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언어는 전쟁이나 빈곤으로 인한 국가 간의 이주, 국제화 및 세계화로 인해 많은 국가에서 나타나고 있는 다문화 사회현상이다. 스웨덴은 2017/2018학년 기준으로 초․중등학교 학생 중 약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다중언어는 전쟁이나 빈곤으로 인한 국가 간의 이주, 국제화 및 세계화로 인해 많은 국가에서 나타나고 있는 다문화 사회현상이다. 스웨덴은 2017/2018학년 기준으로 초․중등학교 학생 중 약 ...
다중언어는 전쟁이나 빈곤으로 인한 국가 간의 이주, 국제화 및 세계화로 인해 많은 국가에서 나타나고 있는 다문화 사회현상이다. 스웨덴은 2017/2018학년 기준으로 초․중등학교 학생 중 약 27%가 스웨덴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모국어로 가지고 있는 다문화 학생으로 일부 대도시에서는 이 학생들이 학급 학생의 80-95%를 차지하고 있다. 스웨덴 정부는 2005년 국가 공식어인 스웨덴어뿐만 아니라 국제어인 영어와 소수민족언어/이주자언어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 언어정책법안을 제정하여 공식적으로 다중언어교육을 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1977년 가정언어개혁이 실시된 후 현재까지 정부차원의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으로 세계적으로 매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다문화 아동/학생들을 위한 스웨덴의 모국어교육제도의 체제 및 실태 등에 관해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스웨덴의 모국어교육제도 사례 논의가 현재 소규모로 시행되고 있으나 적지 않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는 한국의 모국어교육정책의 방향 제고와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ultilingualism is now common and natural in a world-wide perspective. Multilingualism results from language contact, which in turn occurs as the result of e.g. international migration,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In 2017/2018 school year,...
Multilingualism is now common and natural in a world-wide perspective. Multilingualism results from language contact, which in turn occurs as the result of e.g. international migration,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In 2017/2018 school year, about 27% of primary school students in Sweden were estimated to have mother tongues other than Swedish and in some large cities, 80-95% of the students belong to this group. In 2005, the Swedish government formally enacted language policy law to pursue multilingual education for balanced development of English, minority languages/immigrant languages as well as Swedish. In this paper, I examine the Swedish mother tongue instruction system for children/stud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 which has been highly evaluated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mother tongue reform in 1977.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make a contribution to Korean mother tongue instruction which began to perform at a small scale in recent years but showed a lot of problems.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진영, "한국 다문화 사회의 이중언어 교육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2 배희숙, "프랑스 다문화 언어 교육 체계 분석을 통한 한국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 방향 모색" 한국프랑스학회 94 : 141-166, 2016
3 강종훈, "초등학교 이중언어강사의 다문화교육 경험 탐색 및 시사점: 서울시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원 30 (30): 1-19, 2014
4 이은경, "어머니의 언어사용 환경에 따른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양상"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177-205, 2012
5 변광수, "스웨덴의 이민정책과 이민2세의 모국어교육 제도"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6 (6): 1-22, 2010
6 변광수, "스웨덴의 이민 2세를 위한 모국어 교육" 한국스칸디나비아학회 (10) : 1-19, 2009
7 박현숙, "스웨덴의 다문화 언어교육정책"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20) : 109-136, 2017
8 모경환, "미국의 이중언어 교육 정책의 현황과 시사점" 국립국어원 23 (23): 42-72, 2013
9 김이선,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 2007
10 황상심, "다문화아동의 이중언어사용 추이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25 (25): 123-134, 2016
1 황진영, "한국 다문화 사회의 이중언어 교육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2 배희숙, "프랑스 다문화 언어 교육 체계 분석을 통한 한국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 방향 모색" 한국프랑스학회 94 : 141-166, 2016
3 강종훈, "초등학교 이중언어강사의 다문화교육 경험 탐색 및 시사점: 서울시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원 30 (30): 1-19, 2014
4 이은경, "어머니의 언어사용 환경에 따른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양상"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177-205, 2012
5 변광수, "스웨덴의 이민정책과 이민2세의 모국어교육 제도"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6 (6): 1-22, 2010
6 변광수, "스웨덴의 이민 2세를 위한 모국어 교육" 한국스칸디나비아학회 (10) : 1-19, 2009
7 박현숙, "스웨덴의 다문화 언어교육정책"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20) : 109-136, 2017
8 모경환, "미국의 이중언어 교육 정책의 현황과 시사점" 국립국어원 23 (23): 42-72, 2013
9 김이선,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 2007
10 황상심, "다문화아동의 이중언어사용 추이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25 (25): 123-134, 2016
11 우영경, "다문화 아동의 이중언어 사용능력이 적응유연성 및 문화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다문화교육학회 9 (9): 63-81, 2016
12 이해영, "다문화 사회의 언어정책 사례와 효과 조사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10
13 이철호, "다문화 사회와 한국어" 한국교육개발원 43-55, 2008
14 권순희, "다문화 가정을 위한 언어 교육 정책 모색 - 호주의 언어 교육 정책 검토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27) : 223-252, 2006
15 이해영, "국외 다문화 사회의 언어 교육 정책 -호주와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22 (22): 105-130, 2012
16 변광수, "국어 생활 논단" 183-186, 2008
17 "www.stockholm.se/ForskolaSkola/Gymnasium/Modersmalsundervisning"
18 "www.skolverkt.se"
19 "www.skolverket.se/skolutveckling/statistik/sok-statistik-om-forskola-skola-vuxenutbildning"
20 "www.skolverket.se/regler-och-ansvar/ansvar-i-skolfragor/ratt-till-modersmalsundervisning"
21 "www.scb.se"
22 Borevi, Karin, "Välfärdsstaten i det mångkulturella samhället" Uppsala universitet 2002
23 Hyltenstam, Kenneth, "Vad säger forskarna? Aktuell debatt om invandrarnas tvårspåkighet. Invandrarspråken – ratad resurs?" Forskningsnämnden 6-16, 1986
24 Tuomela, Veli, "Tvåspråkighet med förhinder? Invandrar- och minoritetsundervisning i Sverige" Studentlitteratur 1996
25 Håkansson, Gisela, "Tvåspråkighet hos barn i Sverige" Studentlitteratur 2003
26 Namei, Shidrokh, "The bilingual lexion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A word association study of Persian-Swedish bilinguals" Stockholm University 2002
27 Parkvall, Mikael, "Sveriges språk i siffror. Vilka språk talas och av hur många?" Morfem 2016
28 Lainio, "Sveriges inhemska språk – ett minoritetsspråksperspektiv" Studentlitteratur 138-204, 1999
29 Tingbjorn, Gunnar, "Svenska som andraspråk i forskning, undervisning och samhälle" Studentlitteratur 743-761, 2004
30 Börestam, Ulla, "Språkliga möten. Tvåspråkighet och kontaktlingvistik" Studentlitteratur 2001
31 SFS, "Språklag"
32 Gröning, Inger, "Språk, interaktion och lärandet i mångfaldens skola" Uppsala universitet 2006
33 SFS, "Skollag"
34 SFS, "Skolförordning"
35 Ladberg, Gunilla, "Skolans språk och barnets - att undervisa barn från språkliga minoriteter" Studentlitteratur 2000
36 Thomas, Wayne, "School Effectiveness for Language Minority Students" George Mason University 1997
37 Prop, "Regeringens proposition om riktlinjer för invandrar- och minoritetspolitiken m. m"
38 Lindberg, Inger, "Multilingual education: a Swedish perspective,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ies Turkish and Swedish perspectives. Swedish Research Institute in Istanbul" 18 : 71-90, 2007
39 Wirén, Eva, "Mother tongue tuition for foreign background students what does it mean for their learning? Results and implications from a Swedish study" Consortium of Institutions for Development and Research in Education in Europe 2009
40 Tuomela, Veli, "Modersmålsundervisningen – en forskningsöversikt. Bilaga till rapporten Flera språk – fler möjligheter"
41 Kommittédirektiv. Dir, "Modersmål och studiehandledning på modersmål i grundskolan och motsvarande skolformer"
42 Skolverket, "Med annat modersmål - elever i grundskolan och skolans verksamhet" Stockholm.Stockholm 321 : 2008
43 Skolverket., "Läroplan för grundskolan, förskoleklassen och fritidshemmet"
44 Sahaf, Ali Reza, "Language, identity and social behaviour: a sociocultural approach to the study of the concept “will” on the effectiveness of the “how’s” and “way’s” of bilingualism" Linköpings universitet 1994
45 SFS, "Lag om ändring i skollagen"
46 Otterup, Tore, "Jag känner mig begåvad bara. Om flerspråkighet och identitetskonstruktion bland ungdomar i ett multietniskt förortsormråde" Goteborgs universitet 2005
47 Tingbjorn, Gunnar, "Invandrarspråken – ratad resurs? Källa, 25" Forskningsnämnden 25-39, 1986
48 Hill, Margreth, "Invandrarbarns möjlighter. Om kunskapsutveckling och språkutveckling i förskola och skola" Göteborgs universitet 1995
49 SFS, "Gymnasieförordning"
50 SFS, "Grundskoleförordning"
51 Municio, Ingegerd, "Från lag till bruk. Hemspråksreformens genomförande" Stockholm University 31 : 1987
52 Lundh, Christer, "Från arbetskraftsimport till Flyktinginvandring" Studieförbundet Näringsliv och Samhälle(SNS) 1994
53 Hytenstam, Kenneth, "Flerspråkighetens sociopolitiska och sociokulturella ramar" 5 : 17-152, 2012
54 Skolverket, "Flera språk - flera möjligheter. Utveckling av modersmålsstödet och modersmålsundervisning" 228 : 2002
55 Berglund, Jenny, "Education Policy A Swedish Success Story? Integration of Newly Arrived Students into the Swedish School System" International policy analysis 2017
56 Prop, "Bästa språket - en samlad svensk språkpolitik"
57 Hyltenstam, Kenneth, "Att läsa och skriva: Forskning och beprövad erfarenhet" Distribution/Myndigheten för skolutveckling 45-71, 2007
58 Abrahamsson, Niklas, "Andraspraksinlarning" Studentlitteratur 2009
59 Collier, Virgina, "A national study of school effectiveness for minority language students' long-term academic achievement" 2002
스웨덴 사회의 모국어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2014~2018 스웨덴 의회 발의안 분석을 중심으로
스웨덴의 경제위기 대응 방식과 위기협약: 2009년 노사협약과 2014년 노사정협약을 중심으로
핀란드 중립 평화 외교정책의 형성과 진화: 대외 환경과 정책 결정 시스템의 변화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3 | 0.39 | 0.74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