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韓國 國際裁判管轄法制의 發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892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00년이 넘는 국제사법학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국제사법학이본 궤도에 오른 것은 국제거래가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국제교류가 빈번하여진 1980년대 이후이다. 국제가사사건에서 출발하여 국제해사사건, 국제거래사건으로 확산되어 가면서 국제거래전문 변호사들이 국제사법이론의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였고 미국에 유학한 판사들이 미국법 이론에 따라 판결을 하기 시작함으로써 판례의 집적과 발전을 이룰 수 있게 되었다. 1993년 한국국제사법학회의 창립은 이와 같은 이론과 판례의 발전을 뒷받침하기 위한 조직적인 움직임의 일환이었다. 이어 1995년 이른바 나우정밀사건에서 실질적 관련의 원칙이 도입되었고 이는 2001년 국제사법에 성문화되었다. 2005년 hpweb.com사건에서 한국 대법원이 실질적 관련성 판단에 관한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한 이래 이를 정치화(精緻化)하는 작업이 하급법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작업은 근년 국제사법의 개정으로 절정에 달할 것이다. 그러나 국제재판관할의 국제성과 상호성은 국내에서의 기준설정만으로는 부족하고 국제적 협력을 긴절히 요청하고 있으므로 한국으로서는 우선 동아시아 국가 간의 협력을 통하여 공통규칙을 만들고 이를 세계적인 규범으로 확대해 나가는 노력을 기울여 나갈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100년이 넘는 국제사법학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국제사법학이본 궤도에 오른 것은 국제거래가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국제교류가 빈번하여진 1980년대 이후이다. 국제가사사건에서 출...

      100년이 넘는 국제사법학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국제사법학이본 궤도에 오른 것은 국제거래가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국제교류가 빈번하여진 1980년대 이후이다. 국제가사사건에서 출발하여 국제해사사건, 국제거래사건으로 확산되어 가면서 국제거래전문 변호사들이 국제사법이론의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였고 미국에 유학한 판사들이 미국법 이론에 따라 판결을 하기 시작함으로써 판례의 집적과 발전을 이룰 수 있게 되었다. 1993년 한국국제사법학회의 창립은 이와 같은 이론과 판례의 발전을 뒷받침하기 위한 조직적인 움직임의 일환이었다. 이어 1995년 이른바 나우정밀사건에서 실질적 관련의 원칙이 도입되었고 이는 2001년 국제사법에 성문화되었다. 2005년 hpweb.com사건에서 한국 대법원이 실질적 관련성 판단에 관한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한 이래 이를 정치화(精緻化)하는 작업이 하급법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작업은 근년 국제사법의 개정으로 절정에 달할 것이다. 그러나 국제재판관할의 국제성과 상호성은 국내에서의 기준설정만으로는 부족하고 국제적 협력을 긴절히 요청하고 있으므로 한국으로서는 우선 동아시아 국가 간의 협력을 통하여 공통규칙을 만들고 이를 세계적인 규범으로 확대해 나가는 노력을 기울여 나갈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academic teaching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including jurisdiction has started as eary as 1895 in Korea, legal discussions theron has been stimulated by enactment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Act(“PILA”) in 1962. The provisions of Code of Civil Procedure regarding the venue has, mutatis mutadis, applied to determine the international jurisdcition. It was not until 2001 when the PILA has been totally renovated and certain provisions on international jurisdiction are installed therein. Article 2 of the new PILA declared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Connenction” for deternmination of international jurisdiction. The parties to the litigation and/or the case must have substantial relationship with Korea to rcognize the jurisdiction of Korea. Also, provisions on jurisdiction to protect weaker parties such as consumers and employees were added. In determination of international jurisdiction, the Korean Supreme Court, in hpweb.com case, established certain criteria by requiring the court to consider both the private interest such as fairness, convenience and predicability of the parties and the interest of the court or the nation such as for the just, speedy, efficient and effective judgments. The case law for determination of jurisdiction has been developed theresince but needs to have concrete statutory criteria have grown. The Korean govenrment plans to meet such needs in the near future.
      번역하기

      Although academic teaching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including jurisdiction has started as eary as 1895 in Korea, legal discussions theron has been stimulated by enactment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Act(“PILA”) in 1962. The provisions...

      Although academic teaching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including jurisdiction has started as eary as 1895 in Korea, legal discussions theron has been stimulated by enactment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Act(“PILA”) in 1962. The provisions of Code of Civil Procedure regarding the venue has, mutatis mutadis, applied to determine the international jurisdcition. It was not until 2001 when the PILA has been totally renovated and certain provisions on international jurisdiction are installed therein. Article 2 of the new PILA declared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Connenction” for deternmination of international jurisdiction. The parties to the litigation and/or the case must have substantial relationship with Korea to rcognize the jurisdiction of Korea. Also, provisions on jurisdiction to protect weaker parties such as consumers and employees were added. In determination of international jurisdiction, the Korean Supreme Court, in hpweb.com case, established certain criteria by requiring the court to consider both the private interest such as fairness, convenience and predicability of the parties and the interest of the court or the nation such as for the just, speedy, efficient and effective judgments. The case law for determination of jurisdiction has been developed theresince but needs to have concrete statutory criteria have grown. The Korean govenrment plans to meet such needs in the near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한국 국제사법학의 발전과 관련 법제의 정비
      • Ⅲ. 한국 섭외사법의 제정과 관련 법제의 정비
      • Ⅳ. 국제재판관할에 관한 학설ㆍ판례와 국제사법의 개정
      • Ⅴ. 실질적 관련의 원칙 하에서의 판례의 발전
      • Ⅰ. 서론
      • Ⅱ. 한국 국제사법학의 발전과 관련 법제의 정비
      • Ⅲ. 한국 섭외사법의 제정과 관련 법제의 정비
      • Ⅳ. 국제재판관할에 관한 학설ㆍ판례와 국제사법의 개정
      • Ⅴ. 실질적 관련의 원칙 하에서의 판례의 발전
      • Ⅵ. 국제재판관할에 관한 입법의 개정 방향
      • Ⅶ. 결론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국제사법학회 (17) : 533-709, 2011

      2 임치용, "헤이그송달조약을 가입함에 있어" (2) : 51-113, 1997

      3 "헤이그송달조약에 관한 연구" 85-132, 1998

      4 최원목, "한-중-일 투자증진·보장협정 체제의 현재와 미래" 국제거래법학회 21 (21): 2012

      5 전윤종, "한중간 국제거래분쟁의 현황과 해결과제" 한국국제사법학회 (13) : 19-20, 2007

      6 한찬식, "한일투자협정해설" 2003

      7 배형원, "한·중민사사법공조조약" (10) : 297-, 2004

      8 "창원지방법원 2006. 10. 19. 선고 2005가합9692 판결"

      9 전대규, "중국법상 섭외사건의 국제재판관할에 관하여" 한국국제사법학회 (18) : 391-425, 2012

      10 노태악, "인터넷명예훼손행위와 국제재판관할, In 민사재판의 제문제" 박영사 2004

      1 한국국제사법학회 (17) : 533-709, 2011

      2 임치용, "헤이그송달조약을 가입함에 있어" (2) : 51-113, 1997

      3 "헤이그송달조약에 관한 연구" 85-132, 1998

      4 최원목, "한-중-일 투자증진·보장협정 체제의 현재와 미래" 국제거래법학회 21 (21): 2012

      5 전윤종, "한중간 국제거래분쟁의 현황과 해결과제" 한국국제사법학회 (13) : 19-20, 2007

      6 한찬식, "한일투자협정해설" 2003

      7 배형원, "한·중민사사법공조조약" (10) : 297-, 2004

      8 "창원지방법원 2006. 10. 19. 선고 2005가합9692 판결"

      9 전대규, "중국법상 섭외사건의 국제재판관할에 관하여" 한국국제사법학회 (18) : 391-425, 2012

      10 노태악, "인터넷명예훼손행위와 국제재판관할, In 민사재판의 제문제" 박영사 2004

      11 "인천지법 2011. 5. 17. 선고 2010가합3526 판결"

      12 "인천지방법원 2003. 7. 24. 선고 2003가합1768 판결"

      13 "수원지방법원 평택지원 2008. 5. 29. 선고 2006가합2003 판결"

      14 "서울중앙지법 2012. 1. 13. 선고 2010가단476614 판결"

      15 "서울중앙지방법원 2008. 9. 26. 선고 2007가합111631 판결"

      16 "서울중앙지방법원 2007. 11. 23. 선고 2007가합17494 판결"

      17 "서울중앙지방법원 2007. 1. 26. 선고 2006가합10762 판결 참조"

      18 "서울중앙지방법원 2005. 6. 22. 선고 2003가합87723 판결"

      19 "서울고등법원 2012. 3. 23. 선고 2011나40948판결"

      20 "서울고등법원 2011. 12. 8. 선고 2011나43329 판결"

      21 "서울고등법원 2010. 10. 15. 선고 2010나42305 판결"

      22 "서울고등법원 2009. 6. 19. 선고 2006나30787 판결"

      23 "서울고등법원 2008. 9. 25. 선고 2008나9374 판결"

      24 "서울고등법원 2006. 1. 26. 선고 2002나32662 판결"

      25 "서울고등법원 2006. 1. 26. 선고 2002나32662 판결"

      26 "서울고등법원 2006. 1. 26. 선고 2002나32662 판결"

      27 "사법시험법(법률 제6436호, 2001.3.28, 제정, 동일자 시행) 및 동법시행령 제4조 제1항, 제2항 및 별표1, 별표2 각 참조"

      28 "사법시험령(각령 제1290호, 1963.5.9, 제정, 1963.6.1. 시행) 별표1 참조"

      29 유영일, "사법공조에 관한 서울선언" 6 (6): 66-74, 1999

      30 "부산지방법원 2009. 6. 17. 선고 2008나3906 판결"

      31 "부산고등법원 2007. 10. 16. 선고 2006나21033 판결"

      32 "변호사시험법(법률 제9747호, 2009.5.28, 제정, 2009.8.29.시행) 및 동법시행령 제7조 제1항, 제2항 및 별표 1, 별표2 각 참조"

      33 한충수, "민사소송법의 개정과 국제재판관할-섭외사법의 개정안과 관련하여" 한국사법행정학회 4 : 157-159, 2001

      34 이시윤, "민사소송법" 박영사 51-52, 2001

      35 한국국제사법학회, "민사사법공조 관련 국제규범의 국내 이행방안 연구" 법원행정처 96-, 2011

      36 한국국제사법학회, "민사사법공조 관련 국제규범의 국내 이행방안 연구" 법원행정처 81-, 2011

      37 "대법원 2012. 5. 24. 선고 2009다68620 판결"

      38 "대법원 2012. 5. 24. 선고 2009다22549 판결"

      39 "대법원 2012. 5. 24. 선고 2009다22549 판결"

      40 "대법원 2010. 7. 15. 선고 2010다18355 판결"

      41 "대법원 2010. 7. 15. 선고 2010다18355 판결"

      42 "대법원 2008. 5. 29. 선고 2006다71908, 71915 판결"

      43 "대법원 2008. 5. 29. 선고 2006다71908, 71915 판결"

      44 "대법원 2006. 5. 26. 선고 2005므884 판결"

      45 "대법원 2006. 12. 7. 선고 2006다53627 판결"

      46 "대법원 2005. 1. 27. 선고 2002다59788 판결"

      47 "대법원 2003.9.26. 선고 2003다29555 판결 참조"

      48 "대법원 2003. 9. 26. 선고 2003다29555 판결"

      49 "대법원 2000. 6. 9. 선고 98다35037 판결"

      50 "대법원 1997. 9. 9. 선고 96다20093 판결"

      51 "대법원 1995. 11. 21. 선고 93다39607 판결"

      52 "대법원 1994. 2.21. 고지 92스26결정"

      53 "대법원 1992. 7. 28. 선고 91다41897 판결"

      54 "대법원 1988. 10. 25. 선고 87다카1728 판결"

      55 "대법원 1975. 7.22. 선고 74므 22판결"

      56 "대법원 1972. 4. 20. 선고 72다248 판결"

      57 배형원, "다자협약 및 양자조약 연구" 사법발전재단 192-, 2010

      58 김용진, "국제적 증거조사에 관하여" (2) : 529-572, 1997

      59 한충수, "국제재판관할합의에 있어 전속적 관할합의의 유효요건 중 내국관련성 문제" 1 (1): 595-, 1998

      60 최공웅, "국제재판관할에 관한 최근 판례의 동향"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소 2 : 285-300, 1996

      61 석광현, "국제재판관할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50-157, 2001

      62 석광현, "국제재판관할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52-57, 2001

      63 한충수, "국제재판관할과 관련된 우리 판례의 현주소-ALI/UNIDROIT의 국제민사소송원칙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37 : 362-, 2007

      64 최공웅, "국제재판관할 원칙에 관한 재론" 47 (47): 7-13, 1996

      65 석광현, "국제사법 해설 제2판" 지산 166-167, 2003

      66 김인호, "국제사법 판례연구" 박영사 7-38, 2004

      67 최성수, "국제사법 제2조상의 국제재판관할 관련 우리나라 판례의 검토" 법학연구소 (48) : 769-806, 2010

      68 柳英日, "국제민사사법공조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69 최공웅, "국제관할과 민사소송법의 토지관할규정" 대구판례연구회 4 : 394-399, 1996

      70 김홍엽, "국제간 제조물책임소송과 외국법원의 국제재판관할권 인정기준" (237) : 128-, 1996

      71 한숙희, "국제가사사건의 국제재판관할과 외국판결의 승인 및 집행" (12) : 3-, 2006

      72 "고등고시령(대통령령 제174호, 1949.8.23, 제정, 동일자 시행) 제14조 제5호 및 제15조 제7호 참조"

      73 김우진, "개방화 국제화 시대에 있어서 동북아 민사사법공조[실무적 접근]" 101-, 2004

      74 崔公雄, "韓國國際司法의 回顧와 展望(上)" (2316) :

      75 張衛平, "民事訴訟法" 法律出版社 365-, 2004

      76 孫京漢, "東亞 國際裁判管轄條約締結方案" 한국국제사법학회 (13) : 221-251, 2007

      77 孫京漢, "東亞 國際裁判管轄條約締結方案" 한국국제사법학회 (13) : 221-251, 2007

      78 孫京漢, "日本の国際裁判管轄に関する新しいルールに望むこと~韓国の視点から" 37 (37): 1603-1615, 2009

      79 양석완, "司法共助에 관한 韓中條約과 韓濠條約의 比較考察, In 橫川이기수교수화갑기념논문집 知識社會와 企業法" 658-, 2005

      80 "http://www.wipo.int/clea/docs_new/pdf/en/us/us218en-part4.pdf"

      81 "http://www.unidroit.org/english/principles/civilprocedure/main.htm"

      82 "http://www.cl-ip.eu/en/pub/home.cfm"

      83 "2011. 4. 28. 선고 2009다19093 판결"

      84 "2004. 3. 25. 선고 2001다53349 판결"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7 0.64 0.958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