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호두나무 포장 내 복숭아명나방(나비목: 포충나방과)과 굴피가는나방(나비목: 가는나방과)에 의한 호두열매 및 잎 피해 = Fruit and Leaf Damage by Conogethes punctiferalis (Lepidoptera: Crambidae) and Acrocercops transecta (Lepidoptera: Gracillariidae) in Walnut Orchar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123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호두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유실수 중 하나이지만, 호두나무 포장 내에서 해충에 의한 피해 특성에 대한 정보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명나방과 굴피가는나방에 의한 호두열매와 잎의 피해를 조사하였다. 2017년 충남 부여군에 위치한 포장에서 복숭아명나방에 의한 호두열매 피해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김천, 부여, 영동 및 화성의 포장 내에서 2종의 나방에 의한 호두열매 및 잎의 피해율을 조사하였다. 부여 포장 내 호두열매의 피해율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피해율은 늦여름에 가장 높았다. 호두열매의 최종 피해율은 부여, 김천 및 화성에서 각각 22.1%, 20.5%, 11.7%로 조사되었다. 굴피가는나방에 의한 잎 피해는 성목의 신초 가지(평균 11.2%)에 비해 묘목의 신초 가지(평균 58.5%)에서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 호두나무 포장 내에서 복숭아명나방과 굴피가는나방에 의한 열매와 잎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향후 이들에 대한 방제기술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호두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유실수 중 하나이지만, 호두나무 포장 내에서 해충에 의한 피해 특성에 대한 정보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명나방과 굴피가는나방에 의한 호두열...

      호두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유실수 중 하나이지만, 호두나무 포장 내에서 해충에 의한 피해 특성에 대한 정보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명나방과 굴피가는나방에 의한 호두열매와 잎의 피해를 조사하였다. 2017년 충남 부여군에 위치한 포장에서 복숭아명나방에 의한 호두열매 피해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김천, 부여, 영동 및 화성의 포장 내에서 2종의 나방에 의한 호두열매 및 잎의 피해율을 조사하였다. 부여 포장 내 호두열매의 피해율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피해율은 늦여름에 가장 높았다. 호두열매의 최종 피해율은 부여, 김천 및 화성에서 각각 22.1%, 20.5%, 11.7%로 조사되었다. 굴피가는나방에 의한 잎 피해는 성목의 신초 가지(평균 11.2%)에 비해 묘목의 신초 가지(평균 58.5%)에서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 호두나무 포장 내에서 복숭아명나방과 굴피가는나방에 의한 열매와 잎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향후 이들에 대한 방제기술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종국, "호두나무 포장 내 절지동물의 다양성" 한국응용곤충학회 56 (56): 121-133, 2017

      2 이총규, "친환경적 밤 종실해충 방제 연구" 한국응용곤충학회 48 (48): 95-100, 2009

      3 정상배, "살수장치를 이용한 복숭아명나방 방제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과학회 94 (94): 277-280, 2005

      4 김영재, "밤재배원에서 유살등 구조 및 램프의 종류가 해충 유인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용곤충학회 53 (53): 217-223, 2014

      5 강창헌, "단감원에서 복숭아명나방의 발생양상과 수확기 단감의 피해과율" 한국응용곤충학회 41 (41): 107-112, 2002

      6 정영학, "단감수출단지 과원과 수출단감 병해충 조사" 한국응용곤충학회 53 (53): 157-169, 2014

      7 강창헌, "남부지방에서 복숭아명나방 Dichocrosis punctiferalis의 월동생태" 한국응용곤충학회 43 (43): 201-209, 2004

      8 이총규, "The Changes of Damage Rate by Peach Pyralid Moth, Dichocrocis punctiferalis (Lepidoptera: Pyralidae) in Chestnut Orchards from 1995 to 2010 Year" 한국응용곤충학회 50 (50): 379-382, 2011

      9 Ohshima, I., "Techniques for continuous rearing and assessing host preference of a multivoltine leaf-mining moth, Acrocercops transecta (Lepidoptera: Gracillariidae)" 8 : 227-228, 2005

      10 Kim, M.S., "Taxonomic study and life cycle notes of Gracillarioidea (Insecta, Lepidoptera) in Korea" Incheon National University 2013

      1 정종국, "호두나무 포장 내 절지동물의 다양성" 한국응용곤충학회 56 (56): 121-133, 2017

      2 이총규, "친환경적 밤 종실해충 방제 연구" 한국응용곤충학회 48 (48): 95-100, 2009

      3 정상배, "살수장치를 이용한 복숭아명나방 방제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과학회 94 (94): 277-280, 2005

      4 김영재, "밤재배원에서 유살등 구조 및 램프의 종류가 해충 유인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용곤충학회 53 (53): 217-223, 2014

      5 강창헌, "단감원에서 복숭아명나방의 발생양상과 수확기 단감의 피해과율" 한국응용곤충학회 41 (41): 107-112, 2002

      6 정영학, "단감수출단지 과원과 수출단감 병해충 조사" 한국응용곤충학회 53 (53): 157-169, 2014

      7 강창헌, "남부지방에서 복숭아명나방 Dichocrosis punctiferalis의 월동생태" 한국응용곤충학회 43 (43): 201-209, 2004

      8 이총규, "The Changes of Damage Rate by Peach Pyralid Moth, Dichocrocis punctiferalis (Lepidoptera: Pyralidae) in Chestnut Orchards from 1995 to 2010 Year" 한국응용곤충학회 50 (50): 379-382, 2011

      9 Ohshima, I., "Techniques for continuous rearing and assessing host preference of a multivoltine leaf-mining moth, Acrocercops transecta (Lepidoptera: Gracillariidae)" 8 : 227-228, 2005

      10 Kim, M.S., "Taxonomic study and life cycle notes of Gracillarioidea (Insecta, Lepidoptera) in Korea" Incheon National University 2013

      11 Xu, J.S., "Study on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f miner Acrocercops transecta in Lyonia ovalifolia" 25 : 61-63, 2013

      12 Statistical Year Book of Forestry, "Statistical Year Book of Forestry (No. 47). Korea Forest Service. Publication registration number, 11-1400000-000001-10"

      13 최광식, "Seasonal Occurrence of the Peach Pyralid Moth, Dichocrocis punctiferalis at Chestnut Orchards in Some Provinces of Korea" 한국산림과학회 93 (93): 134-139, 2004

      14 R Core Team,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1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esticide information service"

      16 Son, J.K., "Insect pset problems of sweet persimmon in Korea" 833 : 325-330, 2009

      17 NIFoS, "Information for forest insect pests and disease"

      18 Bolker, B.M.,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s: a practical guide for ecology and evolution" 24 : 127-135, 2008

      19 Luo, Z., "Function of plant odors in oviposition behaviors of the yellow peach moth Conogethes punctiferalis (Lepidoptera: Crambidae)" 50 : 347-353, 2015

      20 최광식, "Difference of Developmental Time, Survival Rate and Sex Ratio of Dichocrocis punctiferalis(Lepidoptera: Pyralidae) on Three Hosts" 한국산림과학회 95 (95): 174-176, 2006

      21 Park, K.T., "A systematic study on the Genus Caloptilia Hubner in Korea (Lepidoptera: Gracillariidae)" 2 : 25-36, 19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31 0.41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