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교육현장에서 다루어지지 않는 표현(비학습항목)을 학습자가 습득해 가는 과정을 밝히기 위한 한 가지 예로서, 한국인학습자가 한국어 조사「로」를 포함하는 문을 일본어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36647
2014
Japanese
KCI등재
학술저널
35-51(1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교육현장에서 다루어지지 않는 표현(비학습항목)을 학습자가 습득해 가는 과정을 밝히기 위한 한 가지 예로서, 한국인학습자가 한국어 조사「로」를 포함하는 문을 일본어로...
본 논문에서는 교육현장에서 다루어지지 않는 표현(비학습항목)을 학습자가 습득해 가는 과정을 밝히기 위한 한 가지 예로서, 한국인학습자가 한국어 조사「로」를 포함하는 문을 일본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번역전략에 대해 분석, 고찰하였다. 한국어 조사「로」에는 아래 (i)로 대표되는 수단이나 원인, 부대상황을 나타내는 일본어「で」로 번역되는 경우와, (ii)와 같이「선택」을 나타내고 일본어로는 「を」로 번역되는 경우가 있는데, (ii)의「로」는「비학습항목」에 해당된다.
(ⅰ) a.차를 중고로 샀다.(車を中古で買った。)
b.헬리포터를 원서로 읽었다.(ハリ?ポッタ?を原書で?んだ。)
(ⅱ) a.커피를 {모카로/블루마운틴으로} 마셨다.
(コ?ヒ?は{モカを/キリマンジャロを}?んだ。)
b.컴퓨터를 {삼성 걸로/펜티엄으로} 샀다.
(コンピュ?タは{東芝を/サムソンを}買った。)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가 (ii)와 같은 문의 문제를 보고 해답에 도달하는 과정을 학습자의 발화 자료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본어 번역을 바르게 한 학습자는, 격(格)정보를 이용한 번역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밝혀졌다. 한편, 틀리게 번역한 학습자는 기계적으로 한국어 「로」를 일본어「で」에 대응시키는 번역전략이나, 한국어「로」의 용법을 분석하여 그에 해당하는 일본어에 대응시키는 번역 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일본어 문형이나 관용구를 한국어에 적용하려고 시도했으나, 일본어 지식이 정확하지 않아 잘못된 번역을 하는 경우도 보였다. 또한, 학습자가 번역대상인 명사구를 다른 한국어표현으로 바꾸어 말하는 번역 전략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격 관계를 고려했을 가능성이 보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류은성,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場所名詞+に/で」의 선택에 대하여― 한국어의 「에/에서」와의 비교를 통하여 ―" 한국일어일문학회 51 (51): 271-290, 2004
2 박재권, "일본어 격조사의 교체 가능 용법 -한국어와의 대조분석-" 한국일어일문학회 64 (64): 73-95, 2008
3 김영숙, "韓国語母語話者の日本語学習における翻訳ストラテジーと学習レベル― 「로(lo)」句の翻訳を中心に ―" 한국일어일문학회 73 (73): 69-88, 2010
4 坂口和寛,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は文法説明をどのように理解するかーリスト型説明での理解過程についてー" 東北大学大学院文学研究科 1 : 51-62, 1997
5 金英淑,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未習文型のタスク解決に見られるプロセス-選択の“로(lo)”の言い換えに注目して-" 韓国日本語教育学会 111-115, 2012
6 若生正和,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による場所の格助詞「に」と「で」の選択に関する研究" 大阪教育大学 60 (60): 91-99, 2012
7 김영숙, "韓国人学習者における非学習項目のタスク解決に見られるストラテジー - 選択の 「로(lo)」 の日本語訳に現れる 「言い換え」 に注目して-" 한국일본어교육학회 (65) : 1-15, 2013
8 金英淑, "韓国人学習者における選択の「lo(로)」を表す日本語表現の習得ー発話プロトコルに見られるヲの出現と文法性の判断ー" 韓国日本語学会 103-109, 2012
9 森山新, "認知的観点から見た格助詞デの意味構造" 日本語教育学会 115 : 1-10, 2002
10 김영숙, "日韓両言語における状態記述二次述部" 한국일본학회 (84) : 139-151, 2010
1 류은성,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場所名詞+に/で」의 선택에 대하여― 한국어의 「에/에서」와의 비교를 통하여 ―" 한국일어일문학회 51 (51): 271-290, 2004
2 박재권, "일본어 격조사의 교체 가능 용법 -한국어와의 대조분석-" 한국일어일문학회 64 (64): 73-95, 2008
3 김영숙, "韓国語母語話者の日本語学習における翻訳ストラテジーと学習レベル― 「로(lo)」句の翻訳を中心に ―" 한국일어일문학회 73 (73): 69-88, 2010
4 坂口和寛,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は文法説明をどのように理解するかーリスト型説明での理解過程についてー" 東北大学大学院文学研究科 1 : 51-62, 1997
5 金英淑,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未習文型のタスク解決に見られるプロセス-選択の“로(lo)”の言い換えに注目して-" 韓国日本語教育学会 111-115, 2012
6 若生正和,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による場所の格助詞「に」と「で」の選択に関する研究" 大阪教育大学 60 (60): 91-99, 2012
7 김영숙, "韓国人学習者における非学習項目のタスク解決に見られるストラテジー - 選択の 「로(lo)」 の日本語訳に現れる 「言い換え」 に注目して-" 한국일본어교육학회 (65) : 1-15, 2013
8 金英淑, "韓国人学習者における選択の「lo(로)」を表す日本語表現の習得ー発話プロトコルに見られるヲの出現と文法性の判断ー" 韓国日本語学会 103-109, 2012
9 森山新, "認知的観点から見た格助詞デの意味構造" 日本語教育学会 115 : 1-10, 2002
10 김영숙, "日韓両言語における状態記述二次述部" 한국일본학회 (84) : 139-151, 2010
11 日本語教育学会, "日本語教育事典" 大修館書店 2005
12 迫田久美子, "日本語学習者の文法習得" 大修館書店 25-43, 2001
13 大関浩美, "日本語を教えるための第二言語習得論入門" くろしお出版 2010
14 김영숙, "学習者の母語を考慮した日本語の文法教育に関する一考察 -「で」の文法指導と翻訳ストラテジーの関係を中心に-" 한국일어교육학회 17 (17): 21-34, 2009
15 朴在權, "場所名詞에 붙는 格助詞(Ⅱ)「二、デ、ヲ" 韓国日語日文学会 32 : 89-114, 1994
16 蓮池いずみ, "場所を示す格助詞「に」の過剰使用に関する一考察ー中級レベルの中国語母語話者の助詞選択のストラテジー分析ー" 日本語教育学会 122 : 52-61, 2004
17 野田尚史, "はじめての人の日本語文法" くろしお出版 1991
18 임홍빈, "{로}와 선택의 다양화"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10 (10): 143-159, 1974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1 | 0.31 | 0.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8 | 0.25 | 0.519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