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일 소화(笑話)의 인명(人名) 열거 방법 = A Study on the Method of Enumerating Person’s names of Japanese and Korean Comedic Sto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610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the method of enumerating people’s names in small intestines in both Korea and Japan was considered. In terms of the enumeration order and combination method of people’s names, it was found that “different” methods had developed in both Korean and Japanese comedic stories.
      First, in Korean comedic stories, there is a consideration of rank or superiority and inferiority among the characters listed, but there is almost no such tendency in Japanese comedic stories.
      And this i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Joseon’s culture of the nobleman, which is oriented toward success in life, and the hereditary aristocratic culture of the Japan, which is not.
      Second, in Korean comedic stories, wordplay related to names rather than surnames developed, but in Japanese comedic stories, on the contrary, wordplay related to surnames developed. And this is because Korean surnames are short and not many, so they are not suitable for wordplay, but Japanese surnames are long and numerous, so they are suitable for wordplay.
      Thirdly, in Korean comedic stories, there is a method in which names and names are listed in parallel, like in Chinese poetry, but in Japanese comedic stories, names and names are listed as if they are connected in a long straight line like Renga(連歌). And this i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classical poetry literature of the two countries.
      번역하기

      In this paper, the method of enumerating people’s names in small intestines in both Korea and Japan was considered. In terms of the enumeration order and combination method of people’s names, it was found that “different” methods had developed...

      In this paper, the method of enumerating people’s names in small intestines in both Korea and Japan was considered. In terms of the enumeration order and combination method of people’s names, it was found that “different” methods had developed in both Korean and Japanese comedic stories.
      First, in Korean comedic stories, there is a consideration of rank or superiority and inferiority among the characters listed, but there is almost no such tendency in Japanese comedic stories.
      And this i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Joseon’s culture of the nobleman, which is oriented toward success in life, and the hereditary aristocratic culture of the Japan, which is not.
      Second, in Korean comedic stories, wordplay related to names rather than surnames developed, but in Japanese comedic stories, on the contrary, wordplay related to surnames developed. And this is because Korean surnames are short and not many, so they are not suitable for wordplay, but Japanese surnames are long and numerous, so they are suitable for wordplay.
      Thirdly, in Korean comedic stories, there is a method in which names and names are listed in parallel, like in Chinese poetry, but in Japanese comedic stories, names and names are listed as if they are connected in a long straight line like Renga(連歌). And this i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classical poetry literature of the two countr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한일 소화(笑話)에 보이는 인명(人名) 열거 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 사람이름의 열거 순서와 조합 방법에 있어서 한일 양국에서는 서로 다른 방법이 발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첫 번째로, 한국 소화에서는 열거되는 인물 간의 서열이나 우열 관계에 대한 고려가 보이지만 일본 소화에서는 그러한 의도가 거의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이는 입신출세 지향적인 조선의 사대부 문화와 그렇지 않은일본 조정의 세습 귀족 문화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두 번째로, 한국 소화에서는 성씨보다는 이름과 관련한 언어유희가 발달하였지만, 일본 소화에서는 반대로성씨와 관련한 언어유희가 발달하였다. 그리고 이는 한국인의 성씨가 외자로 음절이 하나이고 수도 많지 않아언어유희에 적합하지 않지만, 일본인의 성씨는 두 자 이상이고 일본어 발음도 많아 언어유희에 적합하다는 차이점 때문이다.
      세 번째로, 한국 소화에서는 한시(漢詩)처럼 이름 간에 서로 대구를 이루는 방법이 보이지만, 일본 소화에서는 렌가(連歌) 또는 연구(聯句)처럼 이름과 이름이 일직선상으로 길게 연결되는 특징을 보이는데 이는 양국 고전 시가 문학의 주된 발전 양상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한일 소화(笑話)에 보이는 인명(人名) 열거 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 사람이름의 열거 순서와 조합 방법에 있어서 한일 양국에서는 서로 다른 방법이 발달...

      본 논문에서는 한일 소화(笑話)에 보이는 인명(人名) 열거 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 사람이름의 열거 순서와 조합 방법에 있어서 한일 양국에서는 서로 다른 방법이 발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첫 번째로, 한국 소화에서는 열거되는 인물 간의 서열이나 우열 관계에 대한 고려가 보이지만 일본 소화에서는 그러한 의도가 거의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이는 입신출세 지향적인 조선의 사대부 문화와 그렇지 않은일본 조정의 세습 귀족 문화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두 번째로, 한국 소화에서는 성씨보다는 이름과 관련한 언어유희가 발달하였지만, 일본 소화에서는 반대로성씨와 관련한 언어유희가 발달하였다. 그리고 이는 한국인의 성씨가 외자로 음절이 하나이고 수도 많지 않아언어유희에 적합하지 않지만, 일본인의 성씨는 두 자 이상이고 일본어 발음도 많아 언어유희에 적합하다는 차이점 때문이다.
      세 번째로, 한국 소화에서는 한시(漢詩)처럼 이름 간에 서로 대구를 이루는 방법이 보이지만, 일본 소화에서는 렌가(連歌) 또는 연구(聯句)처럼 이름과 이름이 일직선상으로 길게 연결되는 특징을 보이는데 이는 양국 고전 시가 문학의 주된 발전 양상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충권, "흥보전·흥보가·옹고집전" 문학동네 2010

      2 금영진, "지명 즈쿠시(地名尽くし)의 배열방식 한일비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37 : 129-148, 2016

      3 금영진, "일본도상(図像)문화를 통해 본 동물조합의 방법과 의미 - 언어유희ㆍ미타테(見立て)ㆍ복합을 중심으로 -"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34 : 21-41, 2015

      4 금영진, "일본 속담(諺)속의 동물조합" 일본연구소 46 : 289-309, 2015

      5 금영진, "일본 소화(笑話) 속의 동물조합" 외국문학연구소 (60) : 31-56, 2015

      6 금영진, "에도 하나시본(江戸噺本) 속의 지즈쿠시(字尽くし) - 언어유희 방식의 한일비교 -" 외국학연구소 (36) : 147-180, 2016

      7 금영진, "아호다라쿄(阿保陀羅経)를 통해 본 나이즈쿠시(無い尽くし)의 방법과 계보 - 하야모노가타리(早物語) 기법과 언어유희, 세태 풍자를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회 (94) : 347-377, 2021

      8 오성호, "백석 시의 열거와 그 의미에 관한 연구" 남도문화연구소 (25) : 349-376, 2013

      9 김응교, "백석 [모닥불]의 열거법 연구" 한국문학연구학회 (24) : 277-304, 2004

      10 금영진, "동아시아의 세 사람 주령(酒令)형 소화" 동양학연구원 (57) : 23-39, 2014

      1 정충권, "흥보전·흥보가·옹고집전" 문학동네 2010

      2 금영진, "지명 즈쿠시(地名尽くし)의 배열방식 한일비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37 : 129-148, 2016

      3 금영진, "일본도상(図像)문화를 통해 본 동물조합의 방법과 의미 - 언어유희ㆍ미타테(見立て)ㆍ복합을 중심으로 -"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34 : 21-41, 2015

      4 금영진, "일본 속담(諺)속의 동물조합" 일본연구소 46 : 289-309, 2015

      5 금영진, "일본 소화(笑話) 속의 동물조합" 외국문학연구소 (60) : 31-56, 2015

      6 금영진, "에도 하나시본(江戸噺本) 속의 지즈쿠시(字尽くし) - 언어유희 방식의 한일비교 -" 외국학연구소 (36) : 147-180, 2016

      7 금영진, "아호다라쿄(阿保陀羅経)를 통해 본 나이즈쿠시(無い尽くし)의 방법과 계보 - 하야모노가타리(早物語) 기법과 언어유희, 세태 풍자를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회 (94) : 347-377, 2021

      8 오성호, "백석 시의 열거와 그 의미에 관한 연구" 남도문화연구소 (25) : 349-376, 2013

      9 김응교, "백석 [모닥불]의 열거법 연구" 한국문학연구학회 (24) : 277-304, 2004

      10 금영진, "동아시아의 세 사람 주령(酒令)형 소화" 동양학연구원 (57) : 23-39, 2014

      11 금영진, "동아시아 소화 (笑話)⋅ 속담 (俗談) 속의 동물조합 상징성 비교" 비교문화연구소 42 : 205-240, 2016

      12 금영진, "가부키(歌舞伎) 『우이로우리(外郎売)』의 하야모노가타리(早物語) 언어유희 방법과 구연(口演) 속도" 일본어문학회 (98) : 279-303, 2022

      13 吉川三枝子, "物尽くしの体系的研究" 日本歌謡学会 13 : 1974

      14 박경신, "對校·譯註 太平閑話滑稽伝 2" 국학자료원 1998

      15 박경신, "對校·譯註 太平閑話滑稽伝 1" 국학자료원 1998

      16 武藤禎夫, "定本 落語三百題" 岩波書店 2007

      17 武藤禎夫, "噺本大系 7" 東京堂出版 1987

      18 武藤禎夫, "噺本大系 6" 東京堂出版 1987

      19 武藤禎夫, "噺本大系 5" 東京堂出版 1987

      20 武藤禎夫, "噺本大系 4" 東京堂出版 1987

      21 武藤禎夫, "噺本大系 3" 東京堂出版 1987

      22 武藤禎夫, "噺本大系 2" 東京堂出版 1987

      23 武藤禎夫, "噺本大系 16" 東京堂出版 1987

      24 武藤禎夫, "噺本大系 13" 東京堂出版 1987

      25 武藤禎夫, "噺本大系 1" 東京堂出版 1987

      26 森田雅也, "『色里三所世帯』 と京都·大坂·江戸‒ 西鶴と貞享期の読者の三都意識をめぐって‒" 55 (55): 2004

      27 박영희, "《禮記》<內則>의 나열식 글쓰기를 통해 본 기록과 규범 사이" 중국어문학회 (57) : 73-95,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