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식물명고(I)" 아카데미서적 811-, 1996
2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농촌진흥청 202-, 2000
3 "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 1237-, 2002
4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2003
5 "울릉도 산림식생의 공간분포 및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29 (29): 521-529, 2006
6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91 (91): 694-700, 2002
7 "섬시호 개체군의 생태" 9 (9): 78-85, 2006
8 "설악산국립공원 지역의 신갈나무 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11 (11): 462-468, 1998
9 "등대시호 개체군의 생태" 9 (9): 86-94, 2006
10 "대한식물도감" 990-, 1980
1 "한국식물명고(I)" 아카데미서적 811-, 1996
2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농촌진흥청 202-, 2000
3 "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 1237-, 2002
4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2003
5 "울릉도 산림식생의 공간분포 및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29 (29): 521-529, 2006
6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91 (91): 694-700, 2002
7 "섬시호 개체군의 생태" 9 (9): 78-85, 2006
8 "설악산국립공원 지역의 신갈나무 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11 (11): 462-468, 1998
9 "등대시호 개체군의 생태" 9 (9): 86-94, 2006
10 "대한식물도감" 990-, 1980
11 "TWINSPAN과 DCCA에 의한 중왕산의 삼림 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분석" 247-254, 1992
12 "TWINSPAN과 DCCA ordination에 의한 오대산 삼림군집의 분석" 12 : 47-54, 1994
13 "Latitudinal variation in southern Rocky Mountain forests Journal of Biogeography 5" 275-289, 1978
14 "Gradient analysis of vegetation" 207-264, 1967
15 "Flora of Japan" 678-, 1965
16 "Einf hrung in die flanzensoziologie" 241-, 1990
17 "DECORANA -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Cornell Univ Press 1979
18 "DCCA에 의한 신갈나무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8 : 1-5, 1990b
19 "DCCA에 의한 계룡산과 덕유산의 삼림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216-221, 1990a
20 "Classification과 Ordination에 의한 속리산 삼림 군집의 분석 충남대학교 환경연구보고 7" 1-8, 1989
21 "CANOCO - a FORTRAN program for canonical communityordination by [partial]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TNO Institute of AppliedComputer Science"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and redundancy analysis -2, 1987
22 "An introduction to soils and plant growth" Prentice-Hall 768-,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