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생애주기상에서 발생하는 주요 사건들(고령화, 출가, 독거가구화 등의 시간적 흐름)이 주거소비면적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생애주기상의 많은 사건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40110
2015
English
생애주기 ; 주거소비 ; 고령화 ; Life Cycle ; Housing Consumption ; Aging
KCI등재
학술저널
139-150(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생애주기상에서 발생하는 주요 사건들(고령화, 출가, 독거가구화 등의 시간적 흐름)이 주거소비면적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생애주기상의 많은 사건들...
본 연구는 생애주기상에서 발생하는 주요 사건들(고령화, 출가, 독거가구화 등의 시간적 흐름)이 주거소비면적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생애주기상의 많은 사건들이 주거소비면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들은 많이 존재하여 왔다. 그러나 기존연구들은 고령화 계층과 비고령화 계층 간의 집단 비교를 통하여 고령화 계층과 비고령화 계층을 나누고 있으며, 주택소비함수 구성 시에 많은 추정치(자가가격 추정치, 전세가격 추정치 등)들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주거소비실태 실측 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자가 가구를 대상으로 한 전체 생애주기 주거소비함수를 구성하였다. 또한 기존 고령화 계층의 주거소비연구들이 횡단면 자료를 기반으로 하였다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차분회귀분석모형(반복헤도닉모형)을 사용하여 주거면적에 대한 연령의 시계열적 효과를 분석하여 생애주기 함수가 시점이 다른 상황에서도 재현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일반적인 생애주기 이론에서는 가구주가 중장년층이 되면 주거소비가 점차 늘어나고, 자녀출가 및 노년기로 접어들어 은퇴의 시기가 되면, 주거 소비를 줄여서 현금 축적 및 생활비로의 전용 등이 발생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고령화 계층은 은퇴 이후에도 상당 기간 동안 주거 면적을 늘려나가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즉, 장년층 못지않게 60~70대 연령층에서도 주거 면적을 늘려나가는 경향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도 고령화 연구의 가장 큰 한계점인 횡단면 자료 사용의 문제를 완벽하게 극복하였다고는 볼 수 없지만, 향후 고령화 계층을 시계열적으로 샘플의 누락 없이 추적 조사할 수 있는 패널자료가 구축된다면 보다 더 정교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도시개발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도시 주거환경 특성 비교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