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 영유아 대상과 장애위험/장애 영유아 대상 문제 행동 연구동향의 비교분석: 2010년-2017년 5월 = Research Synthesis on Problem Behavior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al Needs: From 2010 up to May, 2017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221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iew the current research synthesis on a total of 155 studies of problem behavior of young children with/at risk (34 studies) and without disabilities (121 studies) from 2010 to May, 2017. These studies were analyzed with trends of academic journals, participants, research method, districts/settings, research topics, and independent/dependent variables. The outcomes of research synthesis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both studies of young children with/without disabilities have been consistently published since 2010. However, studies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have been published in quite different types of academic journals while studies of young children at risk/with disabilities were published in limited types of academic journals. Second, participants of the studies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ere mainly teachers and parents while those of young children at risk/with disabilities were mainly themselves and their teachers. Participating children were mostly preschool age in both areas of studies. Studies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mainly used survey research while studies of young children at risk/with disabilities mainly used single subject design research. Districts of both studies were mostly Seoul and Kyeonggi-do. Third, topics of research studies of young children were mainly young children or their parents' variables related while these of young children at risk/with disabilities were positive behavior supports. Finally, positive behavior support was mainly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problems behavior were mainly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in both stud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iew the current research synthesis on a total of 155 studies of problem behavior of young children with/at risk (34 studies) and without disabilities (121 studies) from 2010 to May, 2017. These studies were analyzed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iew the current research synthesis on a total of 155 studies of problem behavior of young children with/at risk (34 studies) and without disabilities (121 studies) from 2010 to May, 2017. These studies were analyzed with trends of academic journals, participants, research method, districts/settings, research topics, and independent/dependent variables. The outcomes of research synthesis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both studies of young children with/without disabilities have been consistently published since 2010. However, studies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have been published in quite different types of academic journals while studies of young children at risk/with disabilities were published in limited types of academic journals. Second, participants of the studies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ere mainly teachers and parents while those of young children at risk/with disabilities were mainly themselves and their teachers. Participating children were mostly preschool age in both areas of studies. Studies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mainly used survey research while studies of young children at risk/with disabilities mainly used single subject design research. Districts of both studies were mostly Seoul and Kyeonggi-do. Third, topics of research studies of young children were mainly young children or their parents' variables related while these of young children at risk/with disabilities were positive behavior supports. Finally, positive behavior support was mainly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problems behavior were mainly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in both stud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회원, "학급차원의 확장된 스킬스트리밍 교수가 정서·행동장애 위험 유아의 사회성 기술, 문제행동, 일반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13 (13): 29-57, 2014

      2 이제화, "학급수준의 보편적 지원이 통합학급 유아들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6 (26): 51-75, 2010

      3 박정숙,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일반유아들과 장애 위험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3 (13): 97-119, 2013

      4 최진화,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일반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19-42, 2015

      5 김건희,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문제행동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71-91, 2014

      6 배선화, "통합학급에서 학급차원의 보편적 지원과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지원이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6 (16): 131-159, 2016

      7 최지혜, "통합어린이집 장애전담교사와 유아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과 실행 실태 및 지원요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129-151, 2013

      8 최미점, "통합 상황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지체유아의 수업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50 (50): 143-168, 2015

      9 송나리, "초임교사의 유아 문제행동 지도능력 강화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97-126, 2016

      10 황선영, "첫 입소시기에 따른 만 2세 영아의 보육시설 적응과정 연구: 사회·정서적 유능성, 외현적·내면적 문제행동, 조절 문제 중심으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1 (11): 149-168, 2012

      1 문회원, "학급차원의 확장된 스킬스트리밍 교수가 정서·행동장애 위험 유아의 사회성 기술, 문제행동, 일반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13 (13): 29-57, 2014

      2 이제화, "학급수준의 보편적 지원이 통합학급 유아들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6 (26): 51-75, 2010

      3 박정숙,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일반유아들과 장애 위험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3 (13): 97-119, 2013

      4 최진화,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일반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19-42, 2015

      5 김건희,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문제행동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71-91, 2014

      6 배선화, "통합학급에서 학급차원의 보편적 지원과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지원이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6 (16): 131-159, 2016

      7 최지혜, "통합어린이집 장애전담교사와 유아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과 실행 실태 및 지원요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129-151, 2013

      8 최미점, "통합 상황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지체유아의 수업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50 (50): 143-168, 2015

      9 송나리, "초임교사의 유아 문제행동 지도능력 강화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97-126, 2016

      10 황선영, "첫 입소시기에 따른 만 2세 영아의 보육시설 적응과정 연구: 사회·정서적 유능성, 외현적·내면적 문제행동, 조절 문제 중심으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1 (11): 149-168, 2012

      11 백지은, "집단 부모-자녀 상호작용 치료 프로그램 효과 -행동 문제를 보이는 아동 대상-" 한국놀이치료학회 15 (15): 93-110, 2012

      12 강수경, "조모의 성인자녀와의 결속도, 손자녀와의 친밀감과 손자녀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모역할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315-335, 2016

      13 안의정,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유아의 부모교육에 관한 문헌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1 (31): 203-225, 2015

      14 김소희, "저소득층 유아의 내적표상별 문제행동과 보육시설 적응의 차이" 대한아동복지학회 9 (9): 129-147, 2011

      15 권미은, "장애유아 문제행동관련 수업사례활동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수효능감, 문제해결능력 그리고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5 (55): 1-24, 2016

      16 정길순, "장애유아 교육기관 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 적용을 위한 기초조사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1 (11): 1-21, 2011

      17 노진아, "장애 혹은 장애위험 유아를 위한 긍정적인 행동지원의 고찰"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6 (46): 15-34, 2007

      18 노진아, "장애 유아 교육 환경에서의 긍정적인 행동지원의 실태 조사 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9 (9): 23-39, 2009

      19 이인숙, "자폐유아를 위한 가정과 학교의 협력을 통한 긍정적 행동지원의 평가"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8 (8): 65-96, 2008

      20 배지희, "자녀의 문제행동 관련 부모면담에 참여한 부모들의 경험과 요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475-497, 2015

      21 박지현, "자기조절능력 증진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지 및 정서조절 능력과 외현적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157-182, 2011

      22 강영선, "유치원에서 실시된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유아의 문제행동과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7 (17): 27-49, 2015

      23 이수정, "유치원 통합학급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실행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 한국특수교육학회 50 (50): 167-196, 2015

      24 정태회, "유아학습행동 유형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 인지양식,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학습지원행동" 한국아동학회 32 (32): 87-101, 2011

      25 지성애, "유아의 행동문제와 인지능력 및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197-219, 2014

      26 이영분, "유아의 탄력성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8 (28): 437-465, 2012

      27 권기남, "유아의 정서적·인지적 공감 및 또래 유능성이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8 (38): 221-235, 2017

      28 박윤조, "유아의 자아존중감, 탄력성 및 문제행동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6 (16): 227-244, 2016

      29 임현주, "유아의 자아개념, 어머니의 양육변인, 사회적 지원이유아의 외현화ㆍ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191-211, 2016

      30 김선희, "유아의 자기통제력과 행동문제간의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관계의 조절효과" 한국아동학회 35 (35): 31-47, 2014

      31 송주연,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자기효능감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4) : 121-142, 2014

      32 최선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부모의 훈육방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성별에 따른 분석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97) : 125-156, 2016

      33 황혜정, "유아의 수면습관과 식습관이 문제행동에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3 (23): 299-318, 2016

      34 임현주, "유아의 성별에 따른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97-115, 2015

      35 조미영, "유아의 성별에 따른 기질, 정서조절, 그리고 어머니의 언어통제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7 (17): 211-237, 2010

      36 김남임, "유아의 사회정서문제행동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 전문가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435-463, 2015

      37 신재은, "유아의 분노관리를 위한 분노대상과 원인 및 표현방식에 관한 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1 (11): 289-308, 2015

      38 김정림,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기질과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95-113, 2014

      39 김선영, "유아의 부적절한 행동에 대한 교사의 반응" 2001

      40 전은주,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애착유형, 양육효능감 간의 구조모형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391-412, 2015

      41 송진영,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유아, 교사 관련 변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345-365, 2012

      42 이숙희,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163-183, 2009

      43 서동미,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문제행동 지도전략 및 문제행동 지도 시 어려움에 대한 분석"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7 (27): 179-207, 2011

      44 권연희, "유아의 문제행동과 또래괴롭힘 피해의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 관계의 조절효과" 한국생활과학회 22 (22): 391-404, 2013

      45 배지희, "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된 부모면담에 대한유아교사들의 인식과 경험"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89-114, 2013

      46 황혜정, "유아의 문제행동 진단을 위한 부모용 교사용 검사 개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235-257, 2005

      47 배지희,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종일반 교사들의 인식 및 어려움"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77-100, 2010

      48 김주희,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일반유치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6 (16): 23-59, 2016

      49 권지은,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놀이치료 현장 적용 사례연구:유아의 정서·사회적 문제행동 중심으로"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3 (33): 329-352, 2015

      50 송서영, "유아의 문제행동 유형·원인에 대한 모의 인식 특성과 문제행동 지도방법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장애·비 장애유아 모의 비교"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54) : 155-185, 2016

      51 권수진, "유아의 문제행동 관련변인 연구: 유아변인, 어머니변인, 또래관계변인" 미래유아교육학회 23 (23): 385-406, 2016

      52 지성애, "유아의 문제행동 관련 제반변인에 관한 연구: 유아의 사회성, 회복탄력성,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 (20): 485-513, 2016

      53 안효진, "유아의 놀이성, 적응, 그리고 문제 행동과의 관계성 연구" 한국아동학회 31 (31): 53-68, 2010

      54 김상림, "유아의 기질과 행동문제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방식의 조절효과" 한국생애학회 6 (6): 1-20, 2016

      55 이진숙, "유아의 기질과 지능, 문제행동의 관계 분석" 한국아동학회 37 (37): 117-128, 2016

      56 이정숙,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정서조절방략이 유아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기질 하위 요인들에 따른 군집을 중심으로-"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6 (6): 81-97, 2011

      57 공영숙,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 행동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인지적 실행기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351-375, 2012

      58 임현주, "유아의 기질․부모의 양육변인 군집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37-55, 2016

      59 송명숙,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우울과 부부갈등, 양육방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학회 8 (8): 39-56, 2016

      60 홍현재,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2 (12): 245-274, 2013

      61 한지현,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산후우울, 우울 및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7 (37): 69-82, 2016

      62 박미진, "유아의 기질, 부부갈등, 부모 양육행동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8 (28): 331-352, 2012

      63 박지영, "유아의 기질, 또래유능성,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7 (17): 139-162, 2010

      64 최미숙, "유아의 관계적·외현적 공격성의 성차 및 성격과 리더십의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 (20): 249-290, 2016

      65 권이정, "유아의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평가 차이"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6 (16): 175-200, 2016

      66 이혜진, "유아의 공격성에 대한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정서조절,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 교사-유아 간 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37 (37): 117-128, 2016

      67 김성화, "유아문제행동 코칭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3 (33): 179-198, 2017

      68 정주연, "유아기질과 부모역할지능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3 (33): 217-239, 2017

      69 최지영, "유아기질과 부모양육태도가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7 (17): 119-137, 2010

      70 조준오, "유아기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자녀 문제행동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165-183, 2016

      71 허계형, "유아기 문제행동 중재전략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2 (12): 285-304, 2012

      72 강지현, "유아기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한 연령, 기질과 양육행동의 영향에 있어서의 성차" 한국여성심리학회 16 (16): 1-21, 2011

      73 윤현수, "유아기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의 안정성: 1년 추적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30 (30): 617-627, 2011

      74 이수정, "유아교육환경에 적용된 보편적 수준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행 및 교사지원 요소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50 (50): 199-226, 2016

      75 권정윤,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어머니의 담론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3) : 125-151, 2013

      76 이수정, "유아교육 환경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 동향 및 지원 요소 분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8 (8): 161-187, 2008

      77 김경숙, "유아교사의 훈육방식과 유아의 공격적 행동 지도전략 간 관계 및 예측변인 분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3 (13): 23-44, 2013

      78 김민숙,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문제행동관리능력과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관계" 교육과학연구소 47 (47): 51-71, 2016

      79 양수영,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행동 관리능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295-314, 2014

      80 김태인, "유아교사가 인식한 부적응 행동과 교사-부적응 유아 관계가 또래 간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489-504, 2013

      81 오경희, "유아-교사의 갈등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및 교사 변인"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39-356, 2010

      82 홍광표, "유아 미디어 및 인터넷 중독 경향성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469-491, 2015

      83 이순자,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동향 및 유아 문제행동 관련 변인 분석- 국내학회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127-156, 2012

      84 송나리, "유아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초임교사들의 경험과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243-270, 2013

      85 조준오, "유아 놀이성과 문제행동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 및 조절효과" 한국보육학회 14 (14): 175-193, 2014

      86 권정윤,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유아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어려움 및 요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265-288, 2012

      87 윤수정, "영유아의 자기통제와 공격성 간의 교사-영유아관계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145-161, 2012

      88 유수옥, "연령 증가에 따른 영유아 문제행동 발생율 군집화 연구" 한국아동학회 34 (34): 57-75, 2013

      89 김성경, "역할극과 자기점검활동이 문제행동이 있는 장애위험 유아의 활동참여행동 개선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1 (11): 27-50, 2011

      90 이희선, "어머니의 직업만족도 및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문제행동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 10 (10): 73-86, 2010

      91 조준오, "어머니의 정신건강 수준과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7 (17): 375-396, 2016

      92 서선옥,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 및 유아의 애착안정성과 정서조절능력이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7 (37): 1-15, 2016

      93 조수정,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 유아의 정서지능 및 문제행동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31 (31): 167-183, 2010

      94 문은식,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 교사-유아관계 및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0 (10): 59-81, 2011

      95 도현심,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5 (35): 179-198, 2014

      96 김종훈,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가정 및 기관에서의 문제행동 개인차와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391-410, 2014

      97 최영희,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 19 (19): 297-316, 2016

      98 이현미,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유아의 자기 의도적 통제가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영향" 12 (12): 139-158, 2016

      99 서석원,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심리적 특성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 (20): 519-539, 2016

      100 김현령,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방식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193-209, 2015

      101 임선아, "어머니의 양육관련변인과 유아 문제행동의 구조적 관계 :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차이" 한국영유아보육학회 (90) : 159-184, 2015

      102 현은자,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 수준 및 우울 점수와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181-205, 2013

      103 조경서,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성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스마트폰 의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아동복지학회 (53) : 77-104, 2016

      104 이선영, "어머니의 대모애착, 정신건강, 양육태도가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5 (15): 155-177, 2015

      105 우수정,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온정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애학회 6 (6): 27-40, 2016

      106 배정인, "어머니와 영아의 수면문제가 영아의 문제행동 및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모아애착의 매개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125-143, 2014

      107 최현희, "어린이집 이용시간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양상의 차이"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6 (16): 43-62, 2016

      108 장진영, "아버지의 우울과 부부관계 및 자녀양육방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소 42 (42): 79-107, 2011

      109 오새니, "아버지 특성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구조모형 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161-177, 2016

      110 이지경, "아동중심 놀이치료가 정서행동장애 위험 유아의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비교" 한국특수아동학회 18 (18): 269-289, 2016

      111 도현심, "아동문제행동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을 기초로" 한국아동학회 34 (34): 151-177, 2013

      112 노연희, "실제 경제수준과 지각된 경제수준 간 차이에 따른 어머니의 정신건강, 양육행동 및 유아의 문제행동 비교"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7 (17): 343-364, 2011

      113 서동미, "실습지도교사의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191-222, 2007

      114 이혜숙, "신체접촉을 통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한아동복지학회 9 (9): 91-110, 2011

      115 김수희, "숲 놀이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90) : 1-21, 2015

      116 김영아, "수도권지역의 유아교사 및 보육교사 양성학과의 문제행동 관련 교과목 현황 분석을 위한 예비 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3 (13): 219-240, 2013

      117 강혜원, "상황이야기 중재가 정서·행동장애 위험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5 (15): 181-205, 2015

      118 심숙영, "사회적 지지,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애착유형과 영유아의 사회정서유능성 및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21-47, 2016

      119 김지원, "사실동화를 활용한 문제해결전략 교수가 정서ㆍ행동장애 위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수업참여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2 (12): 105-127, 2012

      120 정상헌, "사립유치원 교사의 문제행동 지도와 협력에 대한 인식과 요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6 (16): 161-185, 2016

      121 조윤경, "사례 중심 현직 연수가 보육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과 실행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3 (23): 123-146, 2016

      122 신혜원, "부적응 행동 유아를 위한 정서중재 프로그램 개발 예비연구" 한국아동학회 35 (35): 77-93, 2014

      123 도현심, "부부갈등과 어머니의 분노 및 우울이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3 (33): 145-164, 2012

      124 한명숙, "부모의 인성지향적 지도가 자기조절능력,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 인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 22 (22): 105-123, 2015

      125 연은모, "부모의 우울, 지각된 가족기능, 양육태도,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243-269, 2016

      126 한명숙, "부모의 스트로크가 유아의 인성, 자기조절능력,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49-72, 2015

      127 최정은, "부 · 모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38 (38): 33-48, 2017

      128 김진경, "복합애착유형에 따른 유아의 내재적, 외현적 문제행동" 한국아동학회 31 (31): 1-15, 2010

      129 박진희, "보호요인으로서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부모의 결혼만족도와 유아의 문제행동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169-191, 2016

      130 최미점,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유아들의 수업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6 (16): 1-21, 2016

      131 양선영, "보육기관에서의 놀이치료가 유아의 문제 행동, 자아지각, 사회적 상호작용 및 놀이치료 과정에서 유아의 반응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5 (35): 95-117, 2014

      132 홍성호, "보육교사의 영유아문제행동 인식 및 지원전략과 실행수준" 교육연구소 22 (22): 173-201, 2016

      133 조재규, "보육교사의 영유아 문제행동 및 행동재활에 대한 인식"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2 (32): 303-329, 2016

      134 김슬아,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관련 교사의 인식 및 대처전략"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4 (14): 291-321, 2014

      135 이혜숙, "미술놀이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공격성과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23-143, 2011

      136 심선경, "문제행동에 대한 통합어린이집 교사들의 관점" 특수교육연구소 13 (13): 77-98, 2014

      137 유수옥, "문제행동 발생과 예방 및 중재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일반유아와 장애유아 비교" 한국아동학회 33 (33): 187-205, 2012

      138 이승하, "만 5세 유아의 공격적 행동과 또래관계 - 또래관계의 안정성, 가해/피해 행동의 관계, 성별에 따른 또래거부와 가해 행동과의 관계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251-269, 2013

      139 우덕례, "만 5세 유아의 가정환경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의사결정력 매개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21 (21): 139-162, 2014

      140 김윤희, "만 4세 유아의 야간 수면길이와 문제행동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351-375, 2015

      141 허계형, "다층구조 중심 유아사회교육 교과목 수강이예비 유아교사의 사회정서 문제행동 지도 역량에 대한 인식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6 (16): 105-127, 2016

      142 김선희,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이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양육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95-115, 2010

      143 권연희, "남녀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행동 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유아 관계의 매개 효과" 한국생활과학회 20 (20): 595-609, 2011

      144 김혜원, "기능평가를 통한 만화캐릭터 놀이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45-64, 2012

      145 이미정, "기능평가를 기반으로 한 미술놀이가 발달지연유아의 공격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한아동복지학회 13 (13): 1-22, 2015

      146 이혜숙, "기능평가 중심의 미술놀이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193-215, 2012

      147 배성현,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된 장애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4 (14): 69-95, 2014

      148 이효신,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유아의 문제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8 (28): 63-90, 2012

      149 손정선,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아동의 일상생활동작과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5 (15): 113-131, 2015

      150 정대영,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유아의 수업방해행동 및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299-323, 2010

      151 김경윤,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지체유아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2 (22): 45-64, 2015

      152 최미점,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지체 유아의 자리이탈 행동과 활동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2 (12): 91-109, 2012

      153 권소영,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지체 영아의 소리 지르기 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5 (15): 207-234, 2015

      154 박은수, "긍정적 행동지원이 고립 의심 유아의 자기주도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13 (13): 205-225, 2014

      155 김태인,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 및 지원 요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237-255, 2014

      156 김근혜, "교육의 재개념화 관점에서 본 유아교사의 경험에 나타난 유아 문제행동의 의미" 한국교원교육학회 32 (32): 131-151, 2015

      157 박경,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효능감이 유아의 내․외현적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1-22, 2013

      158 정미라,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영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교사행복감의 매개 효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5 (15): 19-41, 2016

      159 김연하, "교사의 수업의 질 예측 변인 연구: 유아 문제행동 관련 변인 및 수업의 질 보호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213-237, 2007

      160 양수영, "교사 제반 변인에 따른 문제행동 관리 능력 차이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1 (31): 67-92, 2013

      161 이윤옥, "감정코칭 기법에 의한 명화 스토리텔링 활동이 외현적 행동문제 유아의 자기 효능감과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 (20): 333-351, 2016

      162 Noonan, M. J.,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Natural Environments: Methods & Procedures" Brookes 219-250, 2006

      163 유숙경, "K-CBCL 1.5-5와 Gottman의 양육방식 유형에 의한 유아의 정서행동문제와 어머니의 양육방식과의 관계"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8 (28): 1-22, 2012

      164 김민애, "CBCL 1.5-5 공격행동척도의 하위요인 탐색" 한국놀이치료학회 18 (18): 149-161, 2015

      165 Denn, D. M., "Addressing Challenging Behavior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A Teacher's Guide" Brookes 2010

      166 김수정, "ADHD 성향 유아의 행동문제에 대한 교사의 지각과 대처"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2 (32): 53-71, 2016

      167 김영아,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문제행동 예방과 관련된 정서 활동 분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4 (14): 45-67,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KCI등재
      2006-05-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8 1.51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