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SCOPUS

      지시적 심상요법이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상태불안,시험불안 및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점수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Guided Imagery on Stress, State Anxiety, Test Anxiety and Core Basic Nursing Skill Performance Score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874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uided imagery on stress, state anxiety, test anxiety and core basic nursing skill performance score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 Methods: An 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tilized. A total of 45 senior nursing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intervention group to receive guided imagery, or a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23 students, control group=22 students). The guided imagery was provided via audio files to the intervention group for eight minutes, once a day for five days. The pretest was given before the intervention to measure variables for both groups, and the posttest was performed immediately afterward and three days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stress ((F=4.94, p=.012), state anxiety (F=5.99, p=.005), and basic core nursing skill performance scores (Z=-2.45, p=.015). Conclusion: Guided imagery for nursing students has been identified as effective for stress, state anxiety, and basic core nursing skill performance scores. Guided imagery can be us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before performance tests. These study results can provide useful data for nursing education.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uided imagery on stress, state anxiety, test anxiety and core basic nursing skill performance score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 Methods: An 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tilize...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uided imagery on stress, state anxiety, test anxiety and core basic nursing skill performance score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 Methods: An 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tilized. A total of 45 senior nursing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intervention group to receive guided imagery, or a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23 students, control group=22 students). The guided imagery was provided via audio files to the intervention group for eight minutes, once a day for five days. The pretest was given before the intervention to measure variables for both groups, and the posttest was performed immediately afterward and three days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stress ((F=4.94, p=.012), state anxiety (F=5.99, p=.005), and basic core nursing skill performance scores (Z=-2.45, p=.015). Conclusion: Guided imagery for nursing students has been identified as effective for stress, state anxiety, and basic core nursing skill performance scores. Guided imagery can be us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before performance tests. These study results can provide useful data for nursing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설계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평가를 앞둔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5회의 지시적 심상요법을 제공한 후 스트레스, 상태불안, 시험불안 그리고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간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시적 심상요법을 적용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스트레스와 상태불안이 감소하고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점수가 높음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중재프로그램이 더욱 확대되어 다양한 술기평가시 활용할 것을 적극 권장한다. 또한, 시험불안 감소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처치의 강도와 기간을 늘려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하고, 중재의 효과가 얼마나 지속되는지 확인하는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지시적 심상요법은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적고 비용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술기평가에 노출되는 간호학생을 위해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적용과 같은 중재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간호학생을 위해 지시적 심상요법의 접근도와 활용도를 높인다면, 간호학생의 스트레스와 상태불안 감소를 통해 술기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 간호교육의 목표달성 및 학습성과 성취수준 향상에 효율적 전략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설계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평가를 앞둔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5회의 지시적 심상요법을 제공한 후 스트레스, 상태불안, 시험불안 그리고 핵...

      본 연구는 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설계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평가를 앞둔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5회의 지시적 심상요법을 제공한 후 스트레스, 상태불안, 시험불안 그리고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간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시적 심상요법을 적용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스트레스와 상태불안이 감소하고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점수가 높음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중재프로그램이 더욱 확대되어 다양한 술기평가시 활용할 것을 적극 권장한다. 또한, 시험불안 감소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처치의 강도와 기간을 늘려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하고, 중재의 효과가 얼마나 지속되는지 확인하는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지시적 심상요법은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적고 비용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술기평가에 노출되는 간호학생을 위해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적용과 같은 중재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간호학생을 위해 지시적 심상요법의 접근도와 활용도를 높인다면, 간호학생의 스트레스와 상태불안 감소를 통해 술기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 간호교육의 목표달성 및 학습성과 성취수준 향상에 효율적 전략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원, "핵심간호능력 중심의 간호학 실습교육목표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2 조용래, "한국판 개정된 시험불안척도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1 (11): 99-109, 2011

      3 석민현, "지시적 심상요법의 유형에 따른 간호학생의 근육주사 관련 스트레스 및 수행도 비교" 한국간호과학회 36 (36): 976-982, 2006

      4 박미영, "아로마테라피가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13 (13): 311-322, 2018

      5 오은주, "대학생의 특성불안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7 (27): 85-107, 2014

      6 조수용, "대학생의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와시험불안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지각된 정서적 지지의 조절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5 (25): 159-179, 2018

      7 황경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2 (12): 365-375, 2012

      8 석민현, "간호학생의 근육주사 처치 실습에서 지시적 심상요법의 효과 : 불안, 스트레스 및 처치 수행도를 중심으로" 한국간호과학회 32 (32): 784-791, 2002

      9 손경희, "간호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 불안 및 학업스트레스와의 관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577-587, 2018

      10 Koh, K. B.,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scale" 8 : 201-211, 2000

      1 김미원, "핵심간호능력 중심의 간호학 실습교육목표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2 조용래, "한국판 개정된 시험불안척도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1 (11): 99-109, 2011

      3 석민현, "지시적 심상요법의 유형에 따른 간호학생의 근육주사 관련 스트레스 및 수행도 비교" 한국간호과학회 36 (36): 976-982, 2006

      4 박미영, "아로마테라피가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13 (13): 311-322, 2018

      5 오은주, "대학생의 특성불안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7 (27): 85-107, 2014

      6 조수용, "대학생의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와시험불안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지각된 정서적 지지의 조절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5 (25): 159-179, 2018

      7 황경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2 (12): 365-375, 2012

      8 석민현, "간호학생의 근육주사 처치 실습에서 지시적 심상요법의 효과 : 불안, 스트레스 및 처치 수행도를 중심으로" 한국간호과학회 32 (32): 784-791, 2002

      9 손경희, "간호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 불안 및 학업스트레스와의 관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577-587, 2018

      10 Koh, K. B.,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scale" 8 : 201-211, 2000

      11 Hatler, C. W., "Using guided imagery in the emergency department" 24 (24): 518-522, 1998

      12 Reilly, A., "The perceptions of under graduate student nurses of high fidelity simulation-based learning : A case report from the University of Tasmania" 27 (27): 542-550, 2007

      13 Park, H., "The effects of guided imagery on the stress and anxiety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10 (10): 311-316, 2004

      14 Kim, H. G, "The effects of guided imagery on stress, heart rate variability in nursing students" 17 (17): 125-137, 2012

      15 Speck, B. J., "The effect of guided imagery upon first semester nursing students performing their first injections" 29 (29): 346-350, 1990

      16 Jimenez, C., "Stress and health in novice and experienced nursing students" 66 : 442-455, 2010

      17 Achterberg, J., "Rituals of healing" Bantam Books 1994

      18 Kim, J. T, "Relationship between state-trait anxiety and socialization" Korea University 1978

      19 Spielberger, C. D.,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1970

      20 Barret, C., "Job satisfaction in preceptorship and its effect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receptee" 27 : 364-371, 1998

      21 Grammatica, G., "Guided Imagery as a resource to decrease test anxiety" 24 (24): 211-214, 2018

      22 Benson, J., "Further refinement and validation of the revised test anxiety scale" 1 : 203-221, 1994

      23 Suk, M. H., "Effects of guided imagery on psychological resources and stress response of adolescents" Yonsei University 2001

      24 George, S. A., "Effectiveness of guided imagery technique in reducing examination anxiety associated with selected demographic variables among college students – An experimental study" 6 (6): 147-150, 2017

      25 Panneerselvam, S., "Effectiveness of guided imagery in reducing examination anxiety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south India" 3 (3): 54-61, 2016

      26 Kaur, M., "Effect of guided imaginary on test anxiety among nursing students" 7 (7): 17409-17412, 2017

      27 Lee, G. H., "Effect of guided imagery program on patients depression and anxiety receiving cancer chemotherapy" 13 (13): 125-134, 2004

      28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Core basic nursing skill items"

      29 Klein, C. J., "An investigation of nursing competence and the competence outcomes performance assessment curricular approach : Senior students’ self-reported perceptions" 25 : 109-121, 2009

      30 Linn, M. W., "A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Scale" 15 (15): 47-59, 19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9 2.49 2.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7 3.05 3.548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