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형 리더십 과정 개발과 적용 및 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지혜인 리더십 과정’을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of Korean Style Leadership Program: Focusing on 'Wise Man Leadership Cours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1C 글로벌 경영환경에서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인적자원 개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서구적 경영 패러다임의 한계를 극복할 한국형 리더십 과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형 리더십 과정의 개발과 적용 및 성과 측정에 관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크다. 한국이라는 지역이 갖는 문화적 특수성과 경영 패러다임이 급속하게 변하는 상황을 고려할 때 한국형 리더십 과정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된다. 경영 패러다임의 변화가 지식경영에서 지혜경영으로 변화하는 변곡점에 있다고 볼 때, 각 조직 구성원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수용되는 ‘한국형 리더십’은 ‘지혜인 리더십’이라 할 수 있다. 지혜인(Wise Man)은 높은 수준의 자기수양을 함으로써 자기중심성을 극복하고 도덕성과 통찰력을 갖춘 자를 말한다. 우리 민족은 심신수양을 근간으로 한 지혜의 민족이며, 그 중 한국 고유의 리더십은 조선시대 정신적 리더였던 군자에게서 찾을 수 있는데, 그 철학적 기반은 유학에서 찾을 수 있다. 유학은 안으로 자기의 인격을 완성하고 밖으로 그 완성된 인격으로 세상 사람들을 돕는 수기(修己: self-leadership)와 치인(治人: leadership)의 실천적 학문이다. 그런 점에서 유학의 핵심 개념인 성(性), 도(道), 경(敬), 인(仁), 중(中), 통(通) 등의 개념을 현대적 리더십으로 구체화하고, 덕(德)의 리더십을 회복함으로써 조직 구성원과 고객을 행복하게 하는 안민(安民)의 리더십이 곧 ‘지혜인 리더십’인 것이다. 한편 서양에서도 성경에 지혜라는 단어가 400여회 나오는 점 등을 볼 때 동양 사상과 서양 사상이 지혜를 근간으로 한다는 면에서 일맥상통하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세계화의 가능성도 엿볼 수 있다. ‘지혜인 리더십 과정’은 지혜경영 연구소에서 개발하여 삼성전자 등에서 196명의 정규과정(24시간 이상) 수료자와 경기중소기업CEO과정 등에서 95명의 단축과정(7~8시간) 수료자를 포함하여 총 291명의 수료자를 배출했다. 손기원은 2004년 7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2년 6개월의 기간을 투입하여 과정을 개발하고 2007년부터 과정을 본격적으로 운영했으며, 문형남은 과정에 피교육생으로 직접 참여하고 성과를 측정했다. ‘지혜인 리더십 과정'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독자적으로 고안한 피드백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과정을 시작하는 시점과 과정이 끝나는 시점에 24개의 똑같은 문항의 설문으로 자기평가를 하게 함으로써 과정의 성과를 측정했다. 그 결과 과정 시작시 평균 69.6점(100점 만점으로 환산)에서 과정 종료시 평균 81.3점(100점 만점으로 환산)으로 16.9%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노사관계 패러다임이 분배투쟁 위주에서 인적자원개발로 전환되고 있고, 인적자원개발 수요가 확대일로에 있는 상황에서 이제 우리는 개발된 과정에 대한 과학적 분석과 평가, 과정 개발 전문가와 진행자(FT) 등 전문인력 양성, 한국형 리더십 프로그램의 세계화 및 각급 학교 정규 교육에의 적용 등을 통해 한국형 리더십 프로그램을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그것은 서구적 경영 패러다임의 한계를 극복하고 인적자원개발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21C 글로벌 경영환경에서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인적자원 개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서구적 경영 패러다임의 한계를 극복할 한국형 리더십 과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

      21C 글로벌 경영환경에서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인적자원 개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서구적 경영 패러다임의 한계를 극복할 한국형 리더십 과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형 리더십 과정의 개발과 적용 및 성과 측정에 관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크다. 한국이라는 지역이 갖는 문화적 특수성과 경영 패러다임이 급속하게 변하는 상황을 고려할 때 한국형 리더십 과정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된다. 경영 패러다임의 변화가 지식경영에서 지혜경영으로 변화하는 변곡점에 있다고 볼 때, 각 조직 구성원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수용되는 ‘한국형 리더십’은 ‘지혜인 리더십’이라 할 수 있다. 지혜인(Wise Man)은 높은 수준의 자기수양을 함으로써 자기중심성을 극복하고 도덕성과 통찰력을 갖춘 자를 말한다. 우리 민족은 심신수양을 근간으로 한 지혜의 민족이며, 그 중 한국 고유의 리더십은 조선시대 정신적 리더였던 군자에게서 찾을 수 있는데, 그 철학적 기반은 유학에서 찾을 수 있다. 유학은 안으로 자기의 인격을 완성하고 밖으로 그 완성된 인격으로 세상 사람들을 돕는 수기(修己: self-leadership)와 치인(治人: leadership)의 실천적 학문이다. 그런 점에서 유학의 핵심 개념인 성(性), 도(道), 경(敬), 인(仁), 중(中), 통(通) 등의 개념을 현대적 리더십으로 구체화하고, 덕(德)의 리더십을 회복함으로써 조직 구성원과 고객을 행복하게 하는 안민(安民)의 리더십이 곧 ‘지혜인 리더십’인 것이다. 한편 서양에서도 성경에 지혜라는 단어가 400여회 나오는 점 등을 볼 때 동양 사상과 서양 사상이 지혜를 근간으로 한다는 면에서 일맥상통하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세계화의 가능성도 엿볼 수 있다. ‘지혜인 리더십 과정’은 지혜경영 연구소에서 개발하여 삼성전자 등에서 196명의 정규과정(24시간 이상) 수료자와 경기중소기업CEO과정 등에서 95명의 단축과정(7~8시간) 수료자를 포함하여 총 291명의 수료자를 배출했다. 손기원은 2004년 7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2년 6개월의 기간을 투입하여 과정을 개발하고 2007년부터 과정을 본격적으로 운영했으며, 문형남은 과정에 피교육생으로 직접 참여하고 성과를 측정했다. ‘지혜인 리더십 과정'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독자적으로 고안한 피드백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과정을 시작하는 시점과 과정이 끝나는 시점에 24개의 똑같은 문항의 설문으로 자기평가를 하게 함으로써 과정의 성과를 측정했다. 그 결과 과정 시작시 평균 69.6점(100점 만점으로 환산)에서 과정 종료시 평균 81.3점(100점 만점으로 환산)으로 16.9%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노사관계 패러다임이 분배투쟁 위주에서 인적자원개발로 전환되고 있고, 인적자원개발 수요가 확대일로에 있는 상황에서 이제 우리는 개발된 과정에 대한 과학적 분석과 평가, 과정 개발 전문가와 진행자(FT) 등 전문인력 양성, 한국형 리더십 프로그램의 세계화 및 각급 학교 정규 교육에의 적용 등을 통해 한국형 리더십 프로그램을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그것은 서구적 경영 패러다임의 한계를 극복하고 인적자원개발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mportance of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for 'raise of national competitive power' in 21C global management environment has become more larger, and necessity of Korean style leadership program which can overcome limit of western management paradigm has become more bigger. This study is very meaningful because this is first study abou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Korean style leadership program. Development of Korean style leadership program is needed urgently, when we consider of 'cultural particularity of Korea' and 'the situation of fast change in management paradigm'. Considering we are in the turning point, change of management paradigm from knowledge management to wisdom management, Korean style leadership, which is accepted more effectively by members of organizations in Korea, can be 'wise man leadership'.
      'Wise Man' is a person who has ethicality and insight, and overcomes self-centeredness by culturing superbly'. Korean inherent leadership can be found in 'man of virtue' who was mental leader in Joseon Dynasty, that philosophical base can be found in Confucianism. Confucianism, which is mainstream of oriental thought, is practical study about self-leadership(修己) and leadership(治人) which asserts a completion of inner self-personality and exterior aid of other people in world by complete personality. Therefore, we can think that whole oriental thoughts have a management-philosophical characteristic of individual self-management leadership and organiaztion-management leadership. In that point, It is important that we recover leadership of Deok(德: virtue) and embody concepts as Seong(性: natural mind), Do(道: morality), Kyung(敬: concentration), In(仁: humanity), Choong(中: moderation), Tong(通 : interchange), which are just like oriental thought's core concept, as modern leadership.
      As a result of that, leadership of calming people(安民), which makes organization's members and customers happy, is ‘Wise Man Leadership’. ‘Wise Man Leadership Course’ is developed in wisdom-management institute, and it produces total 291 recipients, including 196 recipients of regular course (more than 24hours) in Samsung Electronics etc. and 96 recipients of shortened course(7~8 hours) in CEO course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Gyeonggi region. Shon Kiwon developed and ran this program, and Hyung Nam Moon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and measured outcome as an educates. We applied feedback program, which is designed solitarily, to measure outcome of ‘Wise Man Leadership Course’. We measure outcome of the course by self-estimating with same 24 questions at the beginning of the course and at the end of the course. As a result of that, it shows the result that average of 69.6 (of 100 point) at the beginning of the course has become as average 81.3(of 100 point) at the end of the course and it means rise of 14.1 point which is 16.9%.
      Now we should develop Korean style leadership program through scientific analysis and valuation of developed course, training of professional manpower just like course development experts and masters(FT), globalization of Korean style leadership program and applying regular school curiculum. It is expected as an opportunity which will overcome limit of western management paradigm and pioneer new area of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번역하기

      Importance of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for 'raise of national competitive power' in 21C global management environment has become more larger, and necessity of Korean style leadership program which can overcome limit of western management parad...

      Importance of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for 'raise of national competitive power' in 21C global management environment has become more larger, and necessity of Korean style leadership program which can overcome limit of western management paradigm has become more bigger. This study is very meaningful because this is first study abou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Korean style leadership program. Development of Korean style leadership program is needed urgently, when we consider of 'cultural particularity of Korea' and 'the situation of fast change in management paradigm'. Considering we are in the turning point, change of management paradigm from knowledge management to wisdom management, Korean style leadership, which is accepted more effectively by members of organizations in Korea, can be 'wise man leadership'.
      'Wise Man' is a person who has ethicality and insight, and overcomes self-centeredness by culturing superbly'. Korean inherent leadership can be found in 'man of virtue' who was mental leader in Joseon Dynasty, that philosophical base can be found in Confucianism. Confucianism, which is mainstream of oriental thought, is practical study about self-leadership(修己) and leadership(治人) which asserts a completion of inner self-personality and exterior aid of other people in world by complete personality. Therefore, we can think that whole oriental thoughts have a management-philosophical characteristic of individual self-management leadership and organiaztion-management leadership. In that point, It is important that we recover leadership of Deok(德: virtue) and embody concepts as Seong(性: natural mind), Do(道: morality), Kyung(敬: concentration), In(仁: humanity), Choong(中: moderation), Tong(通 : interchange), which are just like oriental thought's core concept, as modern leadership.
      As a result of that, leadership of calming people(安民), which makes organization's members and customers happy, is ‘Wise Man Leadership’. ‘Wise Man Leadership Course’ is developed in wisdom-management institute, and it produces total 291 recipients, including 196 recipients of regular course (more than 24hours) in Samsung Electronics etc. and 96 recipients of shortened course(7~8 hours) in CEO course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Gyeonggi region. Shon Kiwon developed and ran this program, and Hyung Nam Moon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and measured outcome as an educates. We applied feedback program, which is designed solitarily, to measure outcome of ‘Wise Man Leadership Course’. We measure outcome of the course by self-estimating with same 24 questions at the beginning of the course and at the end of the course. As a result of that, it shows the result that average of 69.6 (of 100 point) at the beginning of the course has become as average 81.3(of 100 point) at the end of the course and it means rise of 14.1 point which is 16.9%.
      Now we should develop Korean style leadership program through scientific analysis and valuation of developed course, training of professional manpower just like course development experts and masters(FT), globalization of Korean style leadership program and applying regular school curiculum. It is expected as an opportunity which will overcome limit of western management paradigm and pioneer new area of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