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한산업공학회가 발간하는 학술지의 공저(co-authorship) 정보를 활용하여 국내 산업공학 분야의 산학연 공동연구 네트워크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중심성 지수(centrality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836989
2013
Korean
학술저널
1-11(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한산업공학회가 발간하는 학술지의 공저(co-authorship) 정보를 활용하여 국내 산업공학 분야의 산학연 공동연구 네트워크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중심성 지수(centrality ...
본 연구는 대한산업공학회가 발간하는 학술지의 공저(co-authorship) 정보를 활용하여 국내 산업공학 분야의 산학연 공동연구 네트워크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중심성 지수(centrality index)를 활용하여 산업공학 연구 네트워크상의 핵심 기관을 도출하며, 중개 분석(brokerage analysis)을 활용하여 산학연 간 지식의 흐름을 중개하는 주요 기관들을 파악한다. 2008년부터 2012년 3호까지의 대한산업공학회지 논문 155편과 IE Interfaces 논문 188편을 합하여 총 343편의 논문의 공저(co-authorship) 정보를 활용하여 141×141의 인접행렬(adjacency matrix)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이분화하여 국내 산업공학 분야의 산학연 공동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고려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산대학교, LG전자 등이 산업공학 공동연구 네트워크 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 중에서는 연세대학교, 경기대학교, 대진대학교 등이 Coordinator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Gatekeeper(Representative) 역할은 경상대학교, 부경대학교, 명지대학교, Liaison 역할은 부산대학교, 울산대학교, 고려대학교 등이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 측면에서는 삼성SDS, 현대중공업, LG전자, 삼성전자 등이 주요 Consultant로 파악되었으며, “연” 중에서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 Gatekeeper(Representative) 역할을,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Consultant와 Liaison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Table of Contents)
특허 분석을 활용한 녹색성장을 위한 지능형 교통 시스템 기술 예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