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창의적 문제발견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7503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창의적 문제발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양적·질적으로 검증하는데 있다. 문제발견의 단계를 문제인식, 자료 찾기, 문�...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창의적 문제발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양적·질적으로 검증하는데 있다. 문제발견의 단계를 문제인식, 자료 찾기, 문제 확인, 문제진술의 단계로 나누어 보았고, 전체 프로그램은 사고도구의 연습, 문제발견의 단계 연습, 교과와 현실 문제를 적용하는 연습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본 프로그램이 창의적 문제해결력, 발산적 사고력, 창의적 성격의 개발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질적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과정에 대한 질적 평가와 개방형 질문을 통해서 학습자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본 실험은 고등학생 27명을 대상으로 16주 동안 진행되었고, 매주 120분 동안 이루어졌다. 실험설계는 1피험자간 1피험자내 설계로 하였고, 자료의 분석은 다변량분석(MANOVA)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창의적 문제발견프로그램이 일부요인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발견능력에는 효과가 있었고, 문제해결능력에서는 부분적으로만 효과가 있었다. 이것은 문제발견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은 별개의 단계임을 시사하고 있다. 그리고 본 프로그램은 발산적 사고의 언어영역에서는 효과적이었고, 도형영역에서는 일부 요인에서만 효과적이었다. 마지막으로 창의적 성격의 개발에는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분석과정에서는 수업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중요한 문제를 찾고 진술하는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개방형 질문에 대한 반응에서는 주인의식과 지적 호기심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established with two fold purposes: The first one concerned with developing the instructional program for enhancing secondary students` creative problem finding thinking, and the second one aimed at experimentally examining it`s ef...

      This study has been established with two fold purposes: The first one concerned with developing the instructional program for enhancing secondary students` creative problem finding thinking, and the second one aimed at experimentally examining it`s effectiveness. To achieve the purposes the researcher extracted the sub-steps problem finding from precedence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The training program was developed which consists of steps such as (1) problem sensing (2) data finding (3) problem identification (4) problem statement. The program was applied to secondary school students for 120 minutes every week, which lasted 16 weeks. The experiment employed one class of 8 graders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one adjacent class as the comparative control group. Both groups were given a pretest and posttest to measure the improvement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thinking and divergent thinking, creative personality. Data were subjected to the MANOVA procedure in SPSS17.0. The results obtained showed instructional program could be very effective in developing subjects` problem finding thinking, verbal divergent thinking. However, it did not show sufficient effects in developing students` problem solving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did not show sufficient effects in students` positive dispositional change(perseverance, curiosity), which is possibly a result of the insufficient amount of practice. In addition, qualitative study was made to investigate process of creative problem finding thinking and its meaning by analyzing 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s. As each day went by, improved focusing ability and fitness of problem statement ability were shown. the interviews after class, participants said that the activity of problem finding was very interesting. The methodology of instruction was based on the desire to capitalize on the passion for learning inherent in the enthusiasm and curiosity of secondary students. By empowering students to take ownership of what as well as how they learn, the passion necessary for transforming curiosity into a focused intellectual pursuit was channel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ternberg, R. J., 40 : 8-21, 1997

      2 김영채, "한국판 Torrance창의력(언어)검사: 검사요강" 창의력 한국 FPSP/현곡 R& D 2004

      3 김영채, "한국판 Torrance 창의력(도형)검사:검사요강" 창의력 한국 FPSP/현곡 R&D 2006

      4 김영채, "창의적 성격특성-학교교육을 통한 발달경향 및 교과 성적과의 상관" 39 (39): 1-24, 2001

      5 김영채,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수업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험 분석" 한국교육학회 40 (40): 6-158, 2002

      6 김영채, "창의적 문제해결:창의력 수업을 위한 코칭가이드" 교육과학사 2009

      7 박병기, "창의성과 지능의 관계구조" 14 (14): 235-261, 2000

      8 전윤식, "창의성 교육의 새로운 접근: 문제찾기" 한국교육학회 41 (41): 10-238, 2003

      9 이혜주, "창의성 교육"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8

      10 김영채, "창의력의 이론과 개발" 교육과학사 2007

      1 Sternberg, R. J., 40 : 8-21, 1997

      2 김영채, "한국판 Torrance창의력(언어)검사: 검사요강" 창의력 한국 FPSP/현곡 R& D 2004

      3 김영채, "한국판 Torrance 창의력(도형)검사:검사요강" 창의력 한국 FPSP/현곡 R&D 2006

      4 김영채, "창의적 성격특성-학교교육을 통한 발달경향 및 교과 성적과의 상관" 39 (39): 1-24, 2001

      5 김영채,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수업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험 분석" 한국교육학회 40 (40): 6-158, 2002

      6 김영채, "창의적 문제해결:창의력 수업을 위한 코칭가이드" 교육과학사 2009

      7 박병기, "창의성과 지능의 관계구조" 14 (14): 235-261, 2000

      8 전윤식, "창의성 교육의 새로운 접근: 문제찾기" 한국교육학회 41 (41): 10-238, 2003

      9 이혜주, "창의성 교육"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8

      10 김영채, "창의력의 이론과 개발" 교육과학사 2007

      11 윤경미, "영재판별의 새로운 변인: 문제발견력"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587-604, 2006

      12 주정언, "수학문제 만들기 학습이 문제발견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2001

      13 박은혜, "수업사례활동의 효과에 관한 예비교사들의 평가" 22 (22): 105-124, 2007

      14 하주현, "문제발견과 창의성" 한국지식경영학회 7 (7): 1-12, 2006

      15 하주현, "문제발견, 창의적 사고, 창의적 인성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99-115, 2003

      16 이혜주, "구조화 정도가 다른 문제 상황에서 문제발견에 대한 제 변인의 상대적 기여도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18 (18): 123-147, 2005

      17 김영채, "교수-학습의 과정과 창의력 교육" 대한사고개발학회 3 (3): 1-35, 2007

      18 윤경미,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문제 발견의 차이 및 문제발견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인 분석" 부산대학교 2004

      19 류시경, "고등학생들의 독창적인 문제발견 능력과 학업 성취도, 과학 탐구능력, 창의적 성격과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7): 263-271, 2007

      20 Wakefield,J.F, "Towards creativity: Problem finding in a divergent-thinking exercise" 15 : 265-270, 1985

      21 정미선, "Torrance의 FPSP가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2003

      22 Hoover, S. M., "The scientific hypothesis formulation ability of gifted ninth-grade students" 82 (82): 838-848, 1994

      23 Getzels,J.W, "The problem of the problem, In Question forming and response consistency" Jossey-Bass 37-44, 1982

      24 Perkins,D.N, "The mind's best work" Harvard University Press 1981

      25 Getzels, J. W., "The creative vision:A longitudinal study problem finding in art" Wiley 1976

      26 Mansfield, R., "The Psychology of creativity and discovery:Scientists and their work" Nelson-Hall 1981

      27 Rubenson, d. L., "The Psychoeconmic approach to creativity" 10 : 131-147, 1992

      28 Reiter-Palmon, R., "Solving everday problems creatively: The role of problem construction and personality type" 11 (11): 187-197, 1998

      29 Hoover,S.M, "Scientific problem finding in gifted grade students" 16 (16): 156-164, 1994

      30 Clinton, B., "S. E. A. M: A training program for developing problem identification skills" 20 : 77-80, 1986

      31 류시경,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Find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Chemistry" 대한화학회 52 (52): 179-185, 2008

      32 Redmond, M. R., "Putting creativity to work: Effects of leader behavior on subordinate creativity" 55 : 120-151, 1993

      33 Jay, E. A., "Problem finding: The search for mechanism, In The creativity research handbook" Hampton 1997

      34 Brugman,G.M, "Problem finding: Discovering and formulating problems" 1 : 212-227, 1991

      35 Runco, M. A., "Problem finding, evaluative thinking, and creativity, In problem finding,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40-76, 1994

      36 Mumford, M. D., "Problem construction and cognition: Applying problem representations in ill-defined domains" problem finding, problem 1994

      37 Treffinger,D.J, "Practice Problems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prufrock press 2000

      38 Cantor, N., "Personality and social intelligence" Prentice -Hall 1987

      39 Basadur,M, "Managing the creative process, In Problem finding, problem solving , and creativity" Ablex 1994

      40 Cantor,N, "Life task problem solving: Situational affordances and personal needs" 20 : 235-243, 1994

      41 Lee, Y. J., "Improving creative problem-solving in a sample of third culture kids" 28 (28): 449-463, 2007

      42 Kay,S, "From theory to practice-promoting problem finding behavior in children" 16 (16): 195-200, 1994

      43 김영채, "FPFP 평가 가이드라인" 창의력 한국 FPSP/현곡 R & D 2010

      44 Fontenot,N.A, "Effects of training in creativity and creative problem finding upon business people" 133 (133): 11-22, 1992

      45 Barron, F. X., "Creativity,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32 : 439-476, 1981

      46 Okuda, S. M., "Creativity and the finding and solving of real-world problems" 9 : 145-153, 1991

      47 Osborn, H. K., "Creativity and planning: Training interventions to develop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solving and creativity 18 (18): 173-190, 2006

      48 Sheldon,K.M, "Creativity and goal conflict" 8 : 299-306, 1995

      49 Prabhu, A., "Creativity and certain personality traits: understanding the mediating effect of untrinsic motivation" 20 (20): 53-66, 2008

      50 Runco,M.A, "Creativity" 55 : 658-677, 2004

      51 Treffinger,D.J, "Creative problem solving: Overview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7 (7): 301-308, 1995

      52 Houtz,J.C, "Creative problem solving in the classroom, In Problem finding,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Ablex 1994

      53 Isaksen, S. G., "Creative approaches to problem solving" Kendall/Hunt 2000

      54 Kobe,L.M, "Computer-based creativity training: Training the creative process" University of Nebraska 2001

      55 김영채, "CPS: 창의적 문제해결, In Treffinger, Isaksen과 Dorval의 Creative Problem Solving" 박영사 2004

      56 Elwell, P. A., "CPS for teens" Prufrock 1993

      57 Treffinger,D.J, "Assessing CPS performance" prufrock press 2000

      58 Rhodes,M, "An analysis of creativity" 42 : 305-310, 196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16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심리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9 2.39 2.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5 3.18 3.128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