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통일교육의 그 기초 과목은 도덕 교과임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한 마디로 도덕과 교육은 민족 분단을 극복하고 전쟁과 갈등의 극복을 위해 통일교육의 전신인 반공교육과 도의교육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302174
201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19-242(24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학교 통일교육의 그 기초 과목은 도덕 교과임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한 마디로 도덕과 교육은 민족 분단을 극복하고 전쟁과 갈등의 극복을 위해 통일교육의 전신인 반공교육과 도의교육을 ...
학교 통일교육의 그 기초 과목은 도덕 교과임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한 마디로 도덕과 교육은 민족 분단을 극복하고 전쟁과 갈등의 극복을 위해 통일교육의 전신인 반공교육과 도의교육을 결합한 과목으로 출발하였다. 도덕과 교육이 성장함과 동시에 도덕과의 통일교육이 질적으로 확대되어 왔다. 도덕과의 통일교육 내용은 학생들의 통일 문제 접근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를 학교에서 가능하게 하였으며, 학생들의 통일 의식을 성장하게 하는 중요한 과목 구실을 보여 주었다. 도덕과는 1973년 제3차 교육과정부터 공식적으로 교과 교육으로 출현한 것이다. 이전 교수 요목기부터 2차 교육과정 시기에도 도덕과의 내용은 반공을 중심으로 하는 통일교육과 도의 교육이 중심되어 있었다. 당시 도덕과에 포함된 통일교육의 내용은 우리나라 전 지역의 전 학교에서 적용되는 표준적인 내용으로 북한과 통일, 안보에 대해 더불어 생각하는 주제와 내용을 전개하여 왔다. 그동안 도덕과의 통일교육은 우리 사회 내부에 존재하는 너무도 다양한 통일의 이견들을 통합적인 내용으로의 접근하는 노력을 전개하여 왔다. 전체적으로 보면 통일교육의 양은 축소되었고, 질적으로 통일교육의 다양한 인식이 이루어졌으며, 시각적으로는 통일 환경과 북한, 우리 내부의 갈등의 본질에 대해 보다 명확하게 인식하여 발전해 왔다. 이처럼 통일 환경을 만들려는 도덕과의 통일교육의 노력은 열정적이고 이상적이며, 통일문제를 사실과 당위에서 잘 조율하며, 공동체 통합의 길을 시도하여 왔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remand that the basic curriculum of unification education is moral subject in R. O. K. Generally Speaking, Moral subject in R. O. K. was first appearance that on the school curriculum is founded contents unification education for overcome national ...
We remand that the basic curriculum of unification education is moral subject in R. O. K. Generally Speaking, Moral subject in R. O. K. was first appearance that on the school curriculum is founded contents unification education for overcome national division, war & conflict. Moral subject in R. O. K. had a great content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ethics education. But after the sixth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1993, the volume of unification education is gradually thinning quantitatively. It was the substance of unification education in moral subject that students can learn the approach of unification problems & the discussion of north korean in the school. This moral subject has enriched unification willness in korea of students. From the third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1973, The Moral began school subject curriculum. Till the second curriculum period, the moral textbook included mainly anti-communism unification education. So some people of korean said why not explain unification education experts of Moral subject had a doctrinaire ecducation, anti communism unification education. But the front opinion is not clear demand, that times of all subjects were subordinate to authoritarianism state. This democracy state times unification education experts of Moral subject hopes to strengthen well-designed unification education that can explain students Korean divided history, north korean condition & unification future.
참고문헌 (Reference)
1 한만길, "한생의 건전한 통일관 형성을 위한 교육방안" 한국교육개발원 101-, 1997
2 "한국교육신문, 1996.6.28일자"
3 박찬석, "한국 통일교육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8
4 박효종, "한국 보혁갈등에 관한 일고찰: ‘포스트 민주화 패러다임’의 부재를 중심으로, in 한국사회의 새로운 갈등과 국민통합" 법문사 2007
5 Derr, R. L., "학교교육의 사회적 목적분류학" 문우사 1985
6 오기성, "학교 통일교육의 다문화교육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1 (11): 135-163, 2008
7 추병완, "학교 통일교육에서 다문화교육 접근의 타당성"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9) : 21-44, 2009
8 황인표, "평화지향적 학교 통일교육"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7
9 김창근, "평화를 위한 통일교육: 하나 될 미래를 위한 준비" 인간사랑 2007
10 고정식, "통일지향 교육 패러다임 정립과 추진 방안" 통일연구원 2004
1 한만길, "한생의 건전한 통일관 형성을 위한 교육방안" 한국교육개발원 101-, 1997
2 "한국교육신문, 1996.6.28일자"
3 박찬석, "한국 통일교육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8
4 박효종, "한국 보혁갈등에 관한 일고찰: ‘포스트 민주화 패러다임’의 부재를 중심으로, in 한국사회의 새로운 갈등과 국민통합" 법문사 2007
5 Derr, R. L., "학교교육의 사회적 목적분류학" 문우사 1985
6 오기성, "학교 통일교육의 다문화교육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1 (11): 135-163, 2008
7 추병완, "학교 통일교육에서 다문화교육 접근의 타당성"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9) : 21-44, 2009
8 황인표, "평화지향적 학교 통일교육"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7
9 김창근, "평화를 위한 통일교육: 하나 될 미래를 위한 준비" 인간사랑 2007
10 고정식, "통일지향 교육 패러다임 정립과 추진 방안" 통일연구원 2004
11 통일교육원, "통일교육지침서 2010 학교용"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0
12 한만길, "통일교육의 이론과 실천" 교육과학사 2001
13 박찬석, "통일교육의 성립과 과정" 한국학술재단 2007
14 황인표, "통일교육론 체계화와 도덕과 교육 적용 연구" 서울대학교 2004
15 정세구, "통일교육교수기법" 통일부 통일교육원 1999
16 박찬석, "통일교육, 안보와 평화의 융합, in 북한의 사회와 문화 그리고 통일" 철학과 현실사 2010
17 국토 통일원, "통일교육 교수지침서"
18 Wilson, "통섭(Consilience)" 사이언스 북스 2005
19 교육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도덕 5" 한국교육개발원 1997
20 국토통일원 정책기획실, "초등학교 교과서에 반영된 통일․반공교육의 변천과정 분석연구" 국토통일원 정책기획실 1973
21 이범웅, "초등교사를 위한 도덕과 교육실제" 인간사랑 2009
22 배한동, "새로운 통일교육론" 경북대학교 출판부 2009
23 한만길, "북한 교육의 변화 동향과 발전 과제" 2005
24 박종철, "민족주의의 개념 및 한국 민족주의의 특성, in 통일 이념으로서의 민족주의" 민족 통일 연구원 1993
25 이춘근, "미 일각에서 나오는 한미동맹 해체론 김대중·노무현 정권 시절 형성된 대한(對韓) 불신 반영" (9) : 2010
26 권기원, "도덕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008
27 통일원, "남북한 화해협력 시대의 통일교육 기본방향"
28 송병순, "남북한 통일교육의 현실과 과제" (창간) : 1994
29 김기석, "남북한 분단교육의 형성과 그 극복-통일 후 교육통합을 위한 새로운 지평의 탐색- 국제협력공동연구 KRF-98-010-193"
30 한만길, "남북한 교육체계 비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53, 2001
31 유영옥, "남북교육론" 학문사 2002
32 황인표, "글로벌 교육을 통한 통일 교육의 새로운 접근"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9) : 73-106, 2009
33 국토 통일원, "고등학교 통일교육 범위에 관한 연구" 국토 통일원 1973
34 전미영, "개혁·개방에 대한 이중적 사고방식" 2007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시대에서 사이버윤리교육의 과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12-2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3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도덕윤리과교육외국어명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7 | 0.961 | 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