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에서 강조되는 인간의 성장과 발달은 학령 전기에 가장 큰 가능성을 가진다. 인간이 발달하기 위해서 적절한 영양소가 필요하듯이, 교육내용은 인간의 발달에 필요한 매우 중요한 자극...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교육에서 강조되는 인간의 성장과 발달은 학령 전기에 가장 큰 가능성을 가진다. 인간이 발달하기 위해서 적절한 영양소가 필요하듯이, 교육내용은 인간의 발달에 필요한 매우 중요한 자극...
교육에서 강조되는 인간의 성장과 발달은 학령 전기에 가장 큰 가능성을 가진다. 인간이 발달하기 위해서 적절한 영양소가 필요하듯이, 교육내용은 인간의 발달에 필요한 매우 중요한 자극이다. 이 논문은 교육내용에 중점으로 두고 있으며,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Scientific Inquiry’ 차원에서, 누리과정과 기본 교육과정의 내용구성은 무엇인가? 둘째, ‘Nature of Science’ 차원에서, 누리과정과 기본 교육과정의 내용구성은 무엇인가? 셋째, ‘Disciplinary Core Ideas of Natural Science’과 관련하여, 두 교육과정은 어떤 내용을 경험하도록 하는가? 넷째, 분석된 결과에 근거하여, 누리과정과 기본 교육과정은 발달지체 유아의 과학교육 활동 장려를 위해 어떤 교육적 의의를 가지는가? 연구 방법은 우리나라 과학교육 표준내용을 근거로 하여 누리과정과 기본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한 후 담론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누리과정은 자연탐구-탐구하는 태도 기르기 부분의 내용에서 ‘Scientific Inquiry’의 표준내용 부분을 담고 있다고 판단된다. 2. 누리과정은 ‘Nature of Science’ 부분 중에서 두 가지 요소를 제외하고 대부분 다루어질 수 있다고 본다. 3. ‘Disciplinary Core Ideas of Natural Science’의 내용은 누리과정과 기본 교육과정의 내용은 과학교육표준내용의 전반적인 부분을 모두 다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과학교육의 내용은 풍부하게 구성되어야 하며, 또한 그것을 전달하고, 학습하게 하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특히, 통합교육이 강조되는 만큼, 모든 유아들이 같은 활동 속에서 저마다 가지는 다양한 교육목표를 달성할 “유니버설 디자인”된 교육과정 내용과 교수-학습 방법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애, "포스트모더니즘적 교육 및 인성학적 차원에서 본 한국 통합교육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 -법적 및 제도적 내용과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0 (10): 23-49, 2010
2 김영한, "특수학급 교사의 임파워먼트, 소진 및 교직적응탄력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375-392, 2014
3 "장애인권리협약"
4 김성애, "일반교육 현장에서의 특수교육대상자 인권 보장을 위한 교사의 과제" 한독교육학회 16 (16): 1-25, 2011
5 김성애, "유아특수교육개론" 학지사 2009
6 김성애, "유아특수교육 교육과정 내용 및 운영방향" 22 (22): 1-19, 2006
7 이민정, "유아과학교육-실험중심 탐구활동-" 공동체 2012
8 조부경,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과학교육" 양서원 2013
9 신은수, "생활과 환경중심의 영유아 과학교육" 양서원 2006
10 배지현, "들뢰즈 철학에서 ‘배움’의 교육과정적 함의 : 배움의 우연성에 기초한 대안적 교육과정의 개념 모색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1-27, 2012
1 김성애, "포스트모더니즘적 교육 및 인성학적 차원에서 본 한국 통합교육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 -법적 및 제도적 내용과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0 (10): 23-49, 2010
2 김영한, "특수학급 교사의 임파워먼트, 소진 및 교직적응탄력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375-392, 2014
3 "장애인권리협약"
4 김성애, "일반교육 현장에서의 특수교육대상자 인권 보장을 위한 교사의 과제" 한독교육학회 16 (16): 1-25, 2011
5 김성애, "유아특수교육개론" 학지사 2009
6 김성애, "유아특수교육 교육과정 내용 및 운영방향" 22 (22): 1-19, 2006
7 이민정, "유아과학교육-실험중심 탐구활동-" 공동체 2012
8 조부경,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과학교육" 양서원 2013
9 신은수, "생활과 환경중심의 영유아 과학교육" 양서원 2006
10 배지현, "들뢰즈 철학에서 ‘배움’의 교육과정적 함의 : 배움의 우연성에 기초한 대안적 교육과정의 개념 모색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1-27, 2012
11 박영근,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에 따른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5 (15): 285-310, 2014
12 Bruner, J. S., "교육의 과정" 배영사 1988
13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1-501호 [별책 2], 특수교육 교육과정, 기본 교육과정"
14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 2012-16호에 따른 3~5세 누리과정 해설서"
15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 2012-16호, 유치원 교육과정, 누리과정 총론"
16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 2012-16호, 유치원 교육과정"
17 황규호, "교육과정의 질 개념화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97-121, 2012
18 이승은, "교육과정 논의에서 과학적 해법이 갖는 의미와 한계"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1-22, 2010
19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교육내용 표준개발 연구 보고서(Science Education Content Standards)"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20 김성애, "‘유치원 지도서’음악교육 활동에서의 동작교육 내용 분석 - 모든 유아의 전반적 발달 촉진을 위한 통합적 교과교육 접근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8 (48): 1-30, 2009
21 Maturana, H. R., "The Tree of Knowledge" Shambhala Publications 1987
22 Merleau-Ponty, "Phenomenology of Perception" Routledge 1999
23 Feuser, G., "Integration: Die Gemeinsame Taetigkeit am gemeinsamen Gegenstaend/Produkt in Kooperation der behinderten und nichtbehinderten Menschen" 21 (21): 86-105, 1982
24 김성애, "Im Spannungsfeld der Sonderpaedagogik und integrativer Paedagogik" Meinz Verlag 1996
25 김승호, "Didaktik의 교육과정적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1-19, 2014
장애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례스와 삶의 만족간의 통합성의 매개효과분석
Q- 방법론을 이용한 치매 작업치료의 중재 유형별 특성 연구
리포트 문서 제작양식을 활용한 주거자립훈련이 지적장애성인의 화장실 청소기술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 | 1.2 | 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16 | 1.464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