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과 참여에 대한 연구: 통합연구방법 적용 = A Study of Nurses’ Recognition and Intention Senior Industry in Korea: Using Mixed Metho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495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urse’s recognition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enior-friendly industires in Korea. A questionnaire was used to survey 176 nurses about their perceptions in senior-friendly industr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on health care profession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results.
      Generally, participation in senior industries was important to nurses. Of nurses answering the survey, 35.2% said they “Know quite a bit” about the senior-care industry. More than 47% of nurses thought indicated “Prospects were high” when asked about if they would participate in senior care. Also, more than 30.2% of nurses intended to participate in senior care “Quite a bit.” Furthermore, almost half (49.4%) of nurses perceived they needed additional education to provide adequate care to seniors. Three themes emerged from the study: (a) Nurses recognize a need for participation in senior-friendly industries, (b) Nurses realize they need additional education to attain expertise in senior care, and (c) Nurses require knowledge of healthcare strategies, such as appropriate activities, to be effective in senior care.
      Nurses agreed that senior industries in Korea are important and want to participate, especially in senior healthcare. This research provides foundational data to understand the intentions of healthcare professionals to take part in, develop strategies for activities, and improve the welfare of the ag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urse’s recognition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enior-friendly industires in Korea. A questionnaire was used to survey 176 nurses about their perceptions in senior-friendly industries. Based on the res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urse’s recognition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enior-friendly industires in Korea. A questionnaire was used to survey 176 nurses about their perceptions in senior-friendly industr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on health care profession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results.
      Generally, participation in senior industries was important to nurses. Of nurses answering the survey, 35.2% said they “Know quite a bit” about the senior-care industry. More than 47% of nurses thought indicated “Prospects were high” when asked about if they would participate in senior care. Also, more than 30.2% of nurses intended to participate in senior care “Quite a bit.” Furthermore, almost half (49.4%) of nurses perceived they needed additional education to provide adequate care to seniors. Three themes emerged from the study: (a) Nurses recognize a need for participation in senior-friendly industries, (b) Nurses realize they need additional education to attain expertise in senior care, and (c) Nurses require knowledge of healthcare strategies, such as appropriate activities, to be effective in senior care.
      Nurses agreed that senior industries in Korea are important and want to participate, especially in senior healthcare. This research provides foundational data to understand the intentions of healthcare professionals to take part in, develop strategies for activities, and improve the welfare of the ag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 의료 관련 종사자인 간호사의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인식, 활동 의도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의 개발 및 육성에 있어 보건 의료 관련 종사자들의 역할과 전망에 대한 기초 자료 및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조사는 통합연구모형을 적용하였고, 양적 접근을 통한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접근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설명하였다. 176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고령친화 요양산업에 대해서 대상자의 35.2%가 ‘대충 알고 있다’, 47.2%가 전망이 ‘높다’, 30.2%가 직업과 관련성이 ‘조금 있다’, 43.8%가 활동의도가 ‘조금 있다’, 49.4%가 교육 참여의도가 ‘조금 있다’라고 응답하였다. 보건 의료 전문가들의 인터뷰 결과 ‘인식 확산의 필요’, ‘전공 분야의 활동 연계’, ‘참여를 위한 전략이 요구됨’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고령친화요양산업의 개발과 육성을 위해 간호사의 전문성과 경력을 참여가 필요하며 간호사뿐 아니라 전문 인력의 참여도 요청된다. 이러한 전문 인력의 투입은 궁극적으로 노인보건복지증진에 기여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 의료 관련 종사자인 간호사의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인식, 활동 의도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의 개발 및 육성에 있어 보건 의료 관련 종사자들의 역...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 의료 관련 종사자인 간호사의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인식, 활동 의도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의 개발 및 육성에 있어 보건 의료 관련 종사자들의 역할과 전망에 대한 기초 자료 및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조사는 통합연구모형을 적용하였고, 양적 접근을 통한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접근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설명하였다. 176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고령친화 요양산업에 대해서 대상자의 35.2%가 ‘대충 알고 있다’, 47.2%가 전망이 ‘높다’, 30.2%가 직업과 관련성이 ‘조금 있다’, 43.8%가 활동의도가 ‘조금 있다’, 49.4%가 교육 참여의도가 ‘조금 있다’라고 응답하였다. 보건 의료 전문가들의 인터뷰 결과 ‘인식 확산의 필요’, ‘전공 분야의 활동 연계’, ‘참여를 위한 전략이 요구됨’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고령친화요양산업의 개발과 육성을 위해 간호사의 전문성과 경력을 참여가 필요하며 간호사뿐 아니라 전문 인력의 참여도 요청된다. 이러한 전문 인력의 투입은 궁극적으로 노인보건복지증진에 기여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용억, "전남의 고령친화산업 활성화 방안" 광주전남발전연구원 2005

      2 양영애, "작업치료사의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인식도 조사" 2 (2): 55-61, 2008

      3 김아진, "의료기관 및 인력(전공의, 간호사)수급 불균형과 관련한 법 고찰" 생명의료법연구소 4 (4): 139-151, 2010

      4 김은주, "여대생 체중조절 행동의도에 영향하는 요인: 계획적 행동이론 적용"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4 (24): 195-204, 2013

      5 이은혜, "아로마 용액을 이용한 구강간호가 뇌졸중 노인의 구강상태와 구강 세균 집락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5 (45): 46-53, 2015

      6 권오준, "스마트폰 잠재수용자의 수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 1 (1): 55-83, 2010

      7 김종욱, "부산지역 고령친화 재조업 발전전략" 부산발전연구원 2004

      8 문상식, "보건행정학" 보문각 2010

      9 산업연구원, "베이비붐 세대 은퇴 관련 산업 활성화 방안" 2011

      10 김대균, "배우자 학대에 대한 일부 가정의학과 의사의 인식, 태도 및 교육 경험" 대한가정의학회 27 (27): 540-548, 2006

      1 박용억, "전남의 고령친화산업 활성화 방안" 광주전남발전연구원 2005

      2 양영애, "작업치료사의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인식도 조사" 2 (2): 55-61, 2008

      3 김아진, "의료기관 및 인력(전공의, 간호사)수급 불균형과 관련한 법 고찰" 생명의료법연구소 4 (4): 139-151, 2010

      4 김은주, "여대생 체중조절 행동의도에 영향하는 요인: 계획적 행동이론 적용"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4 (24): 195-204, 2013

      5 이은혜, "아로마 용액을 이용한 구강간호가 뇌졸중 노인의 구강상태와 구강 세균 집락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5 (45): 46-53, 2015

      6 권오준, "스마트폰 잠재수용자의 수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 1 (1): 55-83, 2010

      7 김종욱, "부산지역 고령친화 재조업 발전전략" 부산발전연구원 2004

      8 문상식, "보건행정학" 보문각 2010

      9 산업연구원, "베이비붐 세대 은퇴 관련 산업 활성화 방안" 2011

      10 김대균, "배우자 학대에 대한 일부 가정의학과 의사의 인식, 태도 및 교육 경험" 대한가정의학회 27 (27): 540-548, 2006

      11 남상권, "만성질환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연구 : 만성질환유형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53 (53): 196-221, 2011

      12 신수진, "노인전문간호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 조사" 노인간호학회 16 (16): 1-8, 2014

      13 오두남, "노인의 성공노화 구조모형 -선택·최적화·보상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간호과학회 42 (42): 311-321, 2012

      14 박순우,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틀 및 추진계획" 35 (35): 204-217, 2010

      15 황종대, "고령화시대, 노인복지, 그리고 평화" 2 (2): 105-132, 2012

      16 이병희, "고령친화산업의 현황과 과제" 조사국산업지역팀 2007

      17 문혜선, "고령친화산업의 부상과 육성 방향" 서울경제 2014

      18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고령친화산업 중장기 실향전략 연구" 2005

      19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고령친화산업 육성 사업" 2013

      20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고령친화산업 실태 조사" 2013

      21 통계청, "고령자통계" 2015

      22 박시한,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온라인 콘텐츠 이용행동의 이해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PR학회 11 (11): 195-231, 2007

      23 손영곤,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사회인지적 행동 모델의 유용성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언론학회 56 (56): 127-161, 2012

      24 Creswell, J. W., "Designing and conducting mixed methods research" 2007

      25 Ajzen, I.,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An introduction to theory an research" Addison-Wesley 19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KCI등재
      2015-06-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Welfare For The Aged ->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4 1.64 2.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61 2.658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