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적: 안경광학과 재학생들의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과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도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D대학교 안경광학과 재학생 108명을 대상으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41167
2015
Korean
진로정체감 ; 전공만족도 ; 대학생활적응 ; 자아존중감 ; 학업성취도 ; Career Identity ; Major Satisfaction ; College Adaptation ; Self-Esteem ; Academic Achievement
KCI등재
학술저널
213-226(14쪽)
3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안경광학과 재학생들의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과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도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D대학교 안경광학과 재학생 108명을 대상으로 ...
목 적: 안경광학과 재학생들의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과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도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D대학교 안경광학과 재학생 1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대학 입 학 후 2015학년도 1학기까지의 평균평점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2를 이용하여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량, t-검정과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인 상 관관계를 보였고, 학업성취도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것은 대학생활적응(r=.320)이었다.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정체감의 요인 중 흥미와 재능(β=.356, p=.012)이었고, 전공만족도는 교과만족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유의미했으며, 대학생활적응 요인 중에서는 학업적응(β=.367, p=.032)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중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존중(β=.292, p=.047)이었다. 유의미한 변수들을 동시에 투입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반적인 전공만족도(β =.465, p=.002)와 전공에 대한 인식만족도(β=-.415, p=.003)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안경광학과 재학생의 학업성적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생활적응과 전공만족도 증진에 필요한 안 경광학과 특성에 맞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er identity, satisfaction with major, adjusting to college life and self-esteem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on academic achievement.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108 st...
Purpose: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er identity, satisfaction with major, adjusting to college life and self-esteem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on academic achievement.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108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at D University, and the grade point average from university admission until first semester 2015 was used for the academic achievement.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IBM SPSS Statistics 22.
Result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to all factors between career identity, satisfaction with major, adjusting to college life and self-esteem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wherea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was the adjusting to college life(r=.320). The factors having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were an interest and a talent(β=.356, p =.012) among career identity factors, and all the variables excluding satisfaction with curriculum for satisfaction with major were significant, while only the academic adjustment(β=.367, p=.032) among adjusting to college life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and the factor among sub-factors of self-esteem having an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was self-appreciation(β=.292, p=.047). The factors being put with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same time having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were general satisfaction with major(β=.465, p=.002) and perceived satisfaction with major(β=-.415, p=.003), which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specific program being needed for the improvement of adjusting to college life and satisfaction with major appropriate to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is required to enhance academic performance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유경훈,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적응, 자존감,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2700-2706, 2013
2 김혜숙, "지각된 학교학습 환경과 직업전망이 대학생활만족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1 (11): 199-216, 2004
3 이명애, "자아개념이 대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탐색" 한국교육평가학회 19 (19): 161-182, 2006
4 이선미, "안경광학과 재학생의 학과 선택 요인에 따른 성적과 전공만족도" 대한시과학회 16 (16): 455-462, 2014
5 성열훈, "보건계열 대학생의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이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355-363, 2013
6 이장익,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학업성취도 관계성에 대한 분석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1 (31): 227-246, 2012
7 신정철,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그 영향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287-313, 2008
8 김선연, "대학생의 학과교수 만족도 구성요인 타당화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207-226, 2012
9 이지혜,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탄력성에 따른 군집유형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39-59, 2013
10 전소연,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와 건강상태, 대학생활 적응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11 (11): 93-115, 2010
1 유경훈,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적응, 자존감,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2700-2706, 2013
2 김혜숙, "지각된 학교학습 환경과 직업전망이 대학생활만족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1 (11): 199-216, 2004
3 이명애, "자아개념이 대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탐색" 한국교육평가학회 19 (19): 161-182, 2006
4 이선미, "안경광학과 재학생의 학과 선택 요인에 따른 성적과 전공만족도" 대한시과학회 16 (16): 455-462, 2014
5 성열훈, "보건계열 대학생의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이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355-363, 2013
6 이장익,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학업성취도 관계성에 대한 분석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1 (31): 227-246, 2012
7 신정철,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그 영향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287-313, 2008
8 김선연, "대학생의 학과교수 만족도 구성요인 타당화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207-226, 2012
9 이지혜,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탄력성에 따른 군집유형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39-59, 2013
10 전소연,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와 건강상태, 대학생활 적응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11 (11): 93-115, 2010
11 이인숙, "간호대학생들의 외모만족도, 자존감, 우울 및 취업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3 (13): 2487-2500, 2011
12 Holland JL, "Vocational indecision:More evidence and speculation" 24 (24): 404-414, 1977
13 Lee DJ, "The relationships among satisfaction in major, gender identity, and gender stereotypes of male nursing students" Yonsei University 2004
14 Kim HW,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ystem patterns and career decision-making and adjustment to colleg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5
15 Nam SH,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parent's rearing attitude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of university student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9
16 Hyun JW, "The effect of perfectionism and evaluative threat on the performance of task" Yonsei University 1992
17 Coopersmith S,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W.H. Freeman &Company 1967
18 Lee SY, "The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Self esteem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 of the undergraduate" Seoul Women's University 2004
19 Kim JY, "The Relationship of Freshman's Adjustment of College Life and Depression" 10 (10): 243-263, 2008
20 Nam DH,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ego-identity on career maturity and academic achievements" Kongju National University 1994
21 Meece JL, "Students'goal orientations and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activities" 80 (80): 514-523, 1988
22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23 Spencer MB,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The application of an identity-focused" 34 (34): 43-57, 1999
24 Choi SG, "Research about high school student of career maturity : focus on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 Hanyang University 1992
25 Ryan RM, "Representations of relationships to teacher, parents, and friends as predictors of academic motivation and self-esteem" 14 (14): 226-249, 1994
26 Kim JE,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Subjective Happiness, and Educational Faith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Yeungnam University 2010
27 Holland JF, "My vocational situation" Consulting Psycology Press 1980
28 Baker RW,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31 (31): 179-189, 1984
29 "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Terminology of educational psychology"
30 Hidi S, "Interest and its contribution as a mental resource for learning" 60 (60): 549-571, 1990
31 Oh, JS, "Impact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Career Plan on Academic Achievement" 16 (16): 119-131, 2014
32 김정규, "HOLLAND의 직업적 성격 유형에 따른 물리치료학과 학생들의 전공성취도"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39 (39): 77-85, 2013
33 Jeong U, "Function of Self-Esteem : A Cross-Cultural Perspectiv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4
34 Kang JG, "Effects of self-concept, career maturity and school achievement upon occupational status aspir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6
35 Kwon YH, "Effect of a ready planned self growth program through MBTI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career ident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13 (13): 216-229, 2002
36 Cho WS, "Correlation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ccordance with major-interest" Daejin University 2009
37 Kim, BH,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7
38 Arkoff A,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Magraw Hill Book Company 1968
39 Lim YS, "A Study on Career Socialization in College Students With the Focus on the Degree of Their Satisfaction With Major" 9 : 107-129, 1993
40 Kim KH, "A Study of Department Satisfaction Factors of Undergraduate Students" 1 (1): 7-20, 2000
41 Chang DW, "A Preliminary Study of a Major-adjustment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with Major-Aptitude Discrepancy" 14 : 1109-1154, 1986
Electroencephalography (EEG) assessment of the wearing comfort of mass-productive eyewear frames
조절마비제인 CyclogylⓇ 과 AtropineⓇ 이 배양 결막세포에 미치는 영향
외안근 고유수용감각 수준 평가를 위한 Maindot 검사의 적합성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4 | 0.74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2 | 0.59 | 0.899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