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조(金照)의 연행록(燕行錄) 『관해록(觀海錄)』연구 = Research on Gwanhaerok(觀海錄) Yeonhaengrok(燕行錄) Written by Kim Jo(金照)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813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燕行錄』(국립중앙도서관 소장, 필사본 1책, 임기중 편 『연행록전집』70권에 영인)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해 이 책의 서명이 본디『觀海錄』이며, 그 저자가金照(1754.1825)임을 새롭게 고증하였다. 아울러 그 체제, 내용, 비평 양상을 고찰하고 연행록으로서의 의의와 가치를 평가해 보았다. 김조는 경기도 화성에 세거한 무반 명문가인 해풍김씨의 후손으로 그 자신은 시인으로 명성이 상당했던 인물이다. 金祖淳, 金., 徐榮輔, 申緯, 李明五, 趙冕鎬 등과 교유하였다. 특히 젊은 시절부터 단짝 친구였던 金祖淳, 金.와의 교유는 주목을 요한다. 김조는 평생토록 參奉, 主簿 등 미관말직을 전전하였고, 한때 徐榮輔의 幕客으로도 있었다. ‘北村詩社’의 핵심 구성원 중 한 명으로서 후배시인에 끼친 영향도 상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1784년 사은사행을 따라 연행을 다녀왔으며 연행록인 관해록 을 남겼다. 현재까지 그의 다른 저술이 발견되지 않은 상황에서 김조의 연행록은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김조의 관해록 은 저자의 친필본이자 수택본으로 추정된다. 타인의 頭評을 통해원 제목이 ‘觀海錄’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문에는 글자를 수정한 흔적이 보이며 곳곳에 저자의 부연 설명이나 주석이 적혀 있다. 또 많은 批點이 찍혀 있고, 評批가 붙어있는데 평비자는 필체로 보아 적어도 3인 이상이다. 그 중 ‘香谷’이란 평비자는 바로풍고 김조순이다. 함께 연행한 자도 평비에 동참했을 가능성이 높다. 김조의 관해록 은 작가 신분으로 보자면 ‘隨行員의 연행록’으로, 특징상으로는 ‘評批本 연행록’으로 규정할 수 있다. 관해록 의 체제는 항목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결락부분을 제외하고 총 60개 항목으로 되어 있는데 일부 항목에는 附가 붙어 있기도 하고, 한 항목 안에서도 여러 칙으로 나누어 기술하고 있다. 대체로 시간과 장소의 순서를 따르고 있으나 간간이 귀로의 상황을 교차하여 서술하기도 하였다. 표현상으로는 소품적 문예취가 확연하며 산문 기록임에도 시적인 표현이 많다. 描寫, 記事, 立論이 모두 뛰어나면서도 서정성 넘치는 소품문 성향이 농후하다. 『담헌연기』와『열하일기』의 영향이 일정정도 감지되기도 하지만 일상과 사실에 대한 기록은 매우 상세하고 새로운 내용도 많이 담고 있다. 수준 높은 비평이 가해졌다는 점에서도 가치 있는 연행록이라고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燕行錄』(국립중앙도서관 소장, 필사본 1책, 임기중 편 『연행록전집』70권에 영인)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해 이 책의 서명이 본디『觀海錄』이며, 그 저자가金照(1754.1825)임을 ...

      본 연구는『燕行錄』(국립중앙도서관 소장, 필사본 1책, 임기중 편 『연행록전집』70권에 영인)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해 이 책의 서명이 본디『觀海錄』이며, 그 저자가金照(1754.1825)임을 새롭게 고증하였다. 아울러 그 체제, 내용, 비평 양상을 고찰하고 연행록으로서의 의의와 가치를 평가해 보았다. 김조는 경기도 화성에 세거한 무반 명문가인 해풍김씨의 후손으로 그 자신은 시인으로 명성이 상당했던 인물이다. 金祖淳, 金., 徐榮輔, 申緯, 李明五, 趙冕鎬 등과 교유하였다. 특히 젊은 시절부터 단짝 친구였던 金祖淳, 金.와의 교유는 주목을 요한다. 김조는 평생토록 參奉, 主簿 등 미관말직을 전전하였고, 한때 徐榮輔의 幕客으로도 있었다. ‘北村詩社’의 핵심 구성원 중 한 명으로서 후배시인에 끼친 영향도 상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1784년 사은사행을 따라 연행을 다녀왔으며 연행록인 관해록 을 남겼다. 현재까지 그의 다른 저술이 발견되지 않은 상황에서 김조의 연행록은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김조의 관해록 은 저자의 친필본이자 수택본으로 추정된다. 타인의 頭評을 통해원 제목이 ‘觀海錄’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문에는 글자를 수정한 흔적이 보이며 곳곳에 저자의 부연 설명이나 주석이 적혀 있다. 또 많은 批點이 찍혀 있고, 評批가 붙어있는데 평비자는 필체로 보아 적어도 3인 이상이다. 그 중 ‘香谷’이란 평비자는 바로풍고 김조순이다. 함께 연행한 자도 평비에 동참했을 가능성이 높다. 김조의 관해록 은 작가 신분으로 보자면 ‘隨行員의 연행록’으로, 특징상으로는 ‘評批本 연행록’으로 규정할 수 있다. 관해록 의 체제는 항목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결락부분을 제외하고 총 60개 항목으로 되어 있는데 일부 항목에는 附가 붙어 있기도 하고, 한 항목 안에서도 여러 칙으로 나누어 기술하고 있다. 대체로 시간과 장소의 순서를 따르고 있으나 간간이 귀로의 상황을 교차하여 서술하기도 하였다. 표현상으로는 소품적 문예취가 확연하며 산문 기록임에도 시적인 표현이 많다. 描寫, 記事, 立論이 모두 뛰어나면서도 서정성 넘치는 소품문 성향이 농후하다. 『담헌연기』와『열하일기』의 영향이 일정정도 감지되기도 하지만 일상과 사실에 대한 기록은 매우 상세하고 새로운 내용도 많이 담고 있다. 수준 높은 비평이 가해졌다는 점에서도 가치 있는 연행록이라고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about Gwanhaerok(觀海錄), which is a Yeonhaengrok written by Kim Jo. The author and title of this book was remained unknown, but I traced it. And I explained the format, contents, critic aspects so that I reappraised its value. Kim Jo is a descendant of Haepung Kim family who had lived in Hwaseong area. He also was known for a poet. He was a member of Bukchon group and had strong influence on colleagues. He went to Beijing with official envoy, and wrote Gwanhaerok at that time. Since the book is the only one remained, this book is so meaningful. Furthermore, this book was written by his own handwriting, and he proofread himself. And we can find other writers review in it. One of them was Kim Jo-sun who was famous for writing during the King Sunjo period. The format of this book is composed of items. It has 60 items, and each item has its own contents. Generally, it was written by the order of time and place. And we can find out the taste of Sopum(小品) from its expressions.
      번역하기

      This research is about Gwanhaerok(觀海錄), which is a Yeonhaengrok written by Kim Jo. The author and title of this book was remained unknown, but I traced it. And I explained the format, contents, critic aspects so that I reappraised its value. Kim...

      This research is about Gwanhaerok(觀海錄), which is a Yeonhaengrok written by Kim Jo. The author and title of this book was remained unknown, but I traced it. And I explained the format, contents, critic aspects so that I reappraised its value. Kim Jo is a descendant of Haepung Kim family who had lived in Hwaseong area. He also was known for a poet. He was a member of Bukchon group and had strong influence on colleagues. He went to Beijing with official envoy, and wrote Gwanhaerok at that time. Since the book is the only one remained, this book is so meaningful. Furthermore, this book was written by his own handwriting, and he proofread himself. And we can find other writers review in it. One of them was Kim Jo-sun who was famous for writing during the King Sunjo period. The format of this book is composed of items. It has 60 items, and each item has its own contents. Generally, it was written by the order of time and place. And we can find out the taste of Sopum(小品) from its expression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