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멸종위기종인 섬시호(Bupleurum latissimum) 산형과의 수분기작 = Pollination Mechanism of Bupleurum latissimum (Apiacea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945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llination system of Bupleurum latissimum Nakai (Apiaceae) was investigated in the natural population of Korea. The various insects of 19 species, 11 families, 5 orders visited the flowers of B. latissimum. Episyrphus balteatus and Lasioglossum occidens were considered as the most effective pollen vector which have associated specially with B. latissimum. The visitation frequency peaked at 10 AM - 13 PM and no visitor was recognized during night time. The flowers of B. latissimum last during only three days and they are protandry.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flower of B. latissimum is self-compatible and cross-pollination by vectors is critical for successful seed setting.
      번역하기

      The pollination system of Bupleurum latissimum Nakai (Apiaceae) was investigated in the natural population of Korea. The various insects of 19 species, 11 families, 5 orders visited the flowers of B. latissimum. Episyrphus balteatus and Lasioglossum o...

      The pollination system of Bupleurum latissimum Nakai (Apiaceae) was investigated in the natural population of Korea. The various insects of 19 species, 11 families, 5 orders visited the flowers of B. latissimum. Episyrphus balteatus and Lasioglossum occidens were considered as the most effective pollen vector which have associated specially with B. latissimum. The visitation frequency peaked at 10 AM - 13 PM and no visitor was recognized during night time. The flowers of B. latissimum last during only three days and they are protandry.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flower of B. latissimum is self-compatible and cross-pollination by vectors is critical for successful seed sett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환경부 멸종위기종인 섬시호(Bupleurum latissimum)를 현지 내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종생물학적 정보를 수집하고자, 섬시호의 수분기작 및 수분매개자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섬시호는 5월 말에 개화하며, 꽃은 개화된 상태로 3일간 지속되었다. 꽃은 웅예선숙으로 수술이 성숙한 개화 1-2일째에 암술은 작은 돌기 형태를 이루었다. 꽃이 지기 시작하는 3일째부터 화주가 성숙하여 길게 나오고, 꽃잎은 노란색에서 붉은색으로 변하며 탈락하였다. 섬시호를 방문하는 곤충은 총 5목 11과 19종이었으며, 그 중 가장 효율적이며 주된 수분매개자는 호리꽃등에(Episyrphus balteatus)와 흰줄꼬마꽃벌(Lasioglossum occidens)이다.
      번역하기

      환경부 멸종위기종인 섬시호(Bupleurum latissimum)를 현지 내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종생물학적 정보를 수집하고자, 섬시호의 수분기작 및 수분매개자의 특성을 조사...

      환경부 멸종위기종인 섬시호(Bupleurum latissimum)를 현지 내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종생물학적 정보를 수집하고자, 섬시호의 수분기작 및 수분매개자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섬시호는 5월 말에 개화하며, 꽃은 개화된 상태로 3일간 지속되었다. 꽃은 웅예선숙으로 수술이 성숙한 개화 1-2일째에 암술은 작은 돌기 형태를 이루었다. 꽃이 지기 시작하는 3일째부터 화주가 성숙하여 길게 나오고, 꽃잎은 노란색에서 붉은색으로 변하며 탈락하였다. 섬시호를 방문하는 곤충은 총 5목 11과 19종이었으며, 그 중 가장 효율적이며 주된 수분매개자는 호리꽃등에(Episyrphus balteatus)와 흰줄꼬마꽃벌(Lasioglossum occidens)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권, "한국특산식물 섬시호의 해부학적 연구" 한국약용작물학회 14 (14): 342-346, 2006

      2 홍석표, "한국산 앉은부채(Symplocarpus renifolius Schott ex Miquel, 천남성과)의 수분기작" 한국식물분류학회 33 (33): 4-179, 2003

      3 김수영, "체세포분열과 감수분열 및 bicolor FISH를 이용한 섬시호의세포유전학적 분석" 한국약용작물학회 14 (14): 354-359, 2006

      4 김무열, "섬시호(Bupleurum latissimum Nakai) 개체군의 생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9 (9): 78-85, 2006

      5 Ahn, J. K., "Taxonomic relationship of Bupleurum latissimum Nakai (Apiaceae), endemic to Ulleung Island"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04

      6 Choi, H. K., "Phylogeny and ribosomal DNA variations of Bupleurum (Umbelliferae)" 26 : 219-233, 1996

      7 Neves, S. S.,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Bupleurum (Apiaceae) based on nuclear ribosomal DNA ITS sequence data" 93 : 379-398, 2004

      8 Kim, T. W., "Nectar production and pollination mechanism of Robinia pseudoacacia L" 2 : 82-92, 1987

      9 Kim, M., "Korean Endemic Plants" Solkwahak 135-136, 2004

      10 Lee, T. B., "Coloured I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831-, 2003

      1 허권, "한국특산식물 섬시호의 해부학적 연구" 한국약용작물학회 14 (14): 342-346, 2006

      2 홍석표, "한국산 앉은부채(Symplocarpus renifolius Schott ex Miquel, 천남성과)의 수분기작" 한국식물분류학회 33 (33): 4-179, 2003

      3 김수영, "체세포분열과 감수분열 및 bicolor FISH를 이용한 섬시호의세포유전학적 분석" 한국약용작물학회 14 (14): 354-359, 2006

      4 김무열, "섬시호(Bupleurum latissimum Nakai) 개체군의 생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9 (9): 78-85, 2006

      5 Ahn, J. K., "Taxonomic relationship of Bupleurum latissimum Nakai (Apiaceae), endemic to Ulleung Island"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04

      6 Choi, H. K., "Phylogeny and ribosomal DNA variations of Bupleurum (Umbelliferae)" 26 : 219-233, 1996

      7 Neves, S. S.,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Bupleurum (Apiaceae) based on nuclear ribosomal DNA ITS sequence data" 93 : 379-398, 2004

      8 Kim, T. W., "Nectar production and pollination mechanism of Robinia pseudoacacia L" 2 : 82-92, 1987

      9 Kim, M., "Korean Endemic Plants" Solkwahak 135-136, 2004

      10 Lee, T. B., "Coloured I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831-, 2003

      11 Nakai, T, "Bupleurum latissimum Nakai" 31 : 28-, 1917

      12 Kim, Y. S., "A taxonomic study on the genus Bupleurum in Korea" 20 : 209-242,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9-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43 0.52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