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혁규, "현상성과 물질성: 폴 드만의 문자" 새한영어영문학회 51 (51): 61-82, 2009
2 권정임, "현대 숭고 개념의 헤겔적 기원 연구" 한국미학예술학회 35 : 193-235, 2012
3 권정임, "헤겔 예술철학" 미술문화 2008
4 권정임, "폴 드 만의 헤겔 미학 해석에 대한 비판적 주석 (Ⅰ) -상징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미학예술학회 42 : 203-252, 2014
5 최성만, "폴 드 만의 해체주의적 읽기 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65 (65): 230-259, 1998
6 최성만, "폴 드 만의 해체론적 수사학" 6 : 297-318, 1999
7 박수정, "폴 드 만의 수사적 읽기와 언어의 물질성" 새한영어영문학회 54 (54): 41-62, 2012
8 박주석, "수사학과 낭만주의 문학 - 폴 드만의 해체론적 수사학을 중심으로" 3 : 151-181, 1988
9 김대환, "드만의 ‘시간성의 수사’와 낭만주의 언어관" 2 : 25-53, 1999
10 김종갑, "드 만과 해체비평의 한계 - 드 만의 오류와 잘못을 중심으로" 41 : 61-72, 1997
1 주혁규, "현상성과 물질성: 폴 드만의 문자" 새한영어영문학회 51 (51): 61-82, 2009
2 권정임, "현대 숭고 개념의 헤겔적 기원 연구" 한국미학예술학회 35 : 193-235, 2012
3 권정임, "헤겔 예술철학" 미술문화 2008
4 권정임, "폴 드 만의 헤겔 미학 해석에 대한 비판적 주석 (Ⅰ) -상징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미학예술학회 42 : 203-252, 2014
5 최성만, "폴 드 만의 해체주의적 읽기 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65 (65): 230-259, 1998
6 최성만, "폴 드 만의 해체론적 수사학" 6 : 297-318, 1999
7 박수정, "폴 드 만의 수사적 읽기와 언어의 물질성" 새한영어영문학회 54 (54): 41-62, 2012
8 박주석, "수사학과 낭만주의 문학 - 폴 드만의 해체론적 수사학을 중심으로" 3 : 151-181, 1988
9 김대환, "드만의 ‘시간성의 수사’와 낭만주의 언어관" 2 : 25-53, 1999
10 김종갑, "드 만과 해체비평의 한계 - 드 만의 오류와 잘못을 중심으로" 41 : 61-72, 1997
11 이창남, "독서의 알레고리" 문학과지성사 2010
12 권정임, "근대 미학적 ‘알레고리’ 논의의 포스트모던적 연속성과 현대성에 관한 연구" 한국미학예술학회 26 : 263-300, 2007
13 De Man, Paul, "Ästhetik und Rhetorik : Lektüren zu Paul de Man" Suhrkamp 1993
14 Hegel, Georg Wilhelm Friedrich, "Werke, Bd. 13, auf der Grundlage der Werke von 1832-1845 neu edierte Ausgabe, Redaktion von Eva Moldenhauer und Karl Markus Michel" Suhrkamp 1986
15 Hegel, Georg Wilhelm Friedrich, "Werke, Bd. 10, auf der Grundlage der Werke von 1832-1845 neu" Donougho 1986
16 Hegel, Georg Wilhelm Friedrich, "Vorlesung von 1826" Suhrkamp 2004
17 De Man, Paul, "The Resistance to Theory" 63 (63): 3-20, 1982
18 De Man, Paul, "Semiology and Rhetoric" 3 (3): 27-33, 1973
19 De Man, Paul, "Romanticism and contemporary criticism: the Gauss Seminar and other papers"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1993
20 Szondi, Peter, "Poetik und Geschichtephilosophie I, Antike und Moderne in der Ästhetik der Goethezei" 267-511, 1974
21 De Man, Paul, "P. de Man, Allegorien des Lesens, aus dem Amerikanischen von Hamacher und peter Krumme mit einer Einleitung von Werner Hamacher" 31-51, 1988
22 Donougho, Martin, "On the Hegelian Sublime: Paul de Man's Judgment Call" 34 (34): 1-20, 2001
23 Loesberg, Jonathan, "Materialism and Aesthetics: Paul de Man's Aesthetic Ideology" 27 (27): 87-108, 1997
24 Waters, Lindsay, "Is Now the Time for Paul de Man? An Address to Members of the Modern Language Association on the Twentieth Anniversary of Paul de Man's Death" 32 (32): 1-20, 2005
25 Hegel, Georg Wilhelm Friedrich, "Im Sommer 1826. Mitschrift Friedrich Carl Hermann Victor von Kehler" Fink Verlag 2004
26 De Man, Paul, "Die Ideologie des Ästhetischen" 59-79, 1983
27 De Man, Paul, "Die Ideologie des Ästhetischen" Suhrkamp 39-58, 1982
28 Hegel, Georg Wilhelm Friedrich, "Berlin 1820/21. Eine Nachschrift. I. Textband" Peter Lang 1820
29 Mirabile, Andrea, "Allegory, pathos, and irony: the resistance to Benjamin in Paul de Man" 35 (35): 319-334, 2012
30 Hegel, Georg Wilhelm Friedrich, "Aesthetik nach Prof. Hegel im Winter Semester 1828/29"
31 Loesberg, Jonathan, "Aestheticism and deconstruction" Princeton Univ. Press 1991
32 De Man, Paul, "A Letter from Paul de Man" 8 (8): 509-513,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