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문학 관련 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유아문학 연구의 수준 향상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유아교육연구』,『아동학회지』,『열린유아교육연구』,『미래유아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27909
2009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77-199(23쪽)
3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문학 관련 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유아문학 연구의 수준 향상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유아교육연구』,『아동학회지』,『열린유아교육연구』,『미래유아교...
본 연구는 유아문학 관련 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유아문학 연구의 수준 향상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유아교육연구』,『아동학회지』,『열린유아교육연구』,『미래유아교육학회지』,『유아교육학논집』와 『어린이문학교육연구』에 게재된 242편의 유아문학 관련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996년부터 1999년까지 작성된 유아문학 관련 논문은 12편에 불과한데 비해 2000년을 기점으로 2008년까지 게재된 논문은 230편으로 늘어나 약 20배 정도의 괄목할만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연구유형은 『유아교육의 5개 학술지』의 경우 "양적연구"에만 치우치고 있으나, 『어린이문학교육연구』에서는 "양적연구"와 "문헌연구"가 서로 비슷한 비율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문헌연구의 등장은 그림책을 단지 교육 매개체로 활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양적 연구에서 벗어나, 유아문학의 원론적인 문학성과 예술성을 분석하려는 의도라 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유아문학 관련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그림책(2041편)이었다. 구체적으로 "교육내용으로 활용"과 연관된 논문에서는 문학성에 대해 가장 많이 연구하였고, "교수활동으로 활용"과 연관된 논문에서는 그림책을 읽고 문학관련 활동을 경험한 후에 유아들의 언어발달(62편), 창의성발달(20편), 사회성발달(15편) 등의 효과 여부를 검증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유아교육의 5개 학술지』에서는 "실험법"과 "차이분석"을 많이 사용하였고, 『어린이문학교육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문헌분석이나 기술통계"를 많이 사용하였다. 그림책의 장르는 환상동화가 949편(46.5%)으로 가장 많았다. 결론적으로 양적 성장과 함께 다양한 연구주제와 관점으로 유아문학의 연구방법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의 필요성과 유아교육에서 유아문학의 공헌에 대해 제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242 piec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qualitative studies published by『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of Child Studie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242 piec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qualitative studies published by『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of Child Studie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and 『Korea Society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thesis on young children`s literature between 1996 and 1999 is 12, the number between 2000 and 2008 is 230 and the increase is noticeable with 20 times. The type of study in 5 journ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leans on quantity research, but the study in young children`s literature is quantity research and books, so the number of book research is remarkable with other journals compared. The instrument of studies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was picture books, whose number was 2041. In details the study of literacy in case of using the picture books as a text was the most and the studies for language development(62), creative development(20), and social development(15) appeared strongly when it was used as activities. In 5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iments and difference analysis were methods of study, and books research and book analysis or statistics in the children literatures. In conclusion the study of children`s literature, the journal of young children literature published in 2000 has become an stimulating tool to develop and expand the research of young children` literature.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세희, "한국창작그림책에 나타난 아동의 주도성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8 (8): 45-70, 2007
2 김금희, "한국전래동화 그림책에 등장하는 주인공의 복장을 통해 본 문화적 신뢰성에 관한 연구" 3 (3): 21-34, 2003
3 황윤세, "학습주기를 활용한 그림책 통합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273-300, 2007
4 박성희, "패러디 동화 관련 문학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57-77, 2008
5 이송은, "통합적인 동시짓기 활동이 유아의 동시짓기와 감상 및 교사의 동시인식에 미치는 영향" 3 (3): 101-126, 2002
6 원계선, "통합교육 환경에서 동화활용 문학적 접근활동이 일반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385-403, 2006
7 고은애, "컴퓨터를 활용한 그림 동화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잉기 꾸미기 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6 (26): 189-208, 2005
8 이경우, "총체적 언어: 문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창지사 1996
9 조용환, "질적연구의 동향과 과제" 2 (2): 91-121, 1999
10 임영심, "지역의 공공도서관-유아교육기관-가정의 연계 그림책읽기 활동이 유아의 읽기동기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403-424, 2009
1 김세희, "한국창작그림책에 나타난 아동의 주도성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8 (8): 45-70, 2007
2 김금희, "한국전래동화 그림책에 등장하는 주인공의 복장을 통해 본 문화적 신뢰성에 관한 연구" 3 (3): 21-34, 2003
3 황윤세, "학습주기를 활용한 그림책 통합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273-300, 2007
4 박성희, "패러디 동화 관련 문학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57-77, 2008
5 이송은, "통합적인 동시짓기 활동이 유아의 동시짓기와 감상 및 교사의 동시인식에 미치는 영향" 3 (3): 101-126, 2002
6 원계선, "통합교육 환경에서 동화활용 문학적 접근활동이 일반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385-403, 2006
7 고은애, "컴퓨터를 활용한 그림 동화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잉기 꾸미기 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6 (26): 189-208, 2005
8 이경우, "총체적 언어: 문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창지사 1996
9 조용환, "질적연구의 동향과 과제" 2 (2): 91-121, 1999
10 임영심, "지역의 공공도서관-유아교육기관-가정의 연계 그림책읽기 활동이 유아의 읽기동기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403-424, 2009
11 이경우, "좋은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력 개발: 글없는 그림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 1998
12 이순희, "정보그림책을 활용한 미술 감상교육이 유아의 미적반응에 미치는 영향" 4 (4): 21-42, 2003
13 현은자, "전래동화와 이솝우화의 인물에 대한 유아의 반응" 16 (16): 5-25, 1996
14 홍혜경, "인터넷동화와 그림책동화를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의 언어 상호작용 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5-28, 2006
15 한윤옥, "인쇄기술 발달이 아동도서에 미치는 영향" 3 (3): 39-56, 2002
16 김주희, "유치원 그림책읽기 수업에서 나타난 교사관점과 유아반응" 6 (6): 101-125, 2005
17 김수향,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사고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에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171-190, 2005
18 한윤경,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유능성 발달을 위한그림책을 활용한 미술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295-316, 2007
19 이윤경, "유아의 쓰기 능력, 쓰기 흥미 및 책 내용 이해능력에 미치는 <큰 책 접근법>의 적용기간에 따른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59-276, 2004
20 조희숙, "유아의 그림책텍스트 이해 연구: 아이콘적 텍스트와 언어적 텍스트 사이의 격차 해결방식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73-290, 2006
21 정대련, "유아용 창작동화에 나타난 사고방식 연구" 7 (7): 243-266, 2000
22 정대련, "유아용 그림책에 관한 페미니즘적 접근" 22 (22): 329-346, 2001
23 마송희, "유아영어교육 연구동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185-208, 2007
24 임희옥, "유아문학에 표현된 여성의 역할: ‘쌀쥐 보리쥐’, ‘돼지책’,‘엄마는 비행사’의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8 (8): 45-66, 2007
25 이대균, "유아문학교육을 위한 대학 교재에 대한 분석" 2 (2): 93-108, 2001
26 이대균, "유아문학교육" 공동체 2007
27 김현희, "유아문학교육" 학지사 1999
28 김영옥, "유아교육연구의 동향과 전망. 유아교육학의 이해" 양서원 2005
29 최미숙, "유아교육에 있어서의 연구방법론적 조명-‘유아교육연구’를 중심으로" 14 (14): 199-220, 1994
30 임영심, "유아교육과정과 유아문학교육" 19-47, 2009
31 이문옥, "유아 언어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1996-2005"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401-424, 2006
32 서정숙, "유아 문학교육내용과 교수계획에 대한 논의" 2 (2): 21-39, 2001
33 최연철, "유아 그림책「안돼, 데이빗!」에서 그려진 데이빗의 엄마에 대한 탐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141-159, 2007
34 신혜선, "유아 그림책<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의 기호학적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199-224, 2006
35 박찬옥, "유아 그림책 「강아지 똥」에 나타난 주인공의 자아형성 과정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193-213, 2005
36 이경우, "유아 과학 교육의 문학적 접근" 창지사. 1997
37 임영심, "유머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8 (8): 165-184, 2007
38 나선희, "윌리엄 스타이그의 그림책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 I- 인물의 반복적 등장을 중심으로 -"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353-377, 2008
39 이영신, "영유아용 외국그림책의 그림, 글 및 문화적 내용에 대한 번역 내용 분석 연구" 한국아동학회 27 (27): 125-137, 2006
40 고선주, "영국의 그림책 발전" 7 (7): 31-54, 2006
41 정대련, "어린이문학에 나타난 한국전쟁" 4 (4): 73-97, 2003
42 정선혜, "어린이문학에 나타난 과학에 대한 인식" 3 (3): 1-38, 2002
43 현은자, "어린이 정보책에 반영된 현대의 지식관" (창간) : 21-41, 2000
44 Nodelman, P., "어린이 문학의 즐거움" 시공사 2001
45 현은자, "알파벳 북의 즐거움" 5 (5): 39-54, 2004
46 김현희, "아동을 위한 독서치료:이론적 고찰" 2 (2): 67-92, 2001
47 오연주, "스웨덴 어린이용 그림책의 발달사" 7 (7): 1-30, 2006
48 김수영, "순환학습 모형을 활용한 동화중심 언어활동이 유아의이야기 구성 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69-90, 2008
49 이경우, "수학교육을 위한 문학적 접근" 정민사 1995
50 현은자, "성경 이야기는 어떻게 재화될 수 있는가?" 2 (2): 19-40, 2001
51 김성연, "서구 그림책에 나타난 전쟁" 4 (4): 99-111, 2003
52 박성혜, "생태 그림책을 활용한 자연친화교육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275-298, 2008
53 신세니, "배빗 콜(Babette Cole)의 그림책에 나타난 유머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229-252, 2008
54 유수옥, "반편견 동화에 기초한 문학적 활동이 장애유아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역할 인식에 미치는 효과" 21 (21): 217-236, 2001
55 최민수, "문학적 접근을 통한 반편견 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10 (10): 83-110, 2003
56 서미옥, "문학적 접근법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 및 상호협력행동에 미치는 효과" 23 (23): 91-113, 2003
57 김정원, "문학을 활용한 경제교육이 유아의 경제기본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65-80, 2004
58 김정규, "문학에 기초한 통합적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2 (2): 87-107, 1998
59 윤진주, "동화의 텍스트 유형에 따른 유아의 언어적 반응과 어머니의 언어적 조언의 비교"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1-17, 2006
60 손혜숙, "동화의 정독적 반복 들려주기와 다독적 한번 들려주기에 따른 유아의 흥미도와 이야기 구조화" 한국아동학회 25 (25): 59-69, 2004
61 강성화, "동화를 이용한 프로그램 유형이 4.5세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8 (8): 157-179, 2001
62 이인숙, "동화 짓기 활동을 통한 유아안전교육이 유아들의 안전문제해결사고와 안전지식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13 (13): 89-110, 2006
63 이준덕, "도서를 이용한 어린이 도덕교육" 다음세대 1997
64 강다혜, "농촌 그림책에 대한 도시와 농촌 아동의 반응 비교"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9 (9): 51-81, 2008
65 변윤희, "기호학적 관점에서 본 그림책의 글과 그림 읽기" 22 (22): 339-362, 2002
66 강은주, "기독교 유아문학교육 방법에 관한 고찰" 2 (2): 41-66, 2001
67 정성순, "글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21 (21): 235-252, 2000
68 김명순, "글없는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장단기 효과" 20 (20): 103-119, 2000
69 서정숙, "그림책의 교육적 활용 양상과 문제점" (창간) : 99-113, 2000
70 전방실,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2 (2): 155-173, 2001
71 오영희,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정서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69-290, 2004
72 김소연,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 감상프로그램이 유아의 미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 2 (2): 63-80, 2001
73 김주아, "그림책을 활용한 몸짓언어프로그램이 영아의 몸짓과 애착에 미치는 효과"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9 (9): 107-136, 2008
74 황보영란, "그림책을 매개로 한 또래와의 상호작용 중심의 읽기쓰기 지도 프로그램이 유아의 읽기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45-62, 2006
75 임부연, "그림책에서의 심미적 요소 탐색- 2005’ 칼데콧 영예상 수상도서 “Knuffle Bunny”를 중심으로 -"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35-59, 2008
76 이은진, "그림책에 나타난 생명 의식" 6 (6): 73-92, 2005
77 김현경, "그림책에 나타난 곰의 이미지 연구" 7 (7): 1-39, 2006
78 이혜진, "그림책에 나타난 경제개념 분석 - 경제주체, 기본 경제개념, 경제적 의사결정을 중심으로 -" 미래유아교육학회 13 (13): 105-134, 2006
79 장혜미, "그림책에 그려진 성인 등장인물에 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29 (29): 15-26, 2008
80 장영숙, "그림책과 명화를 활용한 미술프로그램이유아의 미술 감상능력과 미술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6 (26): 97-110, 2005
81 서현아, "그림책과 관련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9 (9): 1-33, 2002
82 이영자, "그림책 읽기와 정서 상태에 대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이유아의 가상적 내러티브와 마음이론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245-271, 2007
83 김민진, "그림책 읽기 방식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 어휘 학습과 읽기 흥미에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69-91, 2008
84 김세희, "그림책 읽기 및 관련활동을 통한 유아의 행복에 대한 개념 확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9 (9): 119-139, 2008
85 유수경, "그림책 속에 나타난 친구관계 유형과 우정의 의미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39-67, 2008
86 박현경, "그림책 속에 나타난 죽음"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9 (9): 25-49, 2008
87 이대균, "그림책 반복적 읽어주기에 따른 유아의 문학적 반응 연구" 6 (6): 93-113, 2005
88 유구종, "그림이야기책의 전달형태에 따른 유아의 이야기 인식 능력과 이야기 다시 말하기 능력 비교" 2 (2): 1-19, 2001
89 유구종, "구연동화를 활용한 창의적 통합교육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8 (8): 71-92, 2003
90 이대균, "교사의 그림책 선정과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 6 (6): 75-99, 2005
91 유은석, "가정과 연계한 그림책 활동이 유아와 어머니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1-22, 2008
92 김민화, "가장 읽기 방법을 통해 살펴본 유아들의 정보그림책 이해" 5 (5): 63-88, 2004
93 한태숙, "『유아교육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1994-2004"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219-238, 2005
94 이대균, "『열린유아교육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1996-2005"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169-188, 2006
95 서정숙, "‘유기체로서의 그림책’ 분석을 위한 기준 연구" 5 (5): 105-137, 2004
96 Sutherland, Z., "Children and books.(8th, ed)" Harper Collins Publishers, Ins. 1991
97 정연경, "A.S.로벨의 아동문학 작품에 나타난 배려적 사고" 5 (5): 131-157, 2004
98 강화자, "2세 영아의 그림책에 대한 반응 유형"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387-416, 2008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의 적용과정에서 표출된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반응양상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6-10-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 Korean Society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3 | 1.53 | 1.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 | 1.63 | 1.784 | 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