의 사용 실태와 대학 장애학생지원센터의 보조공학서비스 지원 실태 및 요구를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설문지를 개발하여 면담 조사한 결과, 장애대학생들이 학교생활에서 겪는 다양한 어려움들 중에는 보조공학서비스를 통해 해결이 가능하거나 도움이 될 내용이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용하고 있는 보조기기는 평균 1인당 1.7개 이상으로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으나 고비용의 문제와 서비스 전달체계 상의 불만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대학 장애학생지원센터의 보조공학서비스는 일부 장애 유형에게만 특정 보조기기를 대여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장애학생지원센터의 보조공학 전문가 배치, 인근대학과의 보조기기 풀 구성을 통한 상호활용 시스템 구축 등의 수요자 중심 보조공학서비스의 필요성을 발견하고 이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보조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장애대학생 52명을 대상으로 학교생활의 어려움을 알아보고 보조공학적 해결 방안을 모색하며, 보조기기의 사용 실태와 대학 장애학생지원센터의 보조...

      이 연구는 보조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장애대학생 52명을 대상으로 학교생활의 어려움을 알아보고 보조공학적 해결 방안을 모색하며, 보조기기의 사용 실태와 대학 장애학생지원센터의 보조공학서비스 지원 실태 및 요구를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설문지를 개발하여 면담 조사한 결과, 장애대학생들이 학교생활에서 겪는 다양한 어려움들 중에는 보조공학서비스를 통해 해결이 가능하거나 도움이 될 내용이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용하고 있는 보조기기는 평균 1인당 1.7개 이상으로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으나 고비용의 문제와 서비스 전달체계 상의 불만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대학 장애학생지원센터의 보조공학서비스는 일부 장애 유형에게만 특정 보조기기를 대여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장애학생지원센터의 보조공학 전문가 배치, 인근대학과의 보조기기 풀 구성을 통한 상호활용 시스템 구축 등의 수요자 중심 보조공학서비스의 필요성을 발견하고 이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근민, "효과적인 재활 서비스를 위한 대학 내 보조공학 센터 모델 제시" 38 : 55-88, 2001

      2 김은주, "한국재활복지대학 장애학생의 효율적인 학습지원을 위한 재활보조공학의 활용에 대한 토론" 한국재활복지대학 2006

      3 김천수, "학습장애 학생의 교수-학습을 위한보조공학 지원 모형 개발" 한국특수아동학회 10 (10): 75-110, 2008

      4 육주혜, "특수학급 학생 교육을 위한 공학 실태와 지원 방안"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5 (5): 353-376, 2004

      5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2009년 정기국회 보고자료" 2009

      6 오길승, "직업재활 활성화를 위한 보조공학 활용실태 및 욕구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16 (16): 135-156, 2006

      7 박재국, "지체장애인 재활보조기구 사용 실태와 만족도 및 일상생활 자립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49 : 1-24, 2007

      8 김영걸, "장애인을 위한 보조 공학 활용 실태 조사-교사들의 인식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4 (4): 281-301, 2003

      9 이근민, "장애인 고용에서의 보조공학 효과분석"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1 (11): 27-55, 2007

      10 원종례, "장애대학생의 지원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8 : 47-70, 2001

      1 이근민, "효과적인 재활 서비스를 위한 대학 내 보조공학 센터 모델 제시" 38 : 55-88, 2001

      2 김은주, "한국재활복지대학 장애학생의 효율적인 학습지원을 위한 재활보조공학의 활용에 대한 토론" 한국재활복지대학 2006

      3 김천수, "학습장애 학생의 교수-학습을 위한보조공학 지원 모형 개발" 한국특수아동학회 10 (10): 75-110, 2008

      4 육주혜, "특수학급 학생 교육을 위한 공학 실태와 지원 방안"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5 (5): 353-376, 2004

      5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2009년 정기국회 보고자료" 2009

      6 오길승, "직업재활 활성화를 위한 보조공학 활용실태 및 욕구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16 (16): 135-156, 2006

      7 박재국, "지체장애인 재활보조기구 사용 실태와 만족도 및 일상생활 자립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49 : 1-24, 2007

      8 김영걸, "장애인을 위한 보조 공학 활용 실태 조사-교사들의 인식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4 (4): 281-301, 2003

      9 이근민, "장애인 고용에서의 보조공학 효과분석"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1 (11): 27-55, 2007

      10 원종례, "장애대학생의 지원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8 : 47-70, 2001

      11 김성애, "장애 대학생 학업성취 실태 및 대학생활 욕구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335-357, 2003

      12 백유순, "장애 대학생 학습지원을 위한 서비스요구 및 지원 실태와 만족도 조사: 청각장애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151-169, 2005

      13 장문영, "신체장애인들의 보조기기 사용이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 13 (13): 1-8, 2005

      14 신현욱, "보조공학이 미국의 지원고용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14 (14): 165-181, 2004

      15 소효정, "보조공학과 교육공학의 적용을 통한 장애 대학생의 지원-미국 대학의 사례 연구" 한국재활복지대학 2006

      16 박화문, "대학의 장애학생 지원체제 현상과 과제" 41 : 21-36, 2003

      17 정정진, "대학 장애학생 교육 및 생활지원 프로그램 개발 기초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507-533, 2006

      18 황기철, "대구ㆍ부산지역에 근무하는 특수교사들의 보조공학에 대한 인식 및 활용도 조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5 (45): 241-255, 2006

      19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09년 2월 16일 보도자료"

      20 김용욱, "고등교육기관의 장애학생지원센터 모델 연구 Ⅱ : 장애학생 지원 실태 조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305-330, 2008

      21 이근민, "고등교육기관 장애학생의 효율적인 교수-학습지원을 위한 보조공학의 활용" 한국재활복지대학 2006

      22 Ownes, J., "Assistive technologㅛ issu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university staff who work with them" 1999

      23 Dell, A. G., "Assistive technology in the classroom" Pearson Education, Inc 2008

      24 장애학생고등교육지원센터, "2009학년도 장애학생 지원가이드" 나사렛대학교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06 1.62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