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가스의 주요 조성물인 메탄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매장되어 있는 풍부한 에너지 자원이기에 석유, 석탄 등 매장량에 한계가 있는 에너지 원료를 대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267107
2019
-
500
학술저널
383-383(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천연가스의 주요 조성물인 메탄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매장되어 있는 풍부한 에너지 자원이기에 석유, 석탄 등 매장량에 한계가 있는 에너지 원료를 대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납...
천연가스의 주요 조성물인 메탄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매장되어 있는 풍부한 에너지 자원이기에 석유, 석탄 등 매장량에 한계가 있는 에너지 원료를 대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납사 기반 간접 전환 방식이 아닌 비산화 조건에서의 메탄의 직접 전환 공정은 생성물인 BTX에 대한 선택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여 고수율의 BTX를 확보하기 위한 촉매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용되는 Mo 활성금속에서 탈피하여 촉매의 활성을 확보하고자 Fe를 활성금속으로 도입하였다. 또한, C-H bond를 끊는 즉 탈수소화 능력을 가지는 귀금속 계열을 조촉매로 도입하여 Fe carbide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였으며 induction period를 줄이고자 하였다. 이러한 효과를 통해 궁극적으로 반응 활성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제조된 촉매의 금속군 중 활성이 뛰어난 조촉매를 선정하여 기존 금속인 Fe와의 함량에 따른 물성 및 활성 변화를 탐색 하였다.
산소환원용 Fe-N-C 촉매에 대한 광전자 분석 연구 고찰
pH-dependent stability of Fe-N-C catalysts for fuel cells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환원극 운전 안정성 향상을 위한 가스확산층 표면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