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마참나물(Tilingia tsusimensis(Yabe) Kitagawa) 개체군의 식생구조와 토양특성 =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of the Tilingia tsusimensis Popul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983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of
      Tilingia tsusimensis population found to be distributed in Mt. Gaya and Mt. Keumo. The Tilingia tsusimensis population was classified as Tilingia tsusimensis-typical dominant population and Tilingia tsusimensis-Thalictrum uchiyamai dominant population. It was found out that the organic matter content in the distributed areas for Tilingia tsusiensis population was 25.0~32.3%; content of nitrate nitrogen was 0.83~1.04%; 5.58~20.76 ppm for available phosphorous; 46.3~62.9 for CEC, and 4.5 to 5.1 for soil pH.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ilingia tsusimensis popul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 are as follows; the Tilingia tsusimensis-typical dominant population was found in the areas of low elevation and had somewhat high interchangeable Na, Ca, Mg and CEC among nutrients; on the other hand, Tilingia tsusimensis-Thalictrum uchiyamai-dominant population was found in the areas of somewhat higher elevation and had a little lower interchangeable Na, Ca, Mg and CEC among nutrients than those of the Tilingia tsusimensis typical dominant popul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of Tilingia tsusimensis population found to be distributed in Mt. Gaya and Mt. Keumo. The Tilingia tsusimensis population was classified as Tilingia tsusimensis-typical...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of
      Tilingia tsusimensis population found to be distributed in Mt. Gaya and Mt. Keumo. The Tilingia tsusimensis population was classified as Tilingia tsusimensis-typical dominant population and Tilingia tsusimensis-Thalictrum uchiyamai dominant population. It was found out that the organic matter content in the distributed areas for Tilingia tsusiensis population was 25.0~32.3%; content of nitrate nitrogen was 0.83~1.04%; 5.58~20.76 ppm for available phosphorous; 46.3~62.9 for CEC, and 4.5 to 5.1 for soil pH.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ilingia tsusimensis popul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 are as follows; the Tilingia tsusimensis-typical dominant population was found in the areas of low elevation and had somewhat high interchangeable Na, Ca, Mg and CEC among nutrients; on the other hand, Tilingia tsusimensis-Thalictrum uchiyamai-dominant population was found in the areas of somewhat higher elevation and had a little lower interchangeable Na, Ca, Mg and CEC among nutrients than those of the Tilingia tsusimensis typical dominant popul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금오산과 가야산 지역에 분포하는 대마참나물 개체군이 발견되었으며, 이 개체군의 생태학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식생구조와 토양을 분석하였다. 대마참나물 개체군은 대마참나물 전형 우점개체군과 자주꿩의다리 우점개체군으로 분류되었다. 대마참나물 개체군 분포 지역의 유기물 함량은 25.0~32.3%, 전질소 함량은 0.83~1.04%, 유효인산 함량은 5.58~20.76ppm, 양이온치환용량(CEC)은 46.3~62.9이고, 토양 pH는 4.5~5.1로 나타났다. 대마참나물 개체군과 환경 요인들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전형우점개체군은 양료 중 치환성 K, Ca, Mg와 양이온치환용량이 다소 많고 해발고가 비교적 낮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자주꿩의다리 우점개체군은 전형우점개체군보다 해발고가 다소 높고, 양료 중 치환성 K, Ca, Mg와 양이온치환용량이 다소 적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었다.
      번역하기

      금오산과 가야산 지역에 분포하는 대마참나물 개체군이 발견되었으며, 이 개체군의 생태학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식생구조와 토양을 분석하였다. 대마참나물 개체군은 대마참나물 전형 ...

      금오산과 가야산 지역에 분포하는 대마참나물 개체군이 발견되었으며, 이 개체군의 생태학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식생구조와 토양을 분석하였다. 대마참나물 개체군은 대마참나물 전형 우점개체군과 자주꿩의다리 우점개체군으로 분류되었다. 대마참나물 개체군 분포 지역의 유기물 함량은 25.0~32.3%, 전질소 함량은 0.83~1.04%, 유효인산 함량은 5.58~20.76ppm, 양이온치환용량(CEC)은 46.3~62.9이고, 토양 pH는 4.5~5.1로 나타났다. 대마참나물 개체군과 환경 요인들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전형우점개체군은 양료 중 치환성 K, Ca, Mg와 양이온치환용량이 다소 많고 해발고가 비교적 낮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자주꿩의다리 우점개체군은 전형우점개체군보다 해발고가 다소 높고, 양료 중 치환성 K, Ca, Mg와 양이온치환용량이 다소 적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식물명고(I)" 아카데미서적 811-, 1996

      2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농촌진흥청 202-, 2000

      3 "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 1237-, 2002

      4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2003

      5 "울릉도 산림식생의 공간분포 및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29 (29): 521-529, 2006

      6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91 (91): 694-700, 2002

      7 "섬시호 개체군의 생태" 9 (9): 78-85, 2006

      8 "설악산국립공원 지역의 신갈나무 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11 (11): 462-468, 1998

      9 "등대시호 개체군의 생태" 9 (9): 86-94, 2006

      10 "대한식물도감" 990-, 1980

      1 "한국식물명고(I)" 아카데미서적 811-, 1996

      2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농촌진흥청 202-, 2000

      3 "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 1237-, 2002

      4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2003

      5 "울릉도 산림식생의 공간분포 및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29 (29): 521-529, 2006

      6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91 (91): 694-700, 2002

      7 "섬시호 개체군의 생태" 9 (9): 78-85, 2006

      8 "설악산국립공원 지역의 신갈나무 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11 (11): 462-468, 1998

      9 "등대시호 개체군의 생태" 9 (9): 86-94, 2006

      10 "대한식물도감" 990-, 1980

      11 "TWINSPAN과 DCCA에 의한 중왕산의 삼림 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분석" 247-254, 1992

      12 "TWINSPAN과 DCCA ordination에 의한 오대산 삼림군집의 분석" 12 : 47-54, 1994

      13 "Latitudinal variation in southern Rocky Mountain forests Journal of Biogeography 5" 275-289, 1978

      14 "Gradient analysis of vegetation" 207-264, 1967

      15 "Flora of Japan" 678-, 1965

      16 "Einf hrung in die flanzensoziologie" 241-, 1990

      17 "DECORANA -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Cornell Univ Press 1979

      18 "DCCA에 의한 신갈나무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8 : 1-5, 1990b

      19 "DCCA에 의한 계룡산과 덕유산의 삼림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216-221, 1990a

      20 "Classification과 Ordination에 의한 속리산 삼림 군집의 분석 충남대학교 환경연구보고 7" 1-8, 1989

      21 "CANOCO - a FORTRAN program for canonical communityordination by [partial]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TNO Institute of AppliedComputer Science"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and redundancy analysis -2, 1987

      22 "An introduction to soils and plant growth" Prentice-Hall 768-,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8 0.77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