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초적 쓰기 부진 진단과 중재 방안 = A Study about Diagnosis and Intervention of Basic Writing Underachieve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817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기초적 쓰기 능력의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진단 영역을 설정하고 기초적 쓰기 부진의 진단과 중재 방법을 설계하였다. 기초적 쓰기 능력의 진단 영역은 쓰기 준비도, 글자쓰기, 작문으로 나누어진다. 쓰기 준비도는 음운 인식, 낱자 지식, 시지각 능력, 쓰기 흥미 등을 갖추어야 한다. 글자쓰기는 관습적 모양에 맞게 쓰는 글씨쓰기, 관습적 어법에 맞게 쓰는 철자쓰기 능력으로 구성되는데, 글자 소리 대응 지식, 표기지식, 철자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스스로 의미를 표현하는 작문 능력은 단어와 문장 단위 위주로 이루어진다. 기초적 쓰기 부진의 진단 방법을 설계하기 위해 기존의 쓰기 검사 도구들을 분석하여 진단 영역별 목표 행동, 다양한 측면을 보여주는 측정지표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그래서 쓰기 준비도, 글자쓰기, 작문 영역별로 목표 행동을 논의하고, 고려해야 할 지표를 명료성-정확성, 유창성-창의성 두 가지로 설정하였다.
      기초적 쓰기 부진이 발생하는 영역을 쓰기 준비도·글자쓰기 부진, 단어·문장쓰기 부진, 글쓰기 부진으로 나눌 때 앞의 영역에서 부진이 발생할수록 부진 요인들이 누적되므로 조기 발견과 대처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 각 영역에서 흔히 나타나는 부진 현상을 유형화하고 이에 맞는 중재 방법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고는 기초적 쓰기 능력의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진단 영역을 설정하고 기초적 쓰기 부진의 진단과 중재 방법을 설계하였다. 기초적 쓰기 능력의 진단 영역은 쓰기 준비도, 글자쓰기, 작문...

      본고는 기초적 쓰기 능력의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진단 영역을 설정하고 기초적 쓰기 부진의 진단과 중재 방법을 설계하였다. 기초적 쓰기 능력의 진단 영역은 쓰기 준비도, 글자쓰기, 작문으로 나누어진다. 쓰기 준비도는 음운 인식, 낱자 지식, 시지각 능력, 쓰기 흥미 등을 갖추어야 한다. 글자쓰기는 관습적 모양에 맞게 쓰는 글씨쓰기, 관습적 어법에 맞게 쓰는 철자쓰기 능력으로 구성되는데, 글자 소리 대응 지식, 표기지식, 철자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스스로 의미를 표현하는 작문 능력은 단어와 문장 단위 위주로 이루어진다. 기초적 쓰기 부진의 진단 방법을 설계하기 위해 기존의 쓰기 검사 도구들을 분석하여 진단 영역별 목표 행동, 다양한 측면을 보여주는 측정지표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그래서 쓰기 준비도, 글자쓰기, 작문 영역별로 목표 행동을 논의하고, 고려해야 할 지표를 명료성-정확성, 유창성-창의성 두 가지로 설정하였다.
      기초적 쓰기 부진이 발생하는 영역을 쓰기 준비도·글자쓰기 부진, 단어·문장쓰기 부진, 글쓰기 부진으로 나눌 때 앞의 영역에서 부진이 발생할수록 부진 요인들이 누적되므로 조기 발견과 대처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 각 영역에서 흔히 나타나는 부진 현상을 유형화하고 이에 맞는 중재 방법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basic writing ability’s diagnosis areas and designs the basic writing underachievement’s diagnosis methods. The basic writing ability’s diagnosis areas are divided into three: writing readiness, transcription, composition. The writing readiness needs phonological awareness, letter knowledge, visual-motor integration and writing interest. The transcription is consisted of handwriting and spelling. It needs letter-sound connection knowledge, orthographical knowledge and spelling knowledge. The composition needs meaning generation of words, sentences and texts.
      This paper analyzes three writing tests to design the basic writing underachievement’s diagnosis methods. So it suggests achievemental behaviors of diagnosis areas and measuring indicator, legibility-accuracy and fluency-creativity. The basic writing underachievement can be discovered three areas. The underachievement of writing readiness and transcription must be discovered and managed early. It categorized general types and interventions of basic writing underachievement.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the basic writing ability’s diagnosis areas and designs the basic writing underachievement’s diagnosis methods. The basic writing ability’s diagnosis areas are divided into three: writing readiness, transcription, composition...

      This paper examines the basic writing ability’s diagnosis areas and designs the basic writing underachievement’s diagnosis methods. The basic writing ability’s diagnosis areas are divided into three: writing readiness, transcription, composition. The writing readiness needs phonological awareness, letter knowledge, visual-motor integration and writing interest. The transcription is consisted of handwriting and spelling. It needs letter-sound connection knowledge, orthographical knowledge and spelling knowledge. The composition needs meaning generation of words, sentences and texts.
      This paper analyzes three writing tests to design the basic writing underachievement’s diagnosis methods. So it suggests achievemental behaviors of diagnosis areas and measuring indicator, legibility-accuracy and fluency-creativity. The basic writing underachievement can be discovered three areas. The underachievement of writing readiness and transcription must be discovered and managed early. It categorized general types and interventions of basic writing underachieve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소영, "한국어 읽기검사(KOLRA)" 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 2015

      2 이수진, "학습전략교육으로서 초등 읽기·쓰기교육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423-442, 2015

      3 민경철, "학령전기 아동의 글씨 쓰기 명료도와 시지각 능력과의 상관관계" 대한작업치료학회 16 (16): 1-12, 2008

      4 신가영, "초등학생의 철자 발달과 오류 패턴 분석" 한국언어치료학회 24 (24): 61-72, 2015

      5 이순영, "초등학교 1학년생의 쓰기 발달 연구: 학기와 장르에 따른 양적 변화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원 28 (28): 93-108, 2017

      6 이차숙, "초기 문식성 평가 방법 탐색" 안암교육학회 13 (13): 169-195, 2007

      7 전병운, "장애학생을 위한 국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3

      8 조희숙, "유아의 음운인식과 읽기가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기 종단적 접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9 (19): 137-155, 2006

      9 임천택, "쓰기 평가에서 글씨 정확도와 평가 결과의 관련성 연구" 한국어문교육학회 45 : 169-180, 2012

      10 배성직, "쓰기 유창성 검사 지표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 배소영, "한국어 읽기검사(KOLRA)" 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 2015

      2 이수진, "학습전략교육으로서 초등 읽기·쓰기교육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423-442, 2015

      3 민경철, "학령전기 아동의 글씨 쓰기 명료도와 시지각 능력과의 상관관계" 대한작업치료학회 16 (16): 1-12, 2008

      4 신가영, "초등학생의 철자 발달과 오류 패턴 분석" 한국언어치료학회 24 (24): 61-72, 2015

      5 이순영, "초등학교 1학년생의 쓰기 발달 연구: 학기와 장르에 따른 양적 변화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원 28 (28): 93-108, 2017

      6 이차숙, "초기 문식성 평가 방법 탐색" 안암교육학회 13 (13): 169-195, 2007

      7 전병운, "장애학생을 위한 국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3

      8 조희숙, "유아의 음운인식과 읽기가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기 종단적 접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9 (19): 137-155, 2006

      9 임천택, "쓰기 평가에서 글씨 정확도와 평가 결과의 관련성 연구" 한국어문교육학회 45 : 169-180, 2012

      10 배성직, "쓰기 유창성 검사 지표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1 장영심, "서두제시 쓰기 검사에 나타난 6세, 8세 아동의 쓰기 유창성과 접속표지 사용 특성" 한국언어치료학회 22 (22): 113-129, 2013

      12 이경화, "문해 능력 증진을 위한 한글교육 운영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7

      13 정동영, "기초학업기술평가 : 쓰기(ABSA : W)평가요강" 굿에듀북 2016

      14 정동영, "기초학업기술평가 : 쓰기(ABSA : W)" 굿에듀북 2016

      15 김동일,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 쓰기검사 (BASA:W) 전문가 지침서" 학지사 2013

      16 김동일,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 : 쓰기검사(BASA : W)" 학지사 2013

      17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학사전" 대교출판 1999

      18 Graham, S., "Writing development: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89 : 170-182, 2000

      19 Beringer, V. W., "Teaching spelling and composition alone and together: Implications for the simple view of writing" 94 : 291-304, 2002

      20 Amundson, S. J.,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Mosby 545-570, 2001

      21 Kim, Y. S., "Evaluating the dimensionality of first grade written composition" 57 (57): 199-211, 2014

      22 Beringer, V. W., "Early development of language by hand: Composing, reading, listening, and speaking connections: three letter-writing modeds: and fast mapping in spelling" 29 (29): 61-92, 2006

      23 Beringer, V. W., "Coordinating transcription and text generation in working memory during composing: Automatic and constructive processes" 22 : 99-122,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10-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ln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7-05-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1.04 1.72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