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여성 구연 민요 내 모성(母性)의 표현 양상과 의미 = A presentation aspect and meaning of the Maternal instinct in Female folk s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6371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여러 기능의 모성(母性) 관련 민요를 시집살이의 흐름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집와서 몇 년이 흘러도 생활이 나아질 기미가 없자, <흥글소리> 가창자들은 자신이 터놓고 이야기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인 어머니에게 그간의 고통을 털어놓는다. 이 소리에서 화자에게 현실적 위안이 될 아기는 등장하지 않으며, 친정어머니에 대한 부정을 통한 자기 탐색이 중심을 이룬다.
      아이를 출산하면서 가정 내 며느리의 위상도 다소 상승한다. <자장가> 가창자는 품 안의 아기를 보며 삶의 희망을 얻는다. 그녀는 아이가 잘 자라 자신이 덕을 보았으면 좋겠다고 노래한다. 아이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가창자의 모성은 조금씩 자리 잡힌다. <사슴노래>에서 어머니의 자식에 대한 모성은 극대화된다. 화자가 처한 상황이 극단적이고, 그만큼 자식에 대한 책임감도 커진다. 그러나 모성은 어머니의 자존감 상승으로 이어지지 못한다. 가창자에게 가해지는 무자비함은 조금도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다복녀민요> 가창자는 성인 여성으로 추정되는 작중 화자에 감정 이입한다. 화자는 다복녀의 어머니 찾기가 다복녀의 자립에 방해가 될 뿐이라고 여긴다. 시집에 와서 살아보니 아무리 친정어머니를 그리워해도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았던 본인의 경험이 다복녀가 어머니를 찾으러 가는 것을 반대한 이유가 되었다.
      세월이 흘러 딸의 출가(出嫁)를 기점으로 본인의 가정 내 책무가 어느 정도 완료되고, 아들이 장가가 손자, 손녀를 낳게 되면서 가창자의 자존감은 비로소 완성된다. 딸을 시집보내고 얻은 사위를 보면서 부르는 <사위노래>와 아들을 장가보내 얻은 손주를 재우며 부르는 <자장가>는 모성과 동시에 자존감이 완전히 확립되어 부르는 노래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번역하기

      여러 기능의 모성(母性) 관련 민요를 시집살이의 흐름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집와서 몇 년이 흘러도 생활이 나아질 기미가 없자, <흥글소리> 가창자들은 자신이 터놓고 ...

      여러 기능의 모성(母性) 관련 민요를 시집살이의 흐름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집와서 몇 년이 흘러도 생활이 나아질 기미가 없자, <흥글소리> 가창자들은 자신이 터놓고 이야기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인 어머니에게 그간의 고통을 털어놓는다. 이 소리에서 화자에게 현실적 위안이 될 아기는 등장하지 않으며, 친정어머니에 대한 부정을 통한 자기 탐색이 중심을 이룬다.
      아이를 출산하면서 가정 내 며느리의 위상도 다소 상승한다. <자장가> 가창자는 품 안의 아기를 보며 삶의 희망을 얻는다. 그녀는 아이가 잘 자라 자신이 덕을 보았으면 좋겠다고 노래한다. 아이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가창자의 모성은 조금씩 자리 잡힌다. <사슴노래>에서 어머니의 자식에 대한 모성은 극대화된다. 화자가 처한 상황이 극단적이고, 그만큼 자식에 대한 책임감도 커진다. 그러나 모성은 어머니의 자존감 상승으로 이어지지 못한다. 가창자에게 가해지는 무자비함은 조금도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다복녀민요> 가창자는 성인 여성으로 추정되는 작중 화자에 감정 이입한다. 화자는 다복녀의 어머니 찾기가 다복녀의 자립에 방해가 될 뿐이라고 여긴다. 시집에 와서 살아보니 아무리 친정어머니를 그리워해도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았던 본인의 경험이 다복녀가 어머니를 찾으러 가는 것을 반대한 이유가 되었다.
      세월이 흘러 딸의 출가(出嫁)를 기점으로 본인의 가정 내 책무가 어느 정도 완료되고, 아들이 장가가 손자, 손녀를 낳게 되면서 가창자의 자존감은 비로소 완성된다. 딸을 시집보내고 얻은 사위를 보면서 부르는 <사위노래>와 아들을 장가보내 얻은 손주를 재우며 부르는 <자장가>는 모성과 동시에 자존감이 완전히 확립되어 부르는 노래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importan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lk song which related to Maternal instinct and Patrilocal marriage. Although it has been years since Patrilocal marriage, The situation seems hopeless of improvement. 〈Heunggeul-sori〉 singers give voice to their mother. In this song do not show baby. Through grumble singers feel self exploring.
      After give birth to child, the position of the daughter-in-law in the home get better. So, Lullaby singers want to benefited from her child. Through interaction between baby Maternal instinct are forming. In 〈Deer song〉 Maternal instinct from mother to child maximizes. But, Maternal instinct did not assist their life. Because character are placed in an extreme situation, They feel great responsibility to their young. Maternal instinct did not connected rising self-esteem. Singers still continue to enduring hardship in the home.
      The singers who sing 〈Daboknyeo folk song〉 empathy to character who are estimated at grown-up woman. Character regard Daboknyeo"s attempt as disturbance to stand on her feet. Because Singers know by experience, they oppose to finding mother.
      After long years, Singers give their daughter in marriage. Marriage started the fulfill her responsibility. Since then Self-regard reach its peak. Son-in-law song are sung in wedding reception. When put a baby to sleep Lullaby are sung. The whole Maternal instinct and Self-regard are common to two songs.
      번역하기

      It is importan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lk song which related to Maternal instinct and Patrilocal marriage. Although it has been years since Patrilocal marriage, The situation seems hopeless of improvement. 〈Heunggeul-sori〉 singers giv...

      It is importan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lk song which related to Maternal instinct and Patrilocal marriage. Although it has been years since Patrilocal marriage, The situation seems hopeless of improvement. 〈Heunggeul-sori〉 singers give voice to their mother. In this song do not show baby. Through grumble singers feel self exploring.
      After give birth to child, the position of the daughter-in-law in the home get better. So, Lullaby singers want to benefited from her child. Through interaction between baby Maternal instinct are forming. In 〈Deer song〉 Maternal instinct from mother to child maximizes. But, Maternal instinct did not assist their life. Because character are placed in an extreme situation, They feel great responsibility to their young. Maternal instinct did not connected rising self-esteem. Singers still continue to enduring hardship in the home.
      The singers who sing 〈Daboknyeo folk song〉 empathy to character who are estimated at grown-up woman. Character regard Daboknyeo"s attempt as disturbance to stand on her feet. Because Singers know by experience, they oppose to finding mother.
      After long years, Singers give their daughter in marriage. Marriage started the fulfill her responsibility. Since then Self-regard reach its peak. Son-in-law song are sung in wedding reception. When put a baby to sleep Lullaby are sung. The whole Maternal instinct and Self-regard are common to two song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요약
      • 1. 머리말
      • 2. 기능(機能)에 따른 모성(母性) 관련 민요의 사설 구성
      • 3. 작중 화자에 따른 여성 구연 민요 내 모성(母性)의 의미
      • 4. 맺음말
      • 국문 요약
      • 1. 머리말
      • 2. 기능(機能)에 따른 모성(母性) 관련 민요의 사설 구성
      • 3. 작중 화자에 따른 여성 구연 민요 내 모성(母性)의 의미
      • 4.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갑희, "한국 전승 자장가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5 : 175-246, 1987

      2 윤치부, "한국 자장가 사설의 유형" 제주대 국어교육연구회 3 (3): 163-214, 1987

      3 최자운, "잔치노래의 사설 구성과 여성민요적 위상" 한국민요학회 42 : 265-289, 2014

      4 구연식, "우리 민요에 나타난 모성애" 동아대학교 한국민속문화연구소 2 : 21-33, 1980

      5 박지애, "여성 소리꾼의 위상 변화와 민요의 전승-고령군 ‘유주일’ 제보자의 시집살이노래 구연을 중심으로-" 민속학연구소 (28) : 73-92, 2014

      6 강진옥, "여성 서사민요 화자의 존재 양상과 창자집단의 향유의식" 한국고전여성문학회 5-34, 2002

      7 유목화, "여성 민요에 나타난 감성의 발현양상과 치유방식-전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공연문화학회 1 (1): 129-161, 2010

      8 김월덕, "시집살이노래와 여성 개인서사의 상관성" 한국민요학회 33 : 53-83, 2011

      9 이옥희, "말하기 방식으로서의 여성민요" 비교민속학회 (45) : 291-320, 2011

      10 최자운, "동물노래의 형상화 방법과 여성민요적 의의" 한국민요학회 29 : 437-466, 2010

      1 윤갑희, "한국 전승 자장가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5 : 175-246, 1987

      2 윤치부, "한국 자장가 사설의 유형" 제주대 국어교육연구회 3 (3): 163-214, 1987

      3 최자운, "잔치노래의 사설 구성과 여성민요적 위상" 한국민요학회 42 : 265-289, 2014

      4 구연식, "우리 민요에 나타난 모성애" 동아대학교 한국민속문화연구소 2 : 21-33, 1980

      5 박지애, "여성 소리꾼의 위상 변화와 민요의 전승-고령군 ‘유주일’ 제보자의 시집살이노래 구연을 중심으로-" 민속학연구소 (28) : 73-92, 2014

      6 강진옥, "여성 서사민요 화자의 존재 양상과 창자집단의 향유의식" 한국고전여성문학회 5-34, 2002

      7 유목화, "여성 민요에 나타난 감성의 발현양상과 치유방식-전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공연문화학회 1 (1): 129-161, 2010

      8 김월덕, "시집살이노래와 여성 개인서사의 상관성" 한국민요학회 33 : 53-83, 2011

      9 이옥희, "말하기 방식으로서의 여성민요" 비교민속학회 (45) : 291-320, 2011

      10 최자운, "동물노래의 형상화 방법과 여성민요적 의의" 한국민요학회 29 : 437-466, 2010

      11 최자운, "다복녀(多福女)민요의 유형과 서사민요(敍事民謠)적 성격" 한국민요학회 22 : 347-375, 2008

      12 이형대, "규방가사ㆍ민요ㆍ계몽가사의 모성 표상" 한국고전여성문학회 0 (0): 153-184, 2007

      13 이정아, "<흥글소리>에 대한 一考 -<흥글소리>에 나타난 탄식을 통해 본 여성의 자기탐색적 태도-" 한국고전연구학회 (25) : 65-94,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7-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 1.44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