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반도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림에 대한 군락분류 = Study of Community Classification Camellia japonica Forest in the Korean Peninsul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577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99년 5월부터 2003년 2월까지 현지조사 또는 문헌조사에 의하여 한반도 동백나무 분포대에서 263개의 방형구를 설정하였다. 이를 기초로 하여 식생단위를 추출하기 위해서 종조성표와 종합상재도표(Table 1)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반도의 상록활엽수림은 동백나무를 중심으로 9개의 군집(群集)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동백나무전형군집, 동백나무-후박나무군집, 동백나무-곰솔군집, 동백나무-구실잣밤나무군집, 동백나무-까마귀쪽나무군집, 동백나무-모밀잣밤나무군집, 동백나무-붉가시나무군집, 동백나무-참식나무군집, 동백나무-생달나무군집으로 정의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1999년 5월부터 2003년 2월까지 현지조사 또는 문헌조사에 의하여 한반도 동백나무 분포대에서 263개의 방형구를 설정하였다. 이를 기초로 하여 식생단위를 추출하기 위해서 종조성...

      본 연구는 1999년 5월부터 2003년 2월까지 현지조사 또는 문헌조사에 의하여 한반도 동백나무 분포대에서 263개의 방형구를 설정하였다. 이를 기초로 하여 식생단위를 추출하기 위해서 종조성표와 종합상재도표(Table 1)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반도의 상록활엽수림은 동백나무를 중심으로 9개의 군집(群集)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동백나무전형군집, 동백나무-후박나무군집, 동백나무-곰솔군집, 동백나무-구실잣밤나무군집, 동백나무-까마귀쪽나무군집, 동백나무-모밀잣밤나무군집, 동백나무-붉가시나무군집, 동백나무-참식나무군집, 동백나무-생달나무군집으로 정의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Transformation of cover-abundance values in phytosociology and its effects on community similarity" 97-39 114, 1979

      2 "The Vegetation of Maemul Somaemul and Eoyu-do Islets" 217-23 222, 2000

      3 "Syntaxonomy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Korea" 233-247, 1999

      4 "Phytosociological study o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of Korean Peninsula" Konkuk University 1987

      5 "Phytosociological Studies on the Pine Forest in Korea" Konkuk University 2001

      6 "Illustrated Flora of Korea" 15-990, 1979

      7 "Flora of Korea" 100-1230, 1995

      8 "Comparative studies on Evergreen Broad- leaved Forests of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in Korea and Nagasakigen in Japan" Mokpo University 1995

      9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 of Korea plants" 250-1680, 1996

      10 "Colored Illustration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Publishing Compony 10-371, 1995

      1 "Transformation of cover-abundance values in phytosociology and its effects on community similarity" 97-39 114, 1979

      2 "The Vegetation of Maemul Somaemul and Eoyu-do Islets" 217-23 222, 2000

      3 "Syntaxonomy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Korea" 233-247, 1999

      4 "Phytosociological study o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of Korean Peninsula" Konkuk University 1987

      5 "Phytosociological Studies on the Pine Forest in Korea" Konkuk University 2001

      6 "Illustrated Flora of Korea" 15-990, 1979

      7 "Flora of Korea" 100-1230, 1995

      8 "Comparative studies on Evergreen Broad- leaved Forests of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in Korea and Nagasakigen in Japan" Mokpo University 1995

      9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 of Korea plants" 250-1680, 1996

      10 "Colored Illustration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Publishing Compony 10-371, 1995

      11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197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 Journal of Life Scienc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77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