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魏晉玄學的言意之辯與劉勰意象論的關係 =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Meaning of Profoung Learnings of the Weijin Dynasty and Liu xie's Theory of Image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319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ll people know about it, Liu xie was largely affected by Profound learning which is included in his masterpiece Wen Xin Diao Long. Profound learning is His literature theory especially notes Confucian ideas and has comprehensive aspects in that Taoism and Buddhism had an effect on it. However, Profound learning had bad effects on literature and we can infer that Liu xie had critical perspective on this atmosphere. Namely, in unique circumstances of profound learning, Liu Xie was not included in these ideas and made this theory more comprehensive by taking advantages and complaining disadvantages among these ideas. Furthermore, when we read Wen Xin Diao Long, we can notice that he made his own literature theory by taking Profound learning in many sections. The viewpoint, which we cannot express own ideas, is main point of the theory of creating literature. Liu xie noted that Imaginative power of the author is comprised of language, image, idea. There is famous saying of Wang bi; When we acquire idea, we immediately forget language. Liu xie changed this to his theory of creating literature. The bottom line is that Liu xie segregated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image, then formed it as language, idea, and image. He emphasizes the connection between language and image. The image he says is verbal image and this is the formation existing in the brain of the author when creating literary works. In conclusion, objective subject author tries to express is tangible and concrete. Meanwhile, the image in the mind of the author is nonobjective. Liu xie regarded Verbal image comprised of the two as the third space between both things.
      We cannot help noting that he did not endeavor to find out actual method to solve but notice various problems.
      번역하기

      As all people know about it, Liu xie was largely affected by Profound learning which is included in his masterpiece Wen Xin Diao Long. Profound learning is His literature theory especially notes Confucian ideas and has comprehensive aspects in that T...

      As all people know about it, Liu xie was largely affected by Profound learning which is included in his masterpiece Wen Xin Diao Long. Profound learning is His literature theory especially notes Confucian ideas and has comprehensive aspects in that Taoism and Buddhism had an effect on it. However, Profound learning had bad effects on literature and we can infer that Liu xie had critical perspective on this atmosphere. Namely, in unique circumstances of profound learning, Liu Xie was not included in these ideas and made this theory more comprehensive by taking advantages and complaining disadvantages among these ideas. Furthermore, when we read Wen Xin Diao Long, we can notice that he made his own literature theory by taking Profound learning in many sections. The viewpoint, which we cannot express own ideas, is main point of the theory of creating literature. Liu xie noted that Imaginative power of the author is comprised of language, image, idea. There is famous saying of Wang bi; When we acquire idea, we immediately forget language. Liu xie changed this to his theory of creating literature. The bottom line is that Liu xie segregated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image, then formed it as language, idea, and image. He emphasizes the connection between language and image. The image he says is verbal image and this is the formation existing in the brain of the author when creating literary works. In conclusion, objective subject author tries to express is tangible and concrete. Meanwhile, the image in the mind of the author is nonobjective. Liu xie regarded Verbal image comprised of the two as the third space between both things.
      We cannot help noting that he did not endeavor to find out actual method to solve but notice various proble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魏晉南北朝時期는 경학이 쇠퇴하면서 여러 가지 사상이 다시 대두하기 시작하였는데 특히 晉代에 玄風이 성행하면서 허무를 숭상하고 세상을 피하는 소극적 은둔사상이 신속하게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正始 年間에 王弼과何晏을 비롯한 일련의 사상가들은 노장사상에 입각하여 유가의 경전을 해석하였으니, 우리는 이런 사상을 玄學이라고 한다. 이 현학은 통치자들 뿐만 아니라 상당수의 지식인들의 사유체계와 시대적 분위기를 반영하는 시대조류로 확인되어 죽림칠현이 출현하는 등 사회적 관심사가 되었던 것이다. 특히 이들은 노장 계열의 언어관, 즉 언어는 개인의 사상을 다 표현하기 힘들다는 명제를 적극 수용하면서 문학 창작에 있어서 언어와 사고의 관계에 관한 적지 않은 논의를 야기 시켰으며, 이런 관점을 우리는 言意之辯이라고 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劉勰은 南朝의 齊梁年間에 살았으므로 이미 현학의 전성기가 지나간 시기에 해당되어 얼핏 보기에 이런 시대 조류와 무관한 시대를 살다간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는 문학사상의 영역에서 현학의 적지 않은 영향을 받아 그의 대작 ≪文心雕龍≫에는 현학의 상당한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물론 그의 주된 사상이 儒家思想이면서 道佛의 영향을 받은 복합적인 면모를 고려하면 더욱 그러하다.
      유협은 이미 현학이 함축하고 있는 시대와의 불화에 주목하면서도 그 현학이 갖는 문학적 사유의 주요한 측면인 언어와 사고의 관계에 주목했다는 점이다. 역설적이지만 우리는 위진의 현학으로 야기된 문학의 좋지 않은 실제 창작스타일에 대해 유협이 매우 비판적이라는 점도 인정한다. 그러면서도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 될 사안은 유협은 현학의 부정적 측면을 비판하면서도 그에 영향을 받은 당시의 작가들의 창작과 이론에 상당한 의미를 부여하면서, 특히 현학의 중심 화두이기도 한 言意의 문제를 적극 수용하여 문학 창작이론의 핵심 사안으로 삼았다는 점이다. 우리가 ≪文心雕龍≫을 보면 적지 않은 부분에서 玄理를 문학이론의 영역으로 끌어들여 자신의 문론을 전개하는 것을 보면 그가 문학 창작론의 첫머리인 ‘神思’ 편을 중심으로 전개하는 ‘언부진의’론의 문제가 충분히 논의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가 이 책의 저술 동기에서도 말한 바있듯이 꿈에서도 공자를 볼 정도라는 그가 문학의 원론은 원도, 징성, 종경을 내세우면서 다시 창작론에서는 ‘言不盡意’론을 수용한다는 것은 모순적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본고를 통해 필자는 유협이 말하고자 하는 意象이란 言、象、意 세 가지 가 반드시 유기적으로 융합하여 탄생한 것이라는 점을 주목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유협이 言意關係에 대해 논의함에 있어 주로 嵇康 등의 言不盡意論과 王弼의 得意忘言論을 기초로 삼으면서 歐陽建의 言盡意論도 고려하는 절충의 방식으로 이들이 자신의 의상론과 연계되어 있다는 사실을 검토하였다. 유협은 언어와 의상의 이원론에 입각하면서도 의상론에 있어서 언어의 작용과 효용이 매우 크다는 점을 확실히 인지하였던 것이다. 그 주된 관점은 주로 言意관계를 言、象、意라는 세 가지 측면으로 분리하여 “象”이 言意의 사이에서 갖는 中介性을 강조하고 있다는 사실도 본고를 통해 확인되었다. 유협이 말하는 “象”은 곧 意象이며 이는 문학 창작 중에 객관사물이 작자의 두뇌 속에서 존재하는 ...
      번역하기

      魏晉南北朝時期는 경학이 쇠퇴하면서 여러 가지 사상이 다시 대두하기 시작하였는데 특히 晉代에 玄風이 성행하면서 허무를 숭상하고 세상을 피하는 소극적 은둔사상이 신속하게 발전하기...

      魏晉南北朝時期는 경학이 쇠퇴하면서 여러 가지 사상이 다시 대두하기 시작하였는데 특히 晉代에 玄風이 성행하면서 허무를 숭상하고 세상을 피하는 소극적 은둔사상이 신속하게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正始 年間에 王弼과何晏을 비롯한 일련의 사상가들은 노장사상에 입각하여 유가의 경전을 해석하였으니, 우리는 이런 사상을 玄學이라고 한다. 이 현학은 통치자들 뿐만 아니라 상당수의 지식인들의 사유체계와 시대적 분위기를 반영하는 시대조류로 확인되어 죽림칠현이 출현하는 등 사회적 관심사가 되었던 것이다. 특히 이들은 노장 계열의 언어관, 즉 언어는 개인의 사상을 다 표현하기 힘들다는 명제를 적극 수용하면서 문학 창작에 있어서 언어와 사고의 관계에 관한 적지 않은 논의를 야기 시켰으며, 이런 관점을 우리는 言意之辯이라고 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劉勰은 南朝의 齊梁年間에 살았으므로 이미 현학의 전성기가 지나간 시기에 해당되어 얼핏 보기에 이런 시대 조류와 무관한 시대를 살다간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는 문학사상의 영역에서 현학의 적지 않은 영향을 받아 그의 대작 ≪文心雕龍≫에는 현학의 상당한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물론 그의 주된 사상이 儒家思想이면서 道佛의 영향을 받은 복합적인 면모를 고려하면 더욱 그러하다.
      유협은 이미 현학이 함축하고 있는 시대와의 불화에 주목하면서도 그 현학이 갖는 문학적 사유의 주요한 측면인 언어와 사고의 관계에 주목했다는 점이다. 역설적이지만 우리는 위진의 현학으로 야기된 문학의 좋지 않은 실제 창작스타일에 대해 유협이 매우 비판적이라는 점도 인정한다. 그러면서도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 될 사안은 유협은 현학의 부정적 측면을 비판하면서도 그에 영향을 받은 당시의 작가들의 창작과 이론에 상당한 의미를 부여하면서, 특히 현학의 중심 화두이기도 한 言意의 문제를 적극 수용하여 문학 창작이론의 핵심 사안으로 삼았다는 점이다. 우리가 ≪文心雕龍≫을 보면 적지 않은 부분에서 玄理를 문학이론의 영역으로 끌어들여 자신의 문론을 전개하는 것을 보면 그가 문학 창작론의 첫머리인 ‘神思’ 편을 중심으로 전개하는 ‘언부진의’론의 문제가 충분히 논의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가 이 책의 저술 동기에서도 말한 바있듯이 꿈에서도 공자를 볼 정도라는 그가 문학의 원론은 원도, 징성, 종경을 내세우면서 다시 창작론에서는 ‘言不盡意’론을 수용한다는 것은 모순적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본고를 통해 필자는 유협이 말하고자 하는 意象이란 言、象、意 세 가지 가 반드시 유기적으로 융합하여 탄생한 것이라는 점을 주목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유협이 言意關係에 대해 논의함에 있어 주로 嵇康 등의 言不盡意論과 王弼의 得意忘言論을 기초로 삼으면서 歐陽建의 言盡意論도 고려하는 절충의 방식으로 이들이 자신의 의상론과 연계되어 있다는 사실을 검토하였다. 유협은 언어와 의상의 이원론에 입각하면서도 의상론에 있어서 언어의 작용과 효용이 매우 크다는 점을 확실히 인지하였던 것이다. 그 주된 관점은 주로 言意관계를 言、象、意라는 세 가지 측면으로 분리하여 “象”이 言意의 사이에서 갖는 中介性을 강조하고 있다는 사실도 본고를 통해 확인되었다. 유협이 말하는 “象”은 곧 意象이며 이는 문학 창작 중에 객관사물이 작자의 두뇌 속에서 존재하는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魯迅, "魏晋風度及文章與葯及酒之關係" 人民文學出版社 1985

      2 梁道禮, "論玄學“言意之辯”的宗致及其對古代文論的全方位影響" (4) : 2005

      3 和紅軍, "論劉勰言意之辯及其對修辭理論的貢獻" (6) : 2001

      4 張利群, "論劉勰"意象"的動態創造與三重意義建構" (6) : 2007

      5 王力堅, "言意之辯與隱秀之象——論正始詩歌的意象表現特徵" (5) : 1998

      6 張強, "言意之辯發生的歷史及其文學闡釋" (5) : 2002

      7 陳引弛, "言意之辯導向文學的邏輯線索" (2) : 33-39, 1994

      8 郞寶如, "言意之辯―從哲學到文學的多層面考察" (3) : 1999

      9 湯用彤, "言意之辯 in : 湯用彤學術論文集" 中華書局 1983

      10 曹虹, "言意之辩与辞赋创作" (4) : 2004

      1 魯迅, "魏晋風度及文章與葯及酒之關係" 人民文學出版社 1985

      2 梁道禮, "論玄學“言意之辯”的宗致及其對古代文論的全方位影響" (4) : 2005

      3 和紅軍, "論劉勰言意之辯及其對修辭理論的貢獻" (6) : 2001

      4 張利群, "論劉勰"意象"的動態創造與三重意義建構" (6) : 2007

      5 王力堅, "言意之辯與隱秀之象——論正始詩歌的意象表現特徵" (5) : 1998

      6 張強, "言意之辯發生的歷史及其文學闡釋" (5) : 2002

      7 陳引弛, "言意之辯導向文學的邏輯線索" (2) : 33-39, 1994

      8 郞寶如, "言意之辯―從哲學到文學的多層面考察" (3) : 1999

      9 湯用彤, "言意之辯 in : 湯用彤學術論文集" 中華書局 1983

      10 曹虹, "言意之辩与辞赋创作" (4) : 2004

      11 葉朗, "胸中之竹----走向現代之中國美學" 安徽敎育出版社 1998

      12 張海明, "玄妙之境" 東北師大出版社 1998

      13 戴璉璋, "文明的衝突與會通" 3 : 1993

      14 王更生, "文心雕龍讀本(下)" 文史哲出版社 1997

      15 王元化, "文心雕龍講話" 上海古籍出版社 1992

      16 祖保泉, "文心雕龍解說" 安徽敎育出版社 1994

      17 牟世金, "文心雕龍硏究" 人民文學出版社 1997

      18 張少康, "文心雕龍國際硏討會(上)" 臺灣師大國文系 1999

      19 黃侃, "文心雕龍劄記" 中華書局 1962

      20 王元化, "文心雕龍創作論" 上海古籍出版社 1984

      21 賈奮然, "文心雕龍 言意之辯論" (1) : 2000

      22 周振甫, "文哲散記" 山東敎育出版社 1999

      23 劉偉林, "意象論" 華南師範大學學報 1996

      24 蔡宗齊, "意象·意境說與劉勰的創作論 in : 文心雕龍國際硏討會論文集(下)" 臺灣師大國文系 1999

      25 藍華增, "意境論" 雲南人民出版社 1998

      26 高明, "帛書老子校注" 中華書局 1996

      27 王寧, "多元共生的時代" 北京大學出版社 1993

      28 金元中, "在中国古代文论上,言象意德关系" 2000

      29 "劉燕, ≪隱秀與意象≫,新疆師大學報1991年第1期"

      30 張晶, "劉勰的審美意象論" (1) : 1997

      31 金元中, "劉勰 言語觀 初探" 1992

      32 徐復觀, "中國藝術精神" 學生書局 1975

      33 蒲震元, "中國藝術意境論" 北京大學出版社 1999

      34 周來祥主, "中國美學主潮" 山東大學出版社 1993

      35 金元中, "中國文學理論的世界" 乙酉文化社 2003

      36 顏曉峰, "中國哲學史上的言意之辯" (2) : 1998

      37 劉文英, "中國古代意識觀念的産生和發展" 人民出版社 1985

      38 詹福瑞, "中古文學理論範疇" 河北大學出版社 1997

      39 錢鐘書, "≪管錐編․周易正義․乾≫第1冊, 12" 中華書局 1982

      40 陶禮天, "≪文心雕龍≫與六朝審美心物觀" 1997

      41 楊乃喬, "“詩言志”與批評的話語權力" 1999

      42 李茂民, "“言意之辯”從哲學和玄學向詩學的轉換—論劉勰的言意觀" (4) : 2005

      43 童慶炳, "<文心雕龍>“感物吟志”說"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1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