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왜 윤리적인 사람이 행복해야만 하는가? -칸트 철학의 ‘행복할 품격’ 개념 검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198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칸트 철학에서 ‘품격’ 개념의 역할을 명확히 규정하며, 이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칸트 윤리학과 최고선 이론 사이의 비일관성 문제에 대해 가능한 해결책을 발견하는 것...

      본 연구의 목적은 칸트 철학에서 ‘품격’ 개념의 역할을 명확히 규정하며, 이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칸트 윤리학과 최고선 이론 사이의 비일관성 문제에 대해 가능한 해결책을 발견하는 것이다. 칸트는 윤리적 실천을 ‘행복할 품격’으로 규정한다. 즉, 이는 ‘도덕적으로 행위한 사람이 다시금 행복해야 한다’는 당위성인데, 칸트는 이에 대한 직관적 확신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이에 대해 『실천이성비판』과 『판단력비판』에서는 이를 직접 논증하지 않는다. 반면 『순수이성비판』에서는 도덕적 책무의 개념으로부터 이를 정당화한다. 여기에서 칸트는 인간이 그의 도덕적 행위에 비례하여 행복해야만 하는 이유를 그러한 행복에의 희망이 인간을 도덕적 행위로 인도한다는 점에서 찾는다. 아울러 『실천이성비판』 제2부의 스토아 철학 비판을 통해서도 같은 입장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문제는 이러한 윤리적 실천의 토대로서 행복의 개념이 칸트 윤리학의 형식주의와 양립가능한지의 여부이다. 칸트 윤리학과 최고선 이론 사이의 긴장은 여러 선행 연구를 통해서 이미 주지된 바이다. 본 연구는 칸트 자신이 시도한 윤리적 의지의 ‘규정 근거’와 ‘전 대상’의 구별로부터 둘의 양립가능성을 발견한다. 행복이 의지의 규정 근거로 활용되는 경우 이는 분명 윤리성의 결격사유이다. 그러나 이는 윤리적 의지가 지향하는 대상에 행복이 포함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research herein, I attempt to disentangle the concept of ‘worthiness to be happy’ and its role in Kantian philosophy. I also extrapolate a possible solution to the seeming inconsistency between Kantian ethics and his theory of the highest g...

      In the research herein, I attempt to disentangle the concept of ‘worthiness to be happy’ and its role in Kantian philosophy. I also extrapolate a possible solution to the seeming inconsistency between Kantian ethics and his theory of the highest good, an issue that can be properly addressed through the ‘worthiness’ concept. Kant defines moral conduct as worthiness to be happy. This implies that the person who behaves morally also ought to be happy. Kant appears to argue for this intuitively, and does not provide further justifications in his second and third Critiques. However, in the first Critique, he seems to derive such a necessity from the concept of moral responsibility. Here, Kant maintains that one should be happy in a proportion to his moral conduct because the hope for such happiness actually helps human beings to behave morally. We find that this stance continues in the second Critique, especially in Kant’s refutation to the Stoics. The problem lies in the seeming incompatibility between Kant’s concept of happiness as a foundation of moral practice and his ethical formalism. The tension between Kantian ethics and his theory of the highest good has long been noted by many preceding research studies. I herein make an attempt at a possible solution emerging from Kant’s distinction between the determining ground and the whole object of moral will. Obviously, the moral conduct becomes disqualified if the will is driven by expectation for happiness. However, this does not necessarily exclude happiness from being proper objects of moral wil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Ⅰ. 서론
      • Ⅱ. 품격 개념의 규정
      • Ⅲ. 품격 개념 검토: 왜 윤리적 처신에 비례하는 행복이 주어져야만 하는가?
      • Ⅳ. 결론 및 보론
      • 요약문
      • Ⅰ. 서론
      • Ⅱ. 품격 개념의 규정
      • Ⅲ. 품격 개념 검토: 왜 윤리적 처신에 비례하는 행복이 주어져야만 하는가?
      • Ⅳ. 결론 및 보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지영, "칸트의 최고선 개념에 대한 연구" 35 : 141-176, 2007

      2 백종현, "칸트에서 ‘가능한 세계의 최고선’" 철학연구회 (96) : 39-70, 2012

      3 강지영, "칸트 윤리학의 맥락에서 본 최고선에 대한 논의들" 철학사상연구소 (27) : 201-226, 2008

      4 문성학, "칸트 윤리학에 있어서 형식과 실질" 28 : 229-250, 2002

      5 Kant, Immanuel,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아카넷 2015

      6 Kant, Immanuel, "실천이성비판" 아카넷 2015

      7 Kant, Immanuel, "순수이성비판2" 아카넷 2015

      8 Smith, Steven G, "Worthiness to Be Happy and Kant’s Concept of the Highest Good" 75 (75): 168-190, 1984

      9 Kant, Immanuel, "Werkausgabe. Edited by Wilhelm Weischedel" Suhrkamp 1977

      10 Neiman, Susan, "The Unity of Reason: Rereading Kant"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1 강지영, "칸트의 최고선 개념에 대한 연구" 35 : 141-176, 2007

      2 백종현, "칸트에서 ‘가능한 세계의 최고선’" 철학연구회 (96) : 39-70, 2012

      3 강지영, "칸트 윤리학의 맥락에서 본 최고선에 대한 논의들" 철학사상연구소 (27) : 201-226, 2008

      4 문성학, "칸트 윤리학에 있어서 형식과 실질" 28 : 229-250, 2002

      5 Kant, Immanuel,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아카넷 2015

      6 Kant, Immanuel, "실천이성비판" 아카넷 2015

      7 Kant, Immanuel, "순수이성비판2" 아카넷 2015

      8 Smith, Steven G, "Worthiness to Be Happy and Kant’s Concept of the Highest Good" 75 (75): 168-190, 1984

      9 Kant, Immanuel, "Werkausgabe. Edited by Wilhelm Weischedel" Suhrkamp 1977

      10 Neiman, Susan, "The Unity of Reason: Rereading Kant"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11 Willaschek, Macus, "The Highest Good in Kant’s Philosophy" Walter de Gruyter GmbH 223-244, 2016

      12 Pasternack, Lawrence, "Restoring Kant’s Highest Good" 55 (55): 435-468, 2017

      13 Mariña, Jacqueline, "Making Sense of Kant’s Highest Good" 91 (91): 329-355, 2000

      14 Caswell, Matthew, "Kant’s Conception of the Highest Good, the Gesinnung, and the Theory of Radical Evil" 97 (97): 184-209, 2006

      15 Silber, John R, "Kant’s Conception of the Highest Good as Immanent and Transcendent" 68 (68): 168-190, 1959

      16 Pasternack, Lawrence, "Kant on Religion within the Boundaries of Mere Reason" Routledge 2014

      17 Hegel, G. W. F, "Elements of the Philosophy of Ri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8 Kant, Immanuel, "Critique of the Power of Judg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19 Kant, Immanuel, "Critique of Pure Reas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20 Kant, Immanuel,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1 Döring, Sabine, "Being Worthy of Happiness:Towards a Kantian Appreciation of Our Finite Nature" 41 (41): 123-142, 2013

      22 Beck, Lewis W, "A Commentary on Kant’s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51 1.483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