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황해 연안에서 관측된 딱총새우 음의 특성 = Characteristics of Snapping Shrimp Sound Observed in the Korean Coast of the Yellow S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261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1년 5월에 황해 연안의 수심 약 20 m의 해역에서 10시부터 13시까지 3시간 동안 수중소음을 관측하였다. 측정기간 내내 생물음으로 추정되는 강한 수중음이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 $1{\sim}20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측정된 수중음의 레벨은 수중 배경소음 레벨과 비교하여 매우 높게 측정 되었다. 이러한 수중음은 연안 수중소음 레벨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수중음의 발생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발표된 논문들을 근거로 하여 수중음의 가장 유력한 음원으로 해저바닥에 서식하는 딱총새우의 음을 제시하였으며, 동일해역에서 채집한 살아있는 딱총새우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신호를 실험실에서 측정함으로서 이 수중음이 딱총새우에 의하여 발생된 것임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2001년 5월에 황해 연안의 수심 약 20 m의 해역에서 10시부터 13시까지 3시간 동안 수중소음을 관측하였다. 측정기간 내내 생물음으로 추정되는 강한 수중음이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 $1{\sim}20kH...

      2001년 5월에 황해 연안의 수심 약 20 m의 해역에서 10시부터 13시까지 3시간 동안 수중소음을 관측하였다. 측정기간 내내 생물음으로 추정되는 강한 수중음이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 $1{\sim}20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측정된 수중음의 레벨은 수중 배경소음 레벨과 비교하여 매우 높게 측정 되었다. 이러한 수중음은 연안 수중소음 레벨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수중음의 발생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발표된 논문들을 근거로 하여 수중음의 가장 유력한 음원으로 해저바닥에 서식하는 딱총새우의 음을 제시하였으며, 동일해역에서 채집한 살아있는 딱총새우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신호를 실험실에서 측정함으로서 이 수중음이 딱총새우에 의하여 발생된 것임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mbient noise was measured for 3 hours on May, 2001 at a site of 20 m water depth in the Korean coast of the Yellow Sea. During the measurement, the strong underwater sound assuming by marine life was continually observed. The spectrum level of this sound was very high compared to that of underwater ambient noise over the frequency range from 1 to 20 kHz. Therefore, this underwater sound can continually affect the ambient noise level. In this study, the source of the underwater sound was investigated. The snapping shrimp was estimated as reliable source. It was confirmed through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results described in previously literatures. It was also confirmed through analysis of snapping shrimp sound measured under laboratory conditions.
      번역하기

      Ambient noise was measured for 3 hours on May, 2001 at a site of 20 m water depth in the Korean coast of the Yellow Sea. During the measurement, the strong underwater sound assuming by marine life was continually observed. The spectrum level of this s...

      Ambient noise was measured for 3 hours on May, 2001 at a site of 20 m water depth in the Korean coast of the Yellow Sea. During the measurement, the strong underwater sound assuming by marine life was continually observed. The spectrum level of this sound was very high compared to that of underwater ambient noise over the frequency range from 1 to 20 kHz. Therefore, this underwater sound can continually affect the ambient noise level. In this study, the source of the underwater sound was investigated. The snapping shrimp was estimated as reliable source. It was confirmed through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results described in previously literatures. It was also confirmed through analysis of snapping shrimp sound measured under laboratory condi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연안해역에서 관측된 수중 생물잡 음의 음향특성" 1995

      2 "Underwater Noise Due to Marine Life" 446-449, 1946

      3 "Principles of Underwater Sound" McGraw-Hill chap : 1983

      4 "How Snapping Shrimp Snap: Through Cavitating Bubbles" 289 : 2114-2020, 2000

      5 "Fundamentals of Physical Acoustics" JOHN WILEY & SONS 2000

      6 "Ambient Noise in the Sea" Peninsula Publishing chap : 1984

      7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Noise Produced by Snapping Shrimp" 137-142, 1948

      1 "연안해역에서 관측된 수중 생물잡 음의 음향특성" 1995

      2 "Underwater Noise Due to Marine Life" 446-449, 1946

      3 "Principles of Underwater Sound" McGraw-Hill chap : 1983

      4 "How Snapping Shrimp Snap: Through Cavitating Bubbles" 289 : 2114-2020, 2000

      5 "Fundamentals of Physical Acoustics" JOHN WILEY & SONS 2000

      6 "Ambient Noise in the Sea" Peninsula Publishing chap : 1984

      7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Noise Produced by Snapping Shrimp" 137-142, 194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9-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 바다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9 0.93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